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GRu의 이미지

정부, 마이크로소프트 운영체제 떠난다

오늘 뉴스에서 정부가 공무원 PC에서 MS window를 더이상 사용하지 않고 개방형 os로 갈아탄다고 하더군요.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483882

여러분들은 개방형 os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지금 거론되는건 하모니카, 구름os, 티맥스os정도인것 같은데,
솔직히 해당 os들에 대해 좋은 소리를 들어본적이 없거든요ㅎㅎ
특히 티맥스...

요즘은 점점 벤더 고착화 현상을 피하는게 트렌드인것 같네요...

리눅스시스템의 유지보수비용을 차치하고서라도 벤더를 탈피하는게 좋은건지...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공포가 사람들의 판단력을 흐트리는 것 같습니다.

저는 미국 실리콘 밸리에서 직장을 다니고 생활하고 있습니다. 지지난 주말에 감기에 걸렸습니다. 열은 없는데--37도 미만--가래가 계속 생기고 기침이 납니다. 기침이 심할 때는 글자 그대로 연속적으로 나서 일을 할 수가 없는 수준이었습니다. 그래서 마스크를 하고 다닙니다. 한국의 이마트처럼 이 지역에도 어디에나 있는 큰 잡화점 체인이 몇 개 있는데, 지역마다 어느 체인이 흔하냐가 좀 달라 보이고 여기는 Safeway가 꽤 흔합니다. 매일 다니던 곳에 꽃을 사러 갔습니다.

그랬더니 거기 라틴계로 보이는, 꽃집 파트를 그날 담당하는 직원이 저더러 "Do you speak Chinese?"라고 묻더군요. 중국 사람 아니냐는 거죠. 그리고는 중국 우한에 최근 여행했는지 물어보더군요.

세벌의 이미지

TerraForming

SF에 등장하는 용어. 그런데 미래과학에서는 현실이 될 지도...
지구 아닌 행성을 지구처럼.

https://en.wikipedia.org/wiki/Terraforming

emptynote의 이미지

코다와 함께 성장합니다. ^.^

현재 코다 서버 비지니스 로직을 개선중입니다.

썸머노트 위지웍 HTML 에디터라 코다 관련 문서를 이거 이용하여 작성하면 좋겠다

생각하여 문서 서비스를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문서 서비스는 기본 게시판 제목 + 내용 에 파일명 정도 추가하여 '적용' 버튼 클릭시 지정한 파일명으로 '제목' + '내용' 을 바탕으로 템플릿에 넣어 최종 html 로 만들어 주는 서비스입니다.

그런데 이거 만들면서 기존 게시판 하나 더 추가해서 문서 관련 '파일명' 이라는 정보만 추가하고 했는데

아 설계를 잘못하여 DB 트랜재션으로 묶을 수가 없네요.

그래서 개선을 하고 있습니다.

개선된 소스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개발자가 작성할 비지니스 로직과 트랜재션을 완전히 분리해 놓았습니다.

무엇이 조립 가능한 콤포넌트 인가? 고민이 되더군요.

조립 가능한 콤포넌트는 트랜재션이 분리된 비지니스 로직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그 방향에 맞추어서 비지니스 로직과 트랜재션을 분리를 하였습니다.

swish95의 이미지

코비 브라이언트 사망..

뭐 관계없는 글이긴 하지만 슬램덩크와 함께 농구세대인 저에겐 꽤나 충격적입니다.

아직 조던이나 레지 밀러같은 레전드들도 살아 있는데 이렇게 안따깝게 가다니 일이 손에 안잡히네요 ..

뭐 그렇다고 제가 농구를 그렇게 열심히 보거나 하지는 않지만 개인적으로는 마이클 잭슨 사망 기사만큼이나 충격적이군요..

농구밖에 모르는 코비 RIP ..

vagabond20의 이미지

활성화 주제

여기 주로 글 쓰는 사람들이 세벌, shint, emptynote 그리고 아주 가끔 들어와서 자기 넋두리나 하는 vagabond20...

자유게시판이니까 상관은 없겠으나 좀 더 활성화 되었으면 하는데, 외국 사이트에 가서 검색하고 도움받는게 훨씬 빠르고 낫다고 생각하는 이들은 발길이 뜸해지게 되는듯 합니다.

세벌의 이미지

족보...

족보. 종이 책으로 만들어진 족보를 인터넷으로...

https://garamfa.blog.me/221784796621

emptynote의 이미지

문서에 관한 좋은 글 소개합니다.

"문서화에 대해 아무도 말해주지 않는 것들" 라는 좋은 글 소개합니다.

번역글이구요. 원문 제목은 "What nobody tells you about documentation"

내가 만든 오픈 소스 홍보를 어떻게 해야 하나?

이게 고민인데요.

오픈 소스라고 소스만 개발해서는 끝이 아닌데

이런 이야기를 누가 해주는 곳이 없다는것이 아쉽습니다.

-------
"문서화에 대해 아무도 말해주지 않는 것들" 번역글 참고 주소 : http://blog.weirdx.io/post/60414

원문 주소 : https://www.divio.com/blog/documentation/

lalupo20의 이미지

개발 한 1년 쉬었더니...

C++ 문법이 가물가물하네요;

만들고 싶은 프로그램이 생겼는데

개발 시작하기전에 문법부터 다시 봐야할거 같네요;

emptynote의 이미지

웹에서 IE 가 버림 받는 이유를 알듯하군요.

웹 프론트 개발에서 모바일과 PC 라는 해상도가 전혀 다른 매체를 지원하고자 할때

정말로 축복같은 API 가 있습니다. 바로 부트스트랩입니다.

이것을 "반응형 웹" 이라고 부르는데요.

PC 에서 화면을 이리저리 바꿀 경우 그것에 맞추어서 화면이 바꾸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을 이용하여 지금 커뮤니티 사이트 개발중인데요.

2번 이상 클릭 즉 캐쉬 잡힌 이후로는 크롬으로 할때에는 깜빡임이 별로 없는데

IE 에서 보니깐 깜빡임이 심하네요.

그래서 엣지로 해 보니 IE 보다 상대적으로 덜 하네요.

개발하는 제 입장에서는 IE 가 깜박이는것은 최신 기술 미지원으로 다가옵니다.

그런데 저 혼자만 이렇게 생각하는것이 아니고 웹 개발자들 다 그리 생각하는듯 해요.

그러나 저러나 부트스트랩4까지 나온 상태에서

IE8 지원을 한다는 부트스트랩3로 개발중인데 잘한 선택인지 모르겠습니다.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