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oss.kr/notice/show/344f792e-e09f-46c2-b88f-a9273ea54b34
NIPA에서 여기에는 소식을 안올린 것 같네요. 많이 지원하세요.
The Rust Foundation Community Grants Program 2022 Opens for Applications
* 러스트 재단에서 러스트 프로젝트를 도움을 줄 수 있는 펀딩 프로그램을 마련 * 지원한 프로젝트를 심사해서 $625,000 지원 예정. 모든 비용은 AWS에서 지원. * 다음과 같은 세부 프로그램 제공
https://lwn.net/Articles/886685/bigpage
최근 ReiserFS를 삭제를 논의하면서 사용되지 않고 있는 리눅스 커널 코드를 어떻게 제거할지에 대한 lwn.net 기사 내용입니다.
http://www.l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13 제목만 보면 OS를 만들었다는 말 같은데 내용은 아닌 거 같고...
기사 중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개방형 OS 생태계 확대를 위한 다양한 지원 사업을 활발히 추진 중이며, 공공기관의 모든 인터넷용 PC를 오는 2026년까지 개방형 OS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개방형 OS 라는 용어가 오픈소스 OS 라는 뜻인지 다른 뜻인지 모르겠네요.
안녕하세요. 공개SW 국제협력 운영사무국입니다.
한중일 공개SW활성화포럼(한국 사무국 :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서는 국내외 공개SW 진흥발전 도모, 참여문화 확산, 비즈니스 교류 및 협력 확대 등을 위해 협력 프로젝트(이하 Task)를 발굴했습니다.
이에 한중일 공개SW 협력 프로젝트(Task)에 참가 모집을 하고자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url 참고 바랍니다▼ https://www.oss.kr/notice/show/0dfdc244-816a-4141-8d3d-bb895456f723
데비안 버전 11
8.14. 나왔다고 하는데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8월 15일 광복절에 나왔네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들러보셔요.
https://www.debian.org/News/2021/20210814
https://arstechnica.com/gadgets/2021/03/linus-torvalds-weighs-in-on-rust-language-in-the-linux-kernel/
Linus Torvalds weighs in on Rust language in the Linux kernel.
"I'm interested in the project, but I think it's driven by people who are very excited about Rust, and I want to see how it actually then ends up working in practice."
https://www.linuxfoundation.org/press-release/2020/11/open-source-web-engine-servo-to-be-hosted-at-linux-foundation/
모질라에서 팀을 해고한 후, 한동안 개발이 잘 이루어지 않았던 서보 프로젝트가 드디어 새로운 둥지를 찾았습니다. 리눅스 재단에서 아마도 팀을 고용하고 앞으로 계속 개발이 이루어질 것 같습니다.
한국어는 아닙니다만...https://www.youtube.com/watch?v=XusjjbBm81s&feature=youtu.be
한국어 설명은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영어 설명은 https://www.libreoffice.org/download/release-notes/ 에 있네요.
https://listarchives.libreoffice.org/global/l10n/ 에 요청하면 누군가가 한국어 설명을 만들어 줄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김프 버전이 2.10에서 2.99로 뚸어갔네요. 머지않아 3.0이 나올 거 같네요.
https://www.gimp.org/news/2020/11/06/gimp-2-99-2-released/
위 링크의 그림에 GIMP 2.99.2 splash screen by Aryeom, Creative Commons by-sa 4.0 라고 있네요. 우리나라 사람 아렴 님 작품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