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emptynote의 이미지

RPC 프레임워크 맨땅에서 헤딩하기 3탄

부재 : 큐와 쓰레드 그리고 메시지 순서 보장

나의 첫번째 서버는 cpu 100% 치고 올라가는것도 문제지만

또 다른 문제를 갖고 있습니다.

나의 첫번째 서버는 쓰레드간 큐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1개이상 입력 메시지 처리기 -- 1개 큐 -- 1개이상 비지니스 로직 처리기 -- 1개 큐 -- 1개이상 출력 메시지 처리기

와 같은 구조를 갖습니다.

이렇게 설계한 이유는 병렬성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였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있습니다.

채팅을 한다고 합시다. A 가 첫번째 메시지를 보낸후 다시 두번째 메시지를 보내면

같은 채팅방에 있는 B 한테 A 의 첫번째 메시지와 두번째 메시지를 순서대로 받는것을 보장 할 수 있을까요?

답은 도착한 메시지 순서를 보장 할 수 없다 입니다.

왜냐하면 동일한 로직을 수생하는 쓰레드라도 큐에 의해 먼저 깨어난 쓰레드의 일부분만 실행되고 그 다음 로직은 언제 실행될지 모릅니다.

lalupo20의 이미지

www.masterqna.com 이 사이트 말인데

지금 영어질문으로 도배되어 있는데

왜 그런지 아는분 계신가요?

세벌의 이미지

부럽다 이탈리아...

우리나라엔 하나도 없는 데비안 컨설턴트. 이탈리아에 무려 스물 아홉...

https://www.debian.org/consultants/#IT

esrevinu의 이미지

xscreensaver 개발자에게 메일을 보냈는데...

Gnome 아닌 다른 윈도우매니저를 쓰면서 xscreensaver를 화면잠금으로 쓰고
xss-lock으로 대기모드로 들어갈 때 화면을 잠급니다. 잠금 명령은
xscreensaver-command -lock 이고요.
그런데 xscreensaver에 fading 옵션을 주면 대기모드에서 깨어날 때
잠기기 전 화면이 잠시 보입니다.
그래서 xscreensaver를 xscreensaver-command -lock 명령을 받으면
fading 없이 즉시 잠기게 패치해봤더니 잘 되더군요.
그래서 개발자에게 이렇게 하는 게 어떠냐고 이메일을 보냈더니
fading 옵션 줬으니 fading 하는 것이 맞다네요. ㅠㅠ

Fading은 타이머로 자동으로 화면이 잠길 때나 필요하지 사용자가 명령 내릴 때는
필요없다고 논리적으로 설명해줘도 리눅스 싫어한다는 말만 하고...
리눅스 싫어하면 BSD 쓰는 걸까요? BSD에서는 대기모드로 들어갈 때
fading 하고 들어가는지 궁금하네요.

lalupo20의 이미지

안드로이드 키저장소 파일 잃어버려서 구글에 문의해놨는데

보통 대답 오는데 얼마나 걸리나요.

급한건 아닌데 빨리 답장 받았으면 하는데...

lalupo20의 이미지

이럴때 어떻게 하시나요

잘 안되던 부분 구현은 했고 (확인된)버그는 없는데

이런 논리로 짜는 구조가 아니라는 확신이 있으면?

다시 개발하시나요?

imyaman의 이미지

행사 홍보 좀... Korea DevOps Meetup '19

행사명 : Korea DevOps Meetup '19
시간 : 2019-06-08 (토) 13:00~18:00
장소 : 한국마이크로소프트(광화문) 11층

내용 :

메가존&글로벌 클라우드 교육 프로그램 소개
- 신정란

운영팀 없는 스타트업에서 개발자가 알아야 하는 서비스 운영 지식
- 이동인

Opencensus with Prometheus and Kubernetes
- 김진웅

DevOps의 인문학적 접근
- 유근준

Kubernetes로 내부 시스템 이전하며 겪은 일들
- 임찬식

베어메탈 컨테이너 플래폼 구축을 15분 만에
- 장기훈

DevOps Art 1년 부채부터 10년 부채까지
- 송주영

자동화, 어디부터 어디까지 가능한가?
- 공진기

SW 오작동으로 사람이 다치면 벌금이 1.2조, 기능 안전 임베디드 SW의 CI
- 한동준

lalupo20의 이미지

안드 환경에서 어떤 사이트 모바일 앱을 만드는데 버그가 있네요.

버그라기 보다는 성능 문제?

사용자 아이콘을 출력시키면

게시판이 엄청 느려지네요

상하 스크롤도 느려지고

게시글 들어가는 속도도 느리고

예전에 만들었을떄는 전혀 문제없이 잘 되었고 코드 대충 훑어봐도 별 문제 없는거 같은데...

코드를 얼마나 잘못 짰길래 이미지 용량 얼마 되지도 않는거 20개쯤 받아온다고 느려지는지

일단 아이콘부분 출력 안되게 했는데 찝찝하네요.

emptynote의 이미지

무지자라 도대체 공유기에서 tomcat 이란 용어가 왜 나오는건지 이해가 안가네요.

공유기에 대해서 알지 못하기에 알지 못하고 하는 소리일 수 있지만

was 종류가 tomcat 만 있는것도 아닌데

tomcat 만 있는 관리자 화면에 어이가 없네요..

공유기 초기화가 필요한 순간이 와서 초기화 했더니

이거 저것 설정이 필요하네요.

동영상도 잡아야 하는데 아우 스트레스네요.

단지 공유기를 초기화 했을뿐인데 도대체 동영상, tomcat 등등 이런 설정이 왜 필요한건지

도대체 공유기 역활이 무엇인데 이런것까지 관여를 하는건지

무지자라 이해가 안가서 푸념해 봅니다.

----------------------
"ipTIME NAS와 DLNA기기(스마트TV, 폰, 오디오) 연결하여 재생하기"

joone의 이미지

Typescript...

최근 node.js로 JavaScipt를 입문(?)했는데, 우연히.. typescript를 접했는데. 신세계군요.
게다가 MS가 이걸 만들었다니. full stack 엔지니어로 거듭나고 있는 중입니다.. :-)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