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hwiorb의 이미지

i915/drm 문제가 kernel 3.18에 수정되었습니다.

https://bugs.freedesktop.org/show_bug.cgi?id=71031

i915 driver 에 해당되는 문제입니다.
저의 경우에는 사용하다가, 어느 순간 화면의 일부 pixel 색상이 깨지면서 시스템이 멎는 경우였습니다.
1080p 영상을 재생하거나, kernel compile 등의 I/O 또는 메모리 소모가 심한 경우에 자주 발생했습니다.

해당 문제가 발견된 건 3.12 에서 나타났는데, 3.16에서 patch가 반영되었습니다.
patch 반영 날짜는 작년 2014년 12월이고요.
그런데, 3.16 을 사용해도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라서, HDMI drm 문제로 HDMI를 연결해서 사용하면 kernel panic 이 발생합니다.(파악하는 데 시간이 없어서, 정확한 건 아닙니다)

ko9911u의 이미지

공부 조언좀 부탁드려요

공부가 하고싶은데 어디서부터 해야할지 갈피를 못잡겠습니다.
앞으로 계속 공부할 생각인데 구체적으로 뭘 할거야는 아니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알고싶어요.
그런데 혼자서 전공서적을 사기엔 좀 그렇고 책도 많고 인터넷에 자료도 많은데
뭘 뭔저 어떻게 손대야할지를 모르겠네요.
취미긴 취민데 이왕 시간투자할거 제대로 해보고 싶어서요.
가장 만만한 자격증 공부 해봤는데
컴활의 엑셀이나 엑세스 이런건 제가 원하는 방향이 아닌거 같고
산업기사 필기는 합격 했는데 공부한게 아닌거 같아요.
가장 좋은게 대학강의같은데 과 특성상 복수전공이나 부전공이 안될가능성도 있고
무엇보다 올해 대학 1학년이라 내년부터 신청 가능합니다.
과도 커리큘럼은 비슷비슷해 보이는데 멀티미디어 공학, 정보통신공학
컴퓨터공학 해서 3개나 있더라구요.
조금이라도 체계적으로 차근차근 하고싶은대 어디서 부터 해야할까요?
학원을 다녀야 하는지
일단 영어공부하라는 글이 많아서 계속 하고있구요.

gurugio의 이미지

운좋게 LSF/MM에 참석하게 됐습니다.

재작년 운좋게 그동안 바라왔던 커널 개발을 시작하게 되었고
작년 운좋게 몇개의 패치를 올렸습니다.
그러다보니 3월에 열리는 LSF/MM에 참석하게 되었습니다.
CMA나 HMM등의 세션에 들어가게 될것 같습니다.

절 아시는 분은 안계실것 같지만
지금의 제가 있도록 절 키워주신 KLDP에는 알려야 도리일것 같아서 소식남깁니다.
KLDP덕분에 커널 개발에 관심가지고 이정도까지 성장했다고 생각합니다.
항상 감사한 마음 가지고 있습니다.

..제 홈페이지 계정도 주시고요 ;-)

올해는 커널보다는 드라이버 개발을 하게됐지만
최대한 커널쪽도 계속 발을 걸치려고 애는 쓰고 있습니다.
내년 LSF/MM도 참석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지요..

보스턴가서 좋은 소식이 있으면 또 올리겠습니다.

heliotherapyy의 이미지

휴학 고민중인 미국 대학생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군제대 후 현재 미국에서 CS를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저희학교는 총 3학기제이고, 현재 두번째 학기를 다니는 중입니다.

사실 고민은 아니구요. 마음을 풀어놓을 곳이 필요해서...
본론을 바로 말하자면 휴학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는 미국 내 10위권에 드는 학교에 다니고 있습니다.

일단 저는 1학년 때는 연극을 공부하다 이쪽분야를 공부하기 시작한 초짜입니다.
최근에 Processing 을 이용하여 Media Art 를 만드는 것을 보면서 강하게 매료되었습니다.
그런데 이게 단순히 프로세싱을 배우고 싶은게 아니라... 예술을 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이 생각이 들고, 부모님께도 말씀드렸습니다. 저는 창작하면서 살고싶다고.
그랬더니 마음이 너무 편한겁니다. 더 이상 모든 잡념이 없어지고, 이거와 관련된 것들을 배우고 익히면 되겠구나.
그러면 난 더 행복해지겠구나....

flyman28의 이미지

Startup 팀원 모집 - 서버 개발자를 찾습니다.

현재 Progress는 앱 디자인 및 기능을 확정하고 페이퍼 프로토타입이 구현된 상태입니다. 안드로이드와 iOS 개발을 위한 Back-End 를 맡아 주실 수 있는 CTO 급 개발자 분을 찾고 있습니다. DB 디자인 및 API 개발을 포함한 전반적인 개발을 leading 하실 수 있는 분이셨으면 합니다.

아래 홈페이지를 5분 읽어보시고 아니다 싶으시면 그 땐 창을 닫으셔도 좋습니다.

http://odavi.co.kr

꼭 만나서 말씀 나눌 수 있길 바라겠습니다.

hansung902의 이미지

개발자 분들과, 진행을 하고 싶은게 있는데; 고민되네요 쩝;;;

Idea만 있는 상태여서..
cloud 관련 사업을, 하고는 싶은데.. 고민이네욥;;
seed money도 전혀 없구..
여기저기 알아보니~ (개발자는 꼭 필요하다며 조언;)
창투 등 투자사에서는, seed money는 꺼려하고...
여기 개발자 분들이 많으시니.. 좋은 방법이 없을까욥?;;
조언 부탁드릴게욥!

36311의 이미지

개인용 병렬처리는 Raspberry Pi나 Parallella를 쌓는 것이 최선인가요?

작년에 하모니카에 영향을 받아서 리눅스 배포판을 직접 만들어보자 → 이것저것 컴파일해보자 → 그런데 컴파일 속도가 느려서 답답하다 → 집에 남는 컴퓨터에 distcc를 깐다 → 아예 렌더링/그리드(?) 머신을 하나 만들어서 붙여보자

이렇게 삼천포로 빠졌는데, 잘 모르는 쪽이라서 웹서핑을 해도 정보를 얻기가 힘드네요.

Raspberry Pi나 Parallella를 쌓는 것이 개인 차원에서는 가장 쉬운 방법인거 같은데 왠지 비효율적인거 같은 느낌이 듭니다.

보드 하나에 꽂을 수 있는 뭔가 이런 작업에 특화된 제품이 이미 나와있을거 같기도 한데 무지하다 보니 찾지를 못하겠네요. 각각을 하나의 컴퓨터로 인식하지 않고 뭔가 단일화된 인터페이스로 처리하는 기술도 있을것만 같고요;

신문이나 잡지에서 CPU 여러개 달려있는 컴퓨터 그림을 본거 같은데 이런걸 개인이 자작할 수 있나요?

기본적인 개념을 잡을수 있도록 책이라도 소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koain의 이미지

리눅스 커널 2.6.32 버젼에서 unistd_32.h 파일

[root@localhost linux-2.6.32]# find -name unistd_32.h
./arch/sh/include/asm/unistd_32.h
./arch/x86/include/asm/unistd_32.h

커널 최상위 디렉토리에서 검색하니 두개가 나오는데 내용도 비슷한거같아요 무슨 차이인가요?

choiyoh의 이미지

현재 개발하고 있는 오픈소스 POS 프로그램입니다.

안녕하세요 저희 회사에서 이번에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POS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프로그램 기반은 uniCenta라는 영국의 오픈소스 회사에서 만든 oPos라는 프로그램 코드 기반이구요

한국 실정에 맞게 이것저것 뜯어고치면서 발전하고 있습니다.

오픈소스이니만큼 소스와 설치파일 모두 공유가 되어 있구요 여기에 계신 오픈소스를 사랑하시는 많은 분들의 관심과 의견들을 얻고자 합니다.

프로그램은 NetBeans IDE로 자바 1.7 환경에서 개발되었구요, 혹시라도 무료 POS가 필요하시거나 저희 코드로 자바 프로그래밍 공부를 하시고 싶다면 얼마든지 다운받아서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주소는 http://dev.naver.com/projects/dpos/ 현재 네이버 개발센터에 업로드 되어있는 상태이구요 이 글로 인해 어떠한 상업적 이익을 얻고자 함이 아닌 저희가 개발하고 있는 오픈소스 프로그램이 여기계신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로 더욱 발전되기만을 바랍니다.

hansung902의 이미지

devonthink와 유사한 program이~어떤게 있을까요~?(linux)

자료 정리 최고봉이라 일컫는, mac의 devonthink처럼..
linux에도 세부적으로 정리저장가능한 program이 있을까욥?~
web에서는 beecanvas.com이 있지만..
협업이 주이고~;;
basket notepad가 가장 유사한데..
update가 멈춰진거 같고;;
추천 부탁드릴게욥!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