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Apple) 차세대 애플 프로세서는 SAMSUNG(A4, A5 등의 프로세서)이 아닌 INTEL이 제작할.

(Apple) 차세대 애플 프로세서는 SAMSUNG(A4, A5 등의 프로세서)이 아닌 INTEL이 제작할.


차세대 애플 프로세서는 삼성 아닌 인텔이…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1105030251&portal=001_00001 - 기사입력 2011.05.04 - etnews.co.kr


mhhong의 이미지

임베디드 대기업 몇군데 없는것 같네요.

삼성전자, LG전자, 팬택, 휴맥스
제가 아는 회사는 네개 뿐이군요. ㅋㅋ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국내 SW 불법복제율 ↓ 피해액 ↑ (사무용소프트웨어연합의 2010년5월12일의 발표자료랍니다)


국내 SW 불법복제율 ↓ 피해액 ↑ : 출처는 BLOTER.NET


국내, 불법복제율은 낮아지고 반명 피해액은 커졌답니다. (2000년과 비교, 2010년 현재 기준)

'사무용소프트웨어연합'의 2010년5월12일의 발표자료랍니다.


kws4679의 이미지

프로그래밍을 2순위로 두기로 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프로그래밍만으로 먹고 살기에는 세상에 너무 잘하는 사람이 많을 뿐더러

뭔가 저만의 차별화된 내용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어떤 한가지 다른 분야를 프로그래밍과 연관하여

파고 싶은데 제 전공이 기계항공인지라 생각보다 별로 관련있는 분야가 없습니다

지금 생각나는것이라고는

1. 인공지능

2. 가상화 기술

3. 클라우드, 병렬처리

4. 영상처리

등인데 기타 프로그래밍과 고도로 접목시킬수 있는 분야가 어떤건지 또 어떤것이 유망할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위에 2,3 번은 어쩌면 전산학의 한 분야여서 같은 부류라고 생각되기도 하는군요..

oneday의 이미지

일본을 이제 떠나야 할 때가 온듯 합니다.

지금 키보드가 일본어 키보드라서 한/영 전환이 어렵기 때문에
모두 한글로 표기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연구직이나 몇몇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 그냥 저처럼 평범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
2003년 정보통신부에서 주도한 아이티 인력 일본수출(?) 첫빠따로 일본와서
어쩌다보니 개발은 완전히 손을 떼고 시스템 구축/유지보수를 하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상당히 짭잘하기도 하고 재미도 있었지만 어느정도 익숙해지면서 저도
매너리즘에 빠져들고 단점들이 눈에 마구마구 보이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지진 문제로 고민하다가 마침 영업사원하고 이런저런 이야기 하던중에 이런 생각이
들더군요.

"일본 경제는 이미 어느정도 완성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지금 상황은 정해진 범위
내에서 각 업체들이 제살 깎아 먹으며 나눠먹고 있는 실정이 아닐까"

cleansugar의 이미지

전자제품 수리하는 안경 메이드

http://juliewatai.com/

알고하는 건지 연기인지 모르겠군요.

아무튼 국내 도입이 시급합니다.

미소녀 만화로 공학 배우는 책도 많고 한국어 번역판도 있죠.

미래엔 내용이 있으면 강사 이미지는 연예인으로 합성하는 강의도 나올법 합니다.

이것과는 무관하지만, 동화상 얼굴을 2D이미지로 쉽게 마스크 씌우는 기술 있는데 빨리 보편화됐으면 좋겠습니다.

포르노와 연예인 얼굴 실시간 합성 가능한 동화상 재생기 나오면 사업성 대박입니다.

inforide의 이미지

최저비용으로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하기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란 명목으로 기업용 SNS 를 도입하거나 이런저런 많은 것을 만든다. 하지만 기업의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는 단순히 IT시스템의 도입으로 되지 않으며 결국 그러한 것을 사용하는 조직의 문화가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를 좌지우지 한다.

진정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원한다면, CEO스스로가 바뀌어야 한다.

CEO 스스로가 듣고 싶은 말만 듣기를 원한다면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해서 IT적으로 아무리 많은 투자를 한다고 하더라도 진정한 커뮤니케이션이 되지 않는다. CEO는 직원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알고 싶어하면서도 막상 그것이 본인의 생각과 반하는 생각이라면 귀를 막고서 듣지 않고자 한다. 이런 이중적인 모습에 직원들은 쉽사리 실망하고 만다.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