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새소식

kesic의 이미지

임베디드소프트웨어산업협의회 제4회 정례기술세미나 개최 공지

안녕하십니까? 임베디드소프트웨어산업협의회 허태용팀장입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IT산업에서는 현재 Convergence라는 대전제가 화두가 되어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본 협의회에서는 Convergence 시대의 IPTV기술동향에 대한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일시: 12월 13일 13:00 ~ 18:00
장소: 삼성동 섬유센터 17층 대회의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홈페이지로 방문하셔서 확인 부탁드립니다.

http://www.kesic.or.kr

lefthander의 이미지

콩나물, Ajax 기반 지도 서비스 시작하다

여러 포털에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던 콩나물에서 Ajax 기반 지도 서비스를 개시했습니다. 잠깐 사용해 봤는데 그다지 느리지 않고 훌륭합니다. 아래는 차니님의 소개글입니다.

http://channy.creation.net/blog/?p=211

codebank의 이미지

리눅스에서 인터넷뱅킹을...

기사읽기

기사에서보면 내년에는 리눅스에서 인터넷뱅킹이 가능할걸로 보이네요.
그런데 궁금한건 금융관련법에 공인인증서를 이용해야만 뱅킹이 가능하다고
알고 있는데 이법은 어떻게 처리할지가 궁금하네요.

어쨌든 기대되는 기사네요. :)

1day1의 이미지

"음악, 떳떳하게 공짜로 들으세요"...배경음악 공유서비스 '큐'

http://www.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180222&g_menu=020500&pay_news=0

http://qbox.com
배경음악을 검색해서 들을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네요.
간단한 듯 하면서 재미있는 서비스입니다.
툴바를 설치해야 하고, firefox 에서는 안되는 것이 마음에 들지는 않지만, 재미있네요.

기사에는 저작권분쟁에 문제 없다고는 하지만, 그럴것 같지는 않네요.

어쨌든 재미있습니다. ^^

ps. 잠깐 사용해봤는데, 처음에 설치할 것이 많아서 당황스럽네요.
이미 설치된

kornona의 이미지

레드햇 코리아에서 이런 행사도 하는군요..

http://www.kr.redhat.com/mktg/rhceday/invite.php

그런데 모임 장소가 "클럽"이라

전 왠지 저런곳은 자신이 없던데..

하긴 여기는 지방이니 가지도 못하겠지만...

서울에 계신 분들은 참가해 보는것도 좋은거 같네요.. ^^

ps) 아~~ 어서 빨리 여친이 생겼으면....

purewell의 이미지

네이트온 3.1 유니코드 지원!!

ㅡ_-); 뭐 WINE으로 돌려도 NateON 에서 한글 입력이 안되고,
Linux하고 그다지 상관은 없어보이지만...

네이트온 3.1 베타 버전이 유니코드 기반으로 만들어져 배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유니코드가 지원하는 글자로 쓰면 잘 전송된다고 합니다.

ㅡ,.-);; 문제는 네이트온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대한민국 국민만 가능합니다.

http://nateonweb.nate.com/help/guide_function_007.htm

Fe.head의 이미지

하이퍼쓰레딩 기술이 되레 성능을 저해해?

아이러니군요 =ㅅ=

http://www.zdnet.co.kr/news/digital/0,39030978,39141657,00.htm

Quote:

일부 기술 전문가들은 SQL 서버와 시트릭스 터미널 서버를 둘 다 설치한 후 마더보드에서 인텔의 하이퍼쓰레딩 기술을 사용하도록 설정을 켜면 부하가 많을 때 성능 저하가 눈에 띠게 일어난다며, 반면 하이퍼쓰레딩 기술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면 기대했던 수준으로 되돌아간다고 언급했다.

영국의 회계 소프트웨어 업체인 레이크뷰 컴퓨터(Lakeview Computers)의 기술 책임자 피터 이봇슨은 "시트릭스 터미널 서버와 우리 회사 소프트웨어를 동일한 머신에서 동작시키면 기대와는 달리 성능이 훨씬 더 나빠진다고 고객들이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1day1의 이미지

모바일플랫폼 시장 '자바 돌풍'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511220227

Quote:
표준플랫폼 위피에 자바 규격이 포함되면서 이동통신사 간 호환성에서 앞서는 자바언어 기반 버추얼머신(VM)을 선택하는 콘텐츠 개발사(CP)가 늘고 있다. 이는 휴대폰용 프로세서의 데이터 처리능력이 높아지고 기존 C언어 기반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렸던 자바 기반 플랫폼의 속도가 빨라졌기 때문이다.

위피 효과인듯 하네요.

나는오리의 이미지

MS 문서포멧 관련 기사

MS 문서포멧 관련 기사

MS마저 저렇게 나오는데 한글과컴퓨터는 어떻게 나올지 기대되는군요.
HWP포멧을 공개 할까요?

hanbyeol의 이미지

MS, 파이어폭스용 플러그인 공개

KBENCH RSS 에 흥미로운 제목의 기사가 있길래 링크 겁니다.

MS에서 파이어폭스용 플러그인을 만들어 공개했다는 기사입니다.

MS, 파이어폭스용 플러그인 공개

그 플러그인은 흥미롭게도 Windows Genuine Advantage 입니다. FF에서 windowsupdate를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놈입니다.

Windows Genuine Advantage Plug-in installation

약간은 아이러니네요.

페이지

뉴스, 새소식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