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emptynote의 이미지

안정성이 가장 중요한 오픈 소스 mariaDB 다운로드 스샷

mariaDB 는 안정성이 그 무엇보다 강조되는 DBMS 입니다.

오픈 소스 유무와 상관없이 본질이 그러합니다.

스샷을 보시면 "MariaDB 10.4 Series" 에 빨강색(?)으로 경고 문구가 있지요.

"Do not use non-stable releases in production!"

==> 안정성을 중요시한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문구입니다.

어디까지나 DBMS 이기때문에 안정성을 극도로 강조하는것일 수 있기에

보편성을 갖는다 보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이런것이 있다는것을 스샷을 통해서 눈으로 직접 보시기 바랍니다.

특히 다운 로드 배열 순서를 어떻게 했는지 어떤 분이 이 스샷을 꼭 보셨으면 합니다.

emptynote의 이미지

공개 수업인데 녹화등 발견시 중지라니 참... 씁쓸하네요.

공개 수업인데 녹화등 발견시 중지라니 참... 씁쓸하네요.

거참 유료 강의를 하는곳에 녹화나 녹음이 왠말인지...

물론 기억력(?)의 한계로 녹화나 녹음하며 좋긴하지만 씁쓸하네요.

비법은 며느리도 모른다는 말이 있듯이

네트워크 관련 지식이 며느리도 모르는 비법이라 더더욱 슬프고 씁쓸하네요.

"무료강의 - 게임 프로그래머를 위한 네트워크 이론" 참고 주소 : http://www.procademy.co.kr/freecourse_network.html

lalupo20의 이미지

통신대전 가능한 게임 에뮬레이터 만들어보고 싶네요.

요즘 에뮬로 포켓몬스터 실버버전 하는데

통신대전 기능이 아쉽네요.

컴퓨터에서 할 때는 에뮬레이터 2개 켜놓으면 교환, 대전 다 됐는데

통신대전 되는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만들기 많이 어려울까요?

emptynote의 이미지

대소문자 구별하는 DB 테이블명 유지 보수 괜찮나요?

우선은 제 개인 취향을 먼저 고백합니다.

저는 대소문자 구별을 하는 DB 테이블명을 보면 너무 힘듭니다.

이번에 데비안에서 마라아 DB 를 사용하게 되면서 알게된 사실인데요.

마리아 DB 기본 옵션이 테이블명 대소문자 구별이네요.

2009 년도 글이지만 아래 "테이블 이름은 대소문자를 구분하는가?" 라는 글에서

"쿼리들은 대소문자가 중요한 유닉스로 옮긴다" 라는 문구가 있습니다.

대소문자 구별하는 DB 테이블명 유지 보수가 어렵다는 개인 경험치가 있기에

개인적으로 "대소문자가 중요한 유닉스" 이기에

DB 테이블명도 대소문자 구별로 간다는 말이 선뜻 이해가 안갑니다.

제가 DB 초보자라 걍 숨은 뜻이 있게다 싶습니다.

DB 좀 잘 아시는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emptynote의 이미지

RPC 프레임워크 맨땅에서 헤딩하기 2탄

부재 : 나의 첫번째 서버 실패 이야기

제가 만든 첫번째로 서버는

"자바 IO & NIO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라는 책에서 소개한 향상된 서버를 참고하였습니다.

저는 servlet/jsp 개발자로 시작했기에 입력 메시지를 받아 처리하는

비지니스 로직을 servet 과 유사하게 만들었고

servlet/jsp 처럼 동적 클래스 로더에 의해 로딩하여 실행시키는 구조였습니다.

웹 프로그래머가 처음부터 시스템 프로그램을 잘 만들리 없지요.

더구나 저는 그저 그런 개발자라 더욱 그렇습니다.

입력 메시지를 보낸후 딴짓을 할 수 있는 비동기식 메시지 처리 로직이 잘 동작해서 참 기뻐습니다.

사람들이 비동기 비동기 노래를 부르는 이유를 조금 알것 같았습니다.

하지만 딱 거기까지였습니다.

성능을 측정하는 첫단계로 저는 파일 송수신 부터 만들게 되었습니다.

동기식과 비동기식 2가지 버전으로 만들었습니다.

결론 부터 말하면 비동기는 완전히 망했습니다.

emptynote의 이미지

리눅스에서 개인 프로젝트에 사용중인 jar 라이브러리 중복 제거 팁

개인 자바 프로젝트에서는 많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합니다.

의존성 라이브러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줄 문서를 작성하고자 데비안 9.9에서 아래와 같이 했더니 금방 되네요.

find . -type f -printf "%f\n" | grep jar | sort | uniq > ~/tmp.txt

uniq 가 sort 를 안한 상태에서는 제가 원하는 데로 중복 제거가 안되어서

잘 이해가 안가지만 이리 하면 됩니다.

리눅스 사용하면서 소소한 행복이 이런 맛이 아니겠습니까 ^^

나빌레라의 이미지

나빌 입력기 2.1 릴리즈

작년 연말에 심심해서 만들었던 나빌 입력기(https://github.com/navilera/NavilIME)를 공개했습니다.

몇 분들이 써 주시고 버그도 알려주셔서 버그를 잡았습니다.
제가 쓰다가 발견한 버그도 잡았고요.
그러다 보니 적당히 동기부여가 되어서 인스톨러와 언인스톨러 그리고 설정툴도 만들었습니다.

꽤 많이 변경한 것 같아서 버전 번호를 올려서 릴리즈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읽어주세요.

https://github.com/navilera/NavilIME/blob/master/Doc/ReleaseNotes_2.1/README.md

감사합니다.

yungyuhyun54의 이미지

자료구조 공부하려고 하는데 교재좀 추천해주세요.

대학생 3학년입니다.
학교 수업만으로는 부족한 것 같아서 자료구조 공부를 따로 하려고 하는데
최근 트렌드에 맞게 나온 교재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lalupo20의 이미지

데비안에 가상머신 돌려서 윈10 쓰고 있느데

그냥 원래대로 듀얼부팅으로 할까 합니다

윈도우에서 간단한 문서작업 같은건 그냥 할만한데

포샵이나 프리미어 프로 쓰는건 무리네요.

아니면 윈7정도로 낮춰볼까 생각도 하고...

ksc919의 이미지

어제 컴퓨터 공부를 시작한 사람입니다.

(프로그래밍포럼에 썼는데... 주제에 안맞는것 같아 여기에 다시 씁니다. 글삭제는 어떻게 하는건가요 ㅠ)

대학생이며 계기가 있어 CS로 완전히 진로를 바꿀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두 달 전부터 컴퓨터 공부에 대해 구글링을 했고 방법,교재,OCW등등 많은 정보를 접했습니다만, 항상 그렇듯

뭔가 처음 시작할 때 이게 옳은 건가 하는 의구심 때문에 질문하게 되었습니다.

많은 교재추천을 받았는데, CS전공인 한참 위 선배님이 '너처럼 아예 코딩경험조차 전무한데 수학경험이 많은 애들은 차라리 C언어니 파이썬이니 하지말고 SICP 한권 제대로 한 번 읽어봐라'

라고 조언해주셔서 SICP책을 어제 받았습니다.

닥터라켓? 이라는 것도 다운받아서 연습문제 1.5까지 풀어봤습니다.
아직까지는 특별히 어려운게 없습니다.

책을 읽어나가면서 이런저런거 구글링하다가 파생되는 다른 내용도 몇 가지 알게 되었는데, 지금은 책을 중점적으로 공부하고 있습니다.(만 24시간도 되지 않았는데 ~하고 있습니다. 라고 하는것도 좀 웃기네요 ㅠ)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