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shint의 이미지

욕심쟁이 오리 아저씨 OP





욕심쟁이 오리 아저씨 OP 

 

요즘은 마영전이 보인다. ㅇ_ㅇ''

꽥꽥꽥꽥 - 드러 눕죠'''
욕심 부려도... - 욕심 부리죠. ㅡ_ㅡ;;
좋아해요. 사랑해요. - 하트 뿅뿅''
모험에 나라. 신비한 나라... ㅡ_ㅡ;; 그렇죠...
뒤뚱뒤뚱 찾아가죠... ㅡ_ㅡ;;
으르렁. 으르렁... 무서운 괴물이 나오죠...
하얀 마음. 착한 마음. 예쁜 둥지... 벤체너에 나무 둥지가 모여있죠... ㅡ_ㅡ;;
수수께끼 여행가죠... NPC 이상한 놈들... ㅡ_ㅡ;;

--------------------------------------

71284390423712492347129의 이미지

[수학공부] 하나하나 깊게 vs 빠르고 넓게

안녕하세요. 이제 중3되는 학생입니다. 얼마 전까지 수포자였는데 요즈음 수학에 관심이 생겨서 수학을 공부하려고 하는데요. 수학에 대해서 우리나라 수능 커리큘럼에만 국한되어서 사고하던 제가 운이 좋게도 Khan Academy라는 사이트를 발견했습니다. 미국 재단에서 개발하는 사이트라고 하는데, 제가 주워들은 걸로는 대학 2학년 정도 수준까지 무료 수학/과학/경제학 강의를 들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지금 방학이라 잉여 시간이 많아서 그 시간을 때울 겸 ㅋㅋ) 수학을 공부하는 데, 우리나라 수학처럼 하나하나의 개념을 아주 깊게 파고 들어가서 기초를 차근차근 쌓는 식 (예를 들어 정석 10번보기..?)이랑 서양식 수학처럼 개념과 원리를 중요시하고 문제가 쉬운 방식으로 공부를 해서 빠르게 진도를 나가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수학 하고 있을 시간에 대학교 수준의 수학까지 그냥 진도를 나가는 방식?) 중에 어느 게 더 좋은 방법인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아, 물론 학교에서 배우는 수학은 또 따로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ㅎㅎ

Necromancer의 이미지

리눅스를 데스크탑으로 쓴다면

4K 모니터가 더더욱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작업 특성상 작은 터미널들 여럿 띄워놓고 이곳저곳 눈으로 돌아보면서 작업하니 편합니다.

윈도우처럼 여러가지 기능이 담긴 큰 창 하나 띄우고 쓰는경우가 많다면 한눈에 들어오는 Full HD가 더 적절하겠지만. 이클립스같은 기능많은 큰 프로그램이 주용도면 23~24인치가 적절할듯 합니다.

어제 주문한 와xx망x 40인치 와서 설치했고 신세계를 보았습니다.
참고로 그래픽은 인텔 내장입니다 ㅎㅎㅎ 하스웰부터인가는 모르겠지만 스카이레이크는 DP로 4K 60Hz 됩니다.

onion의 이미지

드디어 살았군요!!!!

1등은 제가 먹었습니다 ㅋㅋㅋ

모두들 고생하셨습니다!!! 그리고 새삼 감사를..(꾸벅)

rlaanfyd의 이미지

Server Failover Cluster 구축 교육을 받았으면 합니다.

Windows Server OS 기반 Failover Cluster 구성 과정에서에 대하여 유급으로 교육해 주실 분을 모시려고 합니다.
1. Failover Cluster 구성 개요
2. 가상 머신 기반 Server간 Failover Cluster 구축 예시
교육을 원하는 대략적인 내용 입니다.
가능하신 분은 mrkim@strato-it.co.kr로 문의 바랍니다.

swanpurple의 이미지

컴공 졸업후 취준생 입니다

막연하게 아무 생각없이 지내다가 벌써 졸업할 나이가 되어 버렸네요

컴공을 졸업하면 개발자만 할줄 알았는데 이제와서 찾아보니 보안,데이터베이스 등 관련 직업들이 너무나 많은데요

학부생을 지내면서 딱히 관심있는 분야를 고르지 못해서 고민이 깊습니다.

그래서 인터넷을 찾아보니 보안쪽이 유망하다고 해서

보안과 개발자중 국비지원학원에서 배우려고 하는데 그 직로들에 관해서 물어볼 곳이 마땅하지 않아 이곳에 글을 올립

니다. 연봉은 어떤직군이 좋은지 업무강도나 이직이 수월한가. 수명이 얼마나 되는지 등 그런 것들을 알고 싶습니다.

많은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Necromancer의 이미지

지포스 드라이버의 이상한 정황 - GTX970 패스스루 고생담

회사서 서버 세팅하는데 윈도우와 리눅스를 한 컴퓨터에서 돌리게 됐습니다.
근데 사용 용도를 보니

- 리눅스는 24시간 계속 가동필요
- 윈도우는 그래픽카드 GPGPU사용, 셧다운/리부팅 자주 필요.

이걸 한 컴퓨터에서 할려면 가상머신 써야 되는데,
그래픽카드가 문제라 방법을 찾아보니 패스스루가 있더군요.
특정 PCI슬롯을 통째로 가상머신에 할당하고 하이퍼바이저는 그저 데이터 송수신 중계만 해주는 그런 기능.

먼저 젠으로 해봤는데 인텔 내장은 한방에 성공했습니다.
그래서 gtx970 달고 본격적으로 작업 시작했는데 가상머신 윈도우에서 지포스 드라이버 설치하면 코드 43만 뜨고 작동 안됩니다. 이때문에 며칠 삽질했습니다.

어찌어찌해서 qemu+kvm 에 -cpu host,kvm=off 트릭으로 패스스루 성공 했습니다.

cal123의 이미지

.

.

blackrabbit14의 이미지

.jp가 붙는 일본사이트만 접속이 안됩니다.

네트워크 관련 질문입니다.


현재 데스크탑(랜선)으로 인터넷을 사용중 입니다.
평소에는 주소에 .jp 가 붙는 일본사이트들 접속에 장애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처음으로 위에 언급한 사이트들의 접속이 매우 느려지거나 혹은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