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trymp의 이미지

linux kernel code 에서 list_head 와 hlist_head 의 차이?

리눅스 커널 코드에서 보면 그냥 단순한 list 가 있고 해쉬리스트로 hlist 가 있잖아요.

그 두개가 무슨 차이가 있는거죠?

그냥 list 쓰면 안되나요? 용도의 차이가 무었인진 궁금합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메모리 사용법에 대해 질문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atmega에서 내부 메모리 외부메모리에 대해 공부하고 사용하는 중인데 정말 이해가 안가서 질문합니다..

1. 외부 메모리의 주소가 0x2200에서 0xFFFF까지인데 하나의 atmega에 외부 메모리를 두개를 연결하였습니다.
그러면 메모리 1에서 사용되는 주소가 있다면 그 외의 주소를 입력하면 외부 메모리 2로 연결이 되는건가요?..

2.그렇다면 외부 메모리의 주소설정은..어떻게하는건가요...?

3. 외부 메모리 접근 때에는

MCUCR = 0x80;
XMCRA = 0xC1;
XMCRB = 0x80;

위의 레지스터를 설정하였었는데, 내부 메모리 때에도 레지스터를 설정해줘야 하는 건가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bao의 이미지

c언어 free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구조체 B {
...
...
}

구조체 A {
....

char * buf

....
}

main ()
{
A a;
B *b = (구조체 *B)malloc(sizeof(구조체 B));

a.buf = (char *) b;

}

위에 처럼 B 구조체의 정보를 A구조체의 char *에 저장을 해놓으려고 합니다. (char * 로 한 이유는 사실 아무 데이터 형이든 상관이 없지만 여기 buf에 다른 여러가지 구조체 정보가 상황에 따라 올수가 있어 그냥 char *로 하였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free를 할때

free(buf)를 해도 메모리 누수가 생기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생긴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와... 메모리 누수가 생기지 않는다면 왜 안생기는지가 궁금합니다..

kutest의 이미지

vb6 컴파일오류

private declare~
 
public sub~
end sub
 
private function~
end function
 
private declare ~   (이부분)

(이부분) 이라는 곳에서
사진처럼 컴파일 오류가뜨는데 맨위로 올려야되나요

emptynote의 이미지

프로그램 Q&A 에서 c 언어 관련 질문을 볼때 마다 단위 테스트의 중요성이 강조되지 않아 살짝 아쉽네요.

프로그램 Q&A 에서 c 언어 관련 질문을 볼때 마다 단위 테스트의 중요성이

강조되지 않아 살짝 아쉽네요.

시스템 프로그래밍은 제가 경험이 없어 말씀 드리기 어렵지만

응용 프로그램 작성할때에는 단위 테스트 꽤 유용합니다.

저는 아직 TDD 할 실력이 없어 단위 테스트만 주구장창 하고 있는데요.

테스트하기 쉬운 모듈이 가장 건강한 모듈이라는것을 느낍니다.

단위 테스트 하면서 기존에 저는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돌아가게 하는 코드 작성에만 골몰하였지만

지금은 검증된 코드 작성에 더 집중합니다.

그리고 저 또한 인간이기에 단위테스트 작성보다 돌아가는 코드에 더 흥미를 갖는다는 사실 잘 알게 되었구요.

단위 테스트 작성할때 마다 심리적 거부감이 있는 제 자신을 봅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열심히 단위 테스트 하면서 모듈을 작성하는 이유는

더 좋은 설계로 변경하고자 할때 테스트 자동화 효과로 변경된 모듈이 잘 돌아간다는 사실을 바로 바로

oeo0750의 이미지

c언어 오류 해결이 어렵습니다.

자료구조를 공부하면서
정수 리스트를 구성하고, 그 리스트 안에서 정수 num을 찾는 함수를 작성하는데,
리스트에 num이 있으면 함수가 num을 포함한 노드의 포인터를 반환하고, 없으면 null을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를 이용해서 리스트에서 num이란 숫자를 가진 노드를 삭제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였습니다.
한 번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ave9208의 이미지

네트워크가 best-effort일 수 밖에 없는 이유

제가 네트워크 쪽 지식이 부족하다보니 네트워크가 qos를 제대로 보장하지 못하고 best-effort일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서 혹시 네트워크 쪽 지식이 많으신 분이 있으시면 도와주실수 있으실련지..

제가 대충 알고 있는것은 현재 OSI 7 layer의 구조적인 문제와 Router는 패킷 전송밖에 못한다 이것밖에 아는게 없는데 좀더 자세히 설명 해주실분 계신가요?

emptynote의 이미지

프로그램 작성할때 가장 기운이 빠질때...

프로그램 작성하고 난후 이 길이 아닌가벼 하며 돌아가야 할때가 아닌가 합니다.

1개 서비스에 대한 기능들을 서블릿 1개로 묶어 처리를 했습니다.
예를 들면 로그인 서블릿은 (1) 로그인 화면 출력과 (2) 로그인 처리 2가지 기능을 갖습니다.

그런데 기능별 통계를 어떻게 구현할까 고민을 하다 보니
파라미터에 의한 기능 분리보다 URL 분리를 통한 기능 분리가 더 손쉽네요.
그래서 1개 서비스로 기능 묶은것을 기능별로 URL 쪼개는 중입니다.
노가다할 생각하니 아득해집니다.

응원해 주세요 ㅠ.ㅠ

WIJARD_tenorl의 이미지

Grub command

노트북을 부팅하면 바로 grub의 커맨드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그리고 인터넷 게시글의 명령어가 통하지않습니다
커맨드 화면과 명령어 목록은 사진으로 첨부합니다.

WIJARD_tenorl의 이미지

Grub command

노트북을 부팅하면 바로 grub의 커맨드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그리고 인터넷 게시글의 명령어가 통하지않습니다
커맨드 화면과 명령어 목록은 사진으로 첨부합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