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babach의 이미지

부트로더를 만들어 보려고 하는데, 자유도가 높은 개발보드는 무엇이 있을까요?

1~2년동안 주요 관심사가 OS 여서 커널, 파일시스템 같은 걸 주로 공부하다가

드디어 몇 달전부터 더 밑단에 관심이 가기 시작했습니다.

계속 원리를 공부하고 알게되고 추상화 layer의 한단계를 벗겨내서 새로운 추상화 layer를 보고 이런 과정자체가 즐겁더라구요.

커널이라는 것도 결국 cpu와 주변장치와의 상호작용의 추상화라서 커널(운영체제)를 온전히 이해하려면 결국 하드웨어도 궁금해지는 지경에 오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커스텀 부트로더를 만들어보고 커널도 수정해서 올려보는 등 이것저것 보드 가지고 만져보려고 하는데, 이것에 적합한 개발보드는 무엇이 있을까요?

라즈베리파이는 예전에 사놨는데, 목적에 적합한 보드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커스텀 부트로더를 올릴 수 있는 건지 아직 잘 모르겠네요.

beagle-bone 이라는 것도 있던데 혹시 다른 분들은 이런 목적의 보드로 어떤 걸 사용하시나요?

whs9400의 이미지

해킹기술

(이 글을 보시면서 오해가 없으셨으면 합니다, 전 해킹을 하기 위한 목적이 아닌 해킹 기술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고 싶어서 질문을 올리는거고 만약 정보를 얻은후 이 정보를 바탕으로 연구를 통해 기술을 습득해서 악의적인 목적으로 해킹을 하지 않을겁니다 전 단지 해킹 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알고 싶어서 올리는거니 양해부탁드립니다.)

해킹 기술이나 해킹 기술에 대한 종류나 동작 원리, 어떤곳에 사용이 되는지 이런것?
을 알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을 택해야 하나요?
(커뮤니티나 사이트가 있을법도 한데..)

whs9400의 이미지

엑셀 또는 파워포인트 & 프로그래밍 언어

어..음.. 안녕하세요.
제가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해서 엑셀과 연동을 하는 작업을 해야할일이 생겼습니다.
그런데 전 엑셀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도 없고 sum함수 밖에 알지 못합니ㅏ.ㅋㅋㅋㅋㅋ;;
친구에게 물어보니, 엑셀이 도움이 많이 된다고 그러는데 또 학생땐 별로 쓸일이 없는지 안만져서 까먹었다고 그러더라구요.
그래서 질문을 올리는건데요 엑셀을 먼저 해야 할지.. 아직.. 물론 프로그래밍 언어에 손은 댔지만..ㅎㅎ 진도를 많이 빼지 않아서 아직은 상관이 없을것 같네요. 회사에서는 많이 사용하는것 같긴하고 또 도움도 많이 되는것 같은데 제 꿈에 도움이 될지 ㅎㅎ 이게 제일 궁금합니다.
제 꿈은 'White Hacker' 이구요, 한가지 더 파워포인트는 굳이 기능을 전부 배우지 않아도 왠만큼 작업은 가능하더라구요. 파워포인트를 배워야 할까요?
제가 이 질문을 올리는 이유는 괜히 이쪽으로 했다가 시간만 낭비할까봐 그게 제일 두려워서 올리는겁니다.
이해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tudyforever의 이미지

SoC 개발자 혹은 개발자가 되려는 사람들이 모이는 사이트가 있나요?

지금 Digilent사의 Nexys2 라는 보드를 이용해서 공부하는중인데요.

C는 정보가 많아서 필요한 자료 찾기가 수월한데 Verilog 힘드네요.

찾아봐도 대부분이 문법 관련된 것들이라 도움되는게 없어서 되는대로 만들기는 하는데

잘 작동하지도 않고 지금 제대로 하는건지도 모르겠고 답답하네요. 지금 Nexys2에 있는 PSDRAM한번 동작시켜보자고

몇 달을 붙잡고 있었는지...

어딘가 찾아가서 정보공유도 하고, 경험담도 듣고 이러고 싶은데 잘 활성화된 사이트가 안 보이네요.

혹시 아시는 곳 있나요?

waterpencils50의 이미지

파이썬 학교에서 하는데 이문제는 도저히 어떻게 풀지 모르겠어요 ㅠㅠ

일단 x에 숫자를 넣어서 그 x에 가장 맞는 2의 제곱수를 찾는건데요
예를 들어 x=8이면 2의 3제곱을 리턴값으로 주고

11.5면 2의 제곱중 가장 가까운수가 8이랑 16이 있는데 8이 더 가까워서 8이오고

14면 2의 제곱중 8이랑 16이 있는데 16이 더 가까워서 16이 나오는식인데요

어떤식으로 접근할지 모르겠네요...

def nearest_two(x):
"""Return the power of two that is nearest to x.

pinebud의 이미지

[아두이노] 재미나군요..

얼마전부터 아두이노를 해보고 있습니다.
사실 프로젝트꺼리가 있으면 더 재미나겠지만 그냥 가지고 놀아도 당장은 재미나네요.
우노의 경우 플래시 32KB 램 2KB 밖에 없어서 리눅스와는 거리가 먼 시스템입니다만,
어찌어찌 메모리 관리해가며 와이파이 붙이고 센서붙이고 하며 놀고 있습니다.

서버로 Google app engine + python + Django를 써봤는데.. 재미나는군요..
DB 모델만 넣으면 대부분의 부분이 자동화되어 있네요..

이런 것으로 일거리가 되면 재미나겠네요. :)
일이 되면 또 재미없으려나요?

pppkhlove의 이미지

이제 막 프로그래밍 공부시작합니다! 조언 부탁드릴께요!ㅜㅜ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23살이구요 4학년 올라가기전에 1년 휴학을 한 상태입니다
과는 컴퓨터관려된 학과이지만 c++ 객체지향 자료구조 데이터베이스 기본적인것만 배운상태입니다
1년동안 독학을 하면서 C언어중심으로 공부할 예정입니다 (대학교 청강도 들어가면서요-컴공과 기본 수업)

3D소프트웨어 개발로 나가고싶은데 C언어부터 차근차근 공부하면 괜찮을까요??
학원 보다는 서적이나 고수님들 강의보면서 독학하는게 괜찮은 건가요?
내년 복학하기 전에 허접하지만 포트폴리오를 만들고 싶습니다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gksrlf2ek의 이미지

트랜지스터에 대해 묻고싶은데요...

쇼핑몰에서 -트랜지스터-라는 카테고리에 들어가니까 무지 많은 종류의 트랜지스터들이 있더라구요.
근데 그 많은 트랜지스터들이 뭐가 다르기에 그렇게 많은 종류로 나뉘는 거죠????
FET나 BJT인가 뭐 그런 종류별로 각각 PNP랑 NPN 이렇게하면 많아야 수십개일듯한데...

annpang의 이미지

comtia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저는 미국와서 일찍 결혼해 간호학을 공부중인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고 저희 남편(현재24살 미국 고졸) 현재 아마존 데이터 센터에서 security로 일하고잇는데. 그쪽에서 지나가다 데이터입력? 하드웨어 관리하는 사람과 알게됫나봅니다. 남편에게 자격증을 따라고 (comptia관련.)
조언을 해줬다고 주변 커뮤니티대학에서 제공하는 test prep프로그램을 들어가려고 하네요. 가격이 700불에서 1000불정도 합니다.
저랑 너무 관련없는 직종이고. 잘몰라서 여기에 이렇게 질문을 올립니다. 제생각에는 대학부터가서 차근차근 해야할거같은데. 남편은 security인지 network인지를 자격증을 따고 취직해서 경험쌓는게 중요하다고 자격증을 따면 취직할수잇다고 하는데.. 취직가능한지도 의문이구요..

남편은 cyber security가 하고싶은거같은데.
미국에서 공부하신분들 조언부탁드립니다.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