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hat Linux Enterprise WS 32bit 드라이버 설치에 관하여...
글쓴이: config98 / 작성시간: 월, 2006/06/26 - 10:16오전
리눅스 초보입니다.
초보라기 보단 백지 상태입죠.
페도라 한두번 설치 해본적은 있습니다만 엔터프라이즈 버전은 구경도 못해본 촌놈입니다.
페도라 코어4 설치 할땐 최신 드라이버도 잘 잡혀서 세팅하는데 어려움이 전혀 없었습니다만,
엔터프라이즈에 사용할 하드웨어 드라이버가 내장 되어 있지 않을것 같아 도움을 요청합니다.
우선 메인보드는 ASUS P5WD2-E Premium (intel 975x Chipset) 이구요,
VGA는 Quadro FX3400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리얼텍 ALC882M 내장 사운드, Marvell 88E8053 Gigabit NIC 내장 랜카드가 보드에 있습니다.
엔터프라이즈 WS 3.0에서 얘들이 내장 드라이버로 다 잘 잡힐까요? ㅠ.ㅠ;;
추가로 드라이버 설치하고 하는건 리눅스 기초가 없어서 어려울것 같구요...
배워서 해결하려니 이번주 중에 해결 해야 될 문제라....시간의 압박이...
혹시 VNC같은거 설치해 놓으면 세팅 해 주실분 없나요?
(ㅡ0ㅡ; 리얼텍 랜카드 임시로 꽂고 VNC는 어떻게 설치 해볼께요..)
휴.....
저에겐 너무 어려운 리눅스...
Forums:
일단 설치를
일단 설치를 해보시고 질문을 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RedHat을 구입하셨다면 RedHat사에 공식적인 질문을 올리셔도
됩니다. 일단 제품을 구입하셨으면 A/S비용까지 추가되어있는 것이니까요.
즉, 구입처에 문의하시면 이곳에 질문하는 것보다 더빨리 그리고 더 정확한
답변을 들으실 수가 있을겁니다.
------------------------------
좋은 하루 되세요.
------------------------------
좋은 하루 되세요.
직접 하실거라는
직접 하실거라는 가정하에 답글 달아 봅니다.
우선 대부분(랜카드,그래픽카드,사운드카드)이 안잡힐것 같습니다.
가능하면 구글 같은데서 하드웨어 제조사 홈페이지를 검색해 찾아 들어가셔서 특정 배포본의 커널 버전을 지원하는 바이너리 드라이버가 있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만일 동일 배포본에 커널 버전만 다른것을 지원한다면 우선 커널부터 업데이트 하셔야 할테구요.
바이너리가 없다면 커널 소스 컴파일이 필요합니다. 경우에 따라 누군가가 미리 특정 배포본을 위해 바이너리를 만들어 놓는 경우도 있습니다.
드라이버 소스도 없다면 하드웨어들을 지원하는 커널 소스를 직접 받아서 컴파일 하셔야 하구요.
이 과정중에 어려운 점이 생기셨을때 추가로 질문을 올리시면 답글 달아주실 분이 있을듯 합니다. 특별한 사항이 없으면 충분히 이번주 중에 성공하실 거라고 봅니다. ^^
-- Signature --
青い空大好き。
蒼井ソラもっと好き。
파란 하늘 너무 좋아.
아오이 소라 더좋아.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