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gabond20

vagabond20의 이미지

Personal

실명
캐나다거위들의 친구
위치
미국 중부
직업
개발자로 돌아가고 싶어하는 업무분석가 (BA)
관심사
뭐든 알려면 제대로 아는것
자기 소개

옛날에 방송에 소개된 정주영 현대회장의 일화에 그런말이 나온다.
"이봐, 이거 해 봤어?"
새로운것이나 기술적인것, 좀 복잡해 보이는것, 특히 그것이 남이 아직 많이 안 해본것의 영역을 블루오션이라고 한다.
내 어릴때 꿈은 막연하게 물리학자가 되는것이었다.
젊은시절을 그냥저냥 평범한 직장생활을 하며 보내다가, 40 중반쯤 부터였나 - 우주에 관심이 많아지기 시작했다. 정확히 말하자면 팟케스트 (한국의 팟방) 에서 과학하는 사람들 코너의 이강환 박사가 우주에 대해 이야기 해주는 것을 들으면서 더 관심을 많이 갖게 되었고, 깊지는 않지만 많은 지식을 쌓게 되었고 점점 더 깊게 알고 싶어졌다. 결국은 우주의 신비 또는 비밀이 아인쉬타인의 상대성이론에 의해 하나씩 벗겨지니 물리학과 깊게 관련이 있다는것도 알았다.
진입장벽이랄까 하는것은 없어보였다.
디스커버플러스 채널의 우주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라는 다큐멘타리를 보고 또 보면서 지식을 더욱 넓혀가며 65 세 쯤 은퇴를 하면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천체물리학과에 들어가서 정식 학위과정을 하거나 아니면 인터넷과 도서관을 이용해서 학위같은거 관련없이 우주에 대해 공부를 더 하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 유튜브에 올라오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에 의해 새로이 발견되고 있는 사실들이 내가 가지고 있던 의문에 답을 하기에 이르른다.
과연 빅뱅이 맞는 이론인가? 우리가, 아니 천체물리학자들이 알고있는것이 정말 맞는것일까?
나아가서,
우주에 대한 연구나 관찰이 꼭 서양사람들에 의해서만 된것도 아닌데, 모든 우주에 대한 발견이나 이론이 왜 다 서양문명에 의한것만 있을까?
그러다가 생각한다.
아! 맞다.
지금 21 세기 역시, 아직은 서양문명이 널리 퍼져 이 모양이겠구나.

다시 돌아와서,
우주, 즉 천체물리학에 블루오션이 펼쳐지는게 보인다.
다행히도 나는 컴퓨터프로그램을 할 수 있는 능력도 있다.
새로운 무언가를, 전혀 새로운 접근방식으로 우주에 대해 공부하고 연구하고 싶은 생각이 많이 든다.
무언가 해 낼것같은 착각?

기록

가입한지
14년 3 개월
Authentication providerIdentity
There are no connected ident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