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이 없는 곳에서 리눅스 사용하기? 그리고 맥 파티션은 뭔가요??
글쓴이: 등짝을보자 / 작성시간: 금, 2006/12/29 - 11:25오후
만약에 인터넷이 연결이 안되어있는 상황에서 컴퓨터을 써야한다면 어떻게 써야하나요??
/var/cache/yum
이곳에다가 rpm 많이 저장해놓고 yumex 으로 설치하면 되나요??
이상한 질문해서 죄송한데요....궁금해서 그렇습니다...
그리고 애플컴퓨터말이에요...BSD 계열이라고 들었는데 그렇다면
리눅스 처럼 ext3 인가요??
만약에 부트캠프로 MacOSX / Linux 이렇게 멀티부팅가능한건가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커널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는데요...-_-;;
커널을 실무에서 쓴다면 어떻게 쓰는지가 궁금한데요..
임베디드하드웨어 제작 -- 디바이스 제작 또는 리눅스커널 하드웨어에 맞게 컴파일
이렇게 쓴다는것을 의미하는건가요??
아...질문 많네요..-_-;; 포인트라도 있으면 드리고싶은 심정입니다....-_-;;
Forums:
패키지야 많으면 좋겠죠?
RPM 패키지 파일을 모두 가지고 계시면 인터넷이 없어도
필요한 패키지설치가 가능하겠지요?
그리고 맥 OS X 는 ext3 파일시스템을 쓰지는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부트캠프에선 리눅스와 MAC OS 와의 멀티 부팅이 지원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커널에 관련된 기술을 쓰는 곳은 여러가지로 많습니다.
기존에 지원이 되지 않는 하드웨어에 대한 드라이버를 제작하거나,
새로운 하드웨어를 제작하고 거기에 맞는 드라이버를 제작하는 것도 커널과 관련된 것이죠.
임베디드 시스템을 개발하고 거기에 맞게 개발하는 것도 커널과 관련된 기술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커널만으로 모든 것을 이루기는 어렵죠. :)
기존의 시스템의 확장, 개선을 위해서 커널 수정/제작 기술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
( - -)a 이제는 학생으로 가장한 백수가 아닌 진짜 백수가 되어야겠다.
맥의 파티션은........
OSX의 파일시스템은 HFS+라는 고유의 파일시스템을 사용합니다. (OSX 이전버전인 OS9 이하버전들에 대해서는 저도 잘 모르겠네요. 써볼 기회가 잘 없어서리...)
부트캠프는 윈도우XP만 공식지원하고 다른 운영체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부트캠프로는 안되고 패러렐이나 VMWARE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서는 리눅스를 돌릴 수 있다고 합니다. 단, 단독부팅은 안되고 OSX가 돌아가고 있는 상황에서 그 위에 에뮬레이션 하는 것만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fedora ppc 로 깔면되지않나요??
fedora ppc 로 깔면 돌아가지않나요??
감비노도 궁금해하더라구..등짝!..등짝을보자!..
감비노도 궁금해하더라구..등짝!..등짝을보자!..
맥포럼
맥과 관련된것은 관련 포럼을 먼저 찾으시고 원하는 정보를 찾으시는것이 빠를것으로 예상됩니다.
맥의 경우에도 최근의 x86 기반과 기존의 ppc 기반이 다르기 때문에 둘중에 어느것이냐에 따라서도 사용이 가능한 배포본에 차이가 조금 있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포럼은 http://www.insanelymac.com/ 입니다.
영어이긴 하지만 꽤 활동이 활발한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는 기존 x86 pc에다가 MacOX x86버전을 깔아보고 싶어서 찾게 된 곳이긴 하지만 Forum에 *nix(리눅스 포함)관련 글들도 꽤 있어 보입니다.
-- Signature --
青い空大好き。
蒼井ソラもっと好き。
파란 하늘 너무 좋아.
아오이 소라 더좋아.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