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skch0122의 이미지

중복로그인 에러

안녕하세요. 초급개발자입니다.

지금 사용되는건 jdk1.4이며 중복로그인방지 작업을 진행중입니다.

하나의 컴퓨터에서는 세션이 정상동작하며 두개의 컴퓨터를 돌릴시
ex) ID: test 계정을 1번컴퓨터에서 로그인 되어있는 상태에서 2번컴퓨터에서 로그인시 로그인 중이라는건 출력되는데 확인클릭시 기존에 로그인되어있는 세션을 지우고싶습니다. 하나의 컴퓨터에서 로그인 후 다시 로그인하면 정상동작하는데 2개의컴퓨터에서는 동작하지않네요..

예상구간은 세션아이디가 다른거같아서 기존에 등록된 세션아이디를 못지우는거 같습니다.

지울수있는 방법이있을까요... 그리고 session.invalidate()로 세션을 지우는데 만약 아이디가 test1 로 로그아웃을하면 기존에 다른사람이 접속한 test2,test3,test4계정들도 모두 세션이 초기화되는데 세션초기화 안되도록 하는 방법도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

kosshackathon16의 이미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OSSCON2018

KOSSCON 2018 과 함께하는 #공유 #이벤트

KOSSCON은 공개 SW 프로젝트 기술 지식을 공유하는 컨퍼런스 입니다.
AI, 빅데이터, 블록체인, 클라우드 등 최신 트렌드 기술 및 산업 적용사례, 커뮤니티 문화를 소개해 드립니다.
▶️참여방법 : '전체 공개로 공유' 후 URL을 댓글로 남기면 참여 완료!
▶️이벤트 기간 : 11월 12일(월) ~ 11월 25일(일)
▶️당첨자 발표 : 11월 26일(월), 노트 발표
▶️이벤트 경품 : 스타벅스 아메리카노(30명
KakaoTalk_20181112_144304238.jpg
▶️참가신청 링크: https://kosscon.kr/reservation/fall
▶️홈페이지 링크: https://kosscon.kr/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상에서 Process = Thread 라고 봐도 상관 없나요?

별도의 스레드를 생성 후 스레드에서 fork 후 exec으로 넘겨줘도 메인 프로세스(스레드)는 죽지 않더군요...

그러면 (프로세스 = 스레드)이다 라고 봐도 부방할 것 같은데 내부적으로 무슨 차이가 있나요?

스레드도 pid 값을 부여 받는다고 하던데... 그럼 완전 Process = Thread 아닙니까!!?

삼구의신의 이미지

timer와 일정주기로 드는 thread 비교

일반적으로 timer를 검색하면 나오는 signal handler를 이용해 설정한 interval 마다
signal을 발생시키고 handler에 등록된 동작하도록하는 타이머와.
쓰레드에서 usleep과 같은 것을 넣어 일정 주기마다 쓰레드가 돌도록 동작하느것 둘이 어느 차이가 있나요?

timer code

세벌의 이미지

질문. 영어 번역 Working my stability

https://www.gimp.org/news/2018/11/08/gimp-2-10-8-released/wilber-co-Aryeom_stability.png
만화에 나오는 영어 무어라 번역하면 좋을까요?

Q: What are you doing, man?
A: Working my stability.
달랑 두 줄인데 모르겠네요.

너 뭐하고 있니?
나의 안정성을 일해요.

라고 번역하려니 뭔가 이상하네요 :p

세벌의 이미지

김프 2.10.8

https://www.gimp.org/news/2018/11/08/gimp-2-10-8-released/
김프 2.10.8 나왔습니다.

위 내용을 조금씩 아주 조금씩 번역하고 있습니다.

https://sebuls.blogspot.com/2018/11/gimp-2108-released.html

번역 진행 중.... 번역 내용에 대한 의견 환영합니다.

이거 번역하기 전에 따로 허가를 받아야 되는 건 아니겠죠?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솔라리스에서 싱글스레드로 멀티프로세싱할때 문제가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CPU 퍼포먼스 관련해서 도움을 받고자 합니다...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하는데(로컬간) 총 유저 2800 명을 100명 단위로 나눈뒤 한 프로세스로 잡고

가상서버 2대(Solaris 10 spracv9 - T4) 에 각각 14개씩 돌리는 방식입니다.

두대의 솔라리스 서버는 한대의 리눅스 DB서버(mysql)를 바라보고있습니다.

프로세스는 로컬내 유저의 sqlite 를 한번 질의 후 File과 함께 DB정보를 mysql로 마이그레이션 하는 로직입니다.

(DB,File 스토리지는 NFS 에 마운트되어있습니다.)

문제는 OS 재부팅 후 발생했는데...

문제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mysql에 초당 4000~5000개의 쿼리를 요청하여 처리하였으나

문제가 발생 후에는 초당 100개도 요청하지 못하고있습니다.

cpu 모니터링을 좀 해 본 결과...

prstat -mL 로 확인하면 12개의 모든 해당 프로세스의 LCK 비율이 100% 인걸 확인하였으며

emptynote의 이미지

낚시를 위해 마케팅 기법을 도입한 리브레오피스 org 도메인 자격 없습니다.

리브레오피스에는 "Fresh Branch" 와 "Still Branch" 라는 새로운 용어가 있습니다.

대부분 그렇듯이 기술 마케팅 차원에서 마케팅을 위해서 새로운 용어를 등장시킵니다.

새롭다 라는 이미지를 위해서 말이죠.

하지만 조금 삐딱서리로 보면 사람들 현혹할려고 사용하는것입니다.

도대체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도 아니고

비영리를 상징하는 .org 에서 버젓히 영리 기업이나 쓰는 마케팅 기법은 왜 쓰는 걸까요?

다운 로드 화면 들어가 보면 "Fresh Branch" 가 가장 먼저 위치하고 있습니다.

"Fresh Branch" 란 무엇일까요?

"Fresh Branch" 발표 주기는 한달 혹은 두달 정도로 매우 빠릅니다.

그 시간안에 통합 테스트를 한다? 불가능합니다.

오피스 프로그램은 거대한 프로그램입니다. 데비안등등 리눅스 배포판에 견주는 규모입니다.

데비안 배포판 안정버전의 발표 주기는 어떠합니까?

우분투의 안정 버전 발표 주기는 또 어떠합니까?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media 에 마운트된 하드에 기본 퍼미션을 777에서 644로 바꾸기.

제목에 간략히 설명하기가 쉽지 않네요.

현재 하드가 크게 3개로 분할되어었습니다. 하나는 윈도우즈, 하나는 우분투,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데이터로 윈도우즈 우분투 공유해서 사용 중입니다.

그런데 그 데어터에 있는 모든 파일의 퍼미션이 777입니다. 바꾸려고 해도 바뀌지도 않고.

이 문제는 외장 하드를 마운트해서 사용할 때도 발생합니다.

저는 기본적으로 644로 하고 필요한 파일만 755정도로 하고 싶은데 말이지요.

기본 퍼미션을 어떻게 변경할 수 있나요?

세벌의 이미지

데비안 9.6 나왔습니다.

https://lists.debian.org/debian-l10n-korean/2018/10/msg00003.html
에서 이미 알려드렸던 데비안 9.6 나왔다고 합니다.

https://salsa.debian.org/webmaster-team/webwml/blob/master/korean/News/2018/20181110.wml

이 소식이 데비안 공식 홈페이지에 아직 안 나왔네요.
곧 나오겠죠?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