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XenServer에서 VM에 Xen-tool을 설치하지 않고 실행시에는 전가상화 모드로 동작된다는 글을 본적이 있는데 맞는 말인가요?
그렇다면 제가 기존에 알기로는 반가상화의 경우 호스트 OS 가 오픈소스 OS인것에 한정되는것으로 알고있었는데 Xen-tool을 윈도우에 설치하면 반가상화 모드로 윈도우를 돌릴 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그래서 윈도우 서버 2016 VM에 Xen-too을 설치하고 XenCenter에서 VM Virtualization state에 I/O optimized Management Agent not installed Not able to receive updates from Windows Update라는 메시지가 뜨던데 현재 쓰고있는 XenServer의 반가상화 모드에서는 윈도우 서버 2016을 지원하지 않는것인가요?
개뿔도 모르지만 눈치로
이게 xwindow 의 구조적 문제에 기인하여
고치지 못하고 이제까지 끌고 온거라
어렵지 않게 추정할수 있습니다.
아래 인용 댓글은 2008년도 4월 댓글입니다.
예 올해는 2018년 11월입니다.
댓글 내용은
reset 을 응용어플에서 해주면 된다
입니다.
여기에 대해서 단순하지 않다는 다른 의견도 있습니다.
왜 그런지 자세한 이야기 듣지 못했지만
Reset이 해결책 이라면 완치?는 못해도
상당부분 해결될수 있다고 생각하기에
단순하지 않은 문제라는 주장이 훨씬 설득력있다고 생각합니다.
그건 그거고 여기서 주목할거는 입력기가 알수 없다는 발언에 있습니다.
Xwindow 의 구조적 문제점을 지적한거죠.
Xwindow 하에서는 한글 끝문자 버그는 영원하다는 말이죠.
* 500 Lines or Less
* The Performance of Open Source Applications
* The Architecture of Open Source Applications 1
* The Architecture of Open Source Applications 2
실제 오픈소스 메인테이너 직접 자신이 만든 프로젝트의 구조를 설명하는 책입니다. 500 Lines or Less는 짧은 코드로 구현한 것을 설명하는 책입니다. 두번째 책은 오픈소스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성능 문제를 해결했는지를 소개합니다. 모든 책이 온라인으로 읽을 수 있고, ebook과 종이책으로도 판매되고 있습니다. 이런 종류의 책은 찾기 힘드므로 실제 소프트웨어 개발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