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투와 바이너리 기반 배포본과의 성능차이?

vj1974의 이미지

글들을 쭈욱 보니까 젠투의 경우 아주~ 정교하게까지 세팅을 끝내면 더 빠르다고 나와있는데요..(낮은 값을 사용하는 bsd의 반대--;)

바이너리기반의 데비안같은 경우... 젠투와의 차이가 나는게 느껴질 정도인가요? 예로 웹서비스라던지.. 반응속도라던지..
(수치상 차이가 나는건지.--;)

우분투는 기존 데뱐보다 더 쉽게 설치가 잘돼는데.. 젠투는--; 도대체 무었부터 손대야 할지..;참.-_-;

일단은 설치해보고 우분투/데비안/젠투 or BSD중에서 선택을 하려고 하는데-_-; 젠투에서 막히는군요..

젠투를 사용하시는 분들~ 사용하시면서 어떠하신지요?
수시간을 들여서 컴파일해서 정교하게 세팅한뒤에(세팅값만 알려고 해도 시간이;) 사용하시면서 만족감이 들정도 퍼포먼스 차이가 느껴지시는지요?

---------
젠투 게시판에 가서 그냥 무작위로 글들을 읽으면서 보던중..
패치와 관련된 글들이 눈에 들어오는군요... 패치할때마다 새로 빌드ㅡㅡ;;;;

:: 아직 설치도 못하고..--; 문서들만 읽고 있습니다.;; 설치를 못해서...;; 예전 엑셀리눅스 설치할때 설치를 못해서 찾는 시간들이 생각나는군요..... 흠... 아참 라이브시디가 이름이 바뀐듯하군요.(문서는 1.4기준) 그냥 최소시디+네트웍+스테이지1 설치를 성공하려면 한 일주일은 잡아야 할듯 합니다...

:: 그동안 말없이--; 돌아가는 윈 서버들 ㅡ,.ㅡ; 가끔 자동업데이트 해놓고 재부팅해야 한다며 1~2분여마다 메세지를 뛰우는거 보면 짜증이 팍팍 솓는군요--; 한달에 한번씩은 있는듯 싶군요..(마법인가ㅡㅡ?)

댓글

bus710의 이미지

스테이지 1로 까신다면 모르지만 스테이지 3은 별 차이 없습니다.

다만 기본 설정 이후 부터는 어떤 용도로든 다양하게 자신에게 최적화 시킬 수 있다는 건 좋죠.

저는 각 데몬들이 뭔 역할을 하는지도 모르는데 계속 돌아가게 하는 것이 불만이라 젠투를 쓰고 있습니다.

life is only one time

정태영의 이미지

수치상으로 로드를 엄청나게 마구마구 걸경우 차이가 날 수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사실 젠투의 장점은... 그런거보다는 원하는 기능을 쉽게 키고 끌 수 있다는 거에요 :)

Quote:
$ sudo emerge -pv dev-lang/php

These are the packages that I would merge, in order:

Calculating dependencies ...done!
[ebuild R ] dev-lang/php-5.0.5-r4 -adabas +apache -apache2 -bcmath -berkdb -birdstep +bzip2 +calendar -cdb -cgi +cjk +cli +crypt +ctype -curl -curlwrappers -db2 -dba -dbase -dbmaker -debug -discard-path -doc -empress -empress-bcs -esoob +exif -fdftk -filepro -firebird -flatfile -force-cgi-redirect -frontbase +ftp -gd +gd-external -gdbm +gmp* -hardenedphp -hyperwave-api +iconv +imap -informix -inifile -interbase -iodbc +ipv6 -java-external -kerberos -ldap -libedit -mcve +memlimit -mhash +ming -mnogosearch -msql -mssql +mysql -mysqli +ncurses +nls -oci8 -oci8-instant-client -odbc -oracle7 -ovrimos -pcntl +pcre -pdo-external +pear -pfpro -pic +posix +postgres -qdbm +readline -recode -sapdb -sasl +session -sharedext -sharedmem -simplexml -snmp +soap +sockets -solid +spell -spl +sqlite +ssl -sybase -sybase-ct -sysvipc -threads +tidy +tiff +tokenizer +truetype -wddx +xml2 +xmlrpc -xpm -xsl -yaz +zip +zlib 4,780 kB

Total size of downloads: 4,780 kB

뭐 대략 저런게 --;;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그 꿈을 닮아간다...

http://mytears.org ~(~_~)~
나 한줄기 바람처럼..

다크슈테펜의 이미지

vj1974 wrote:

:: 그동안 말없이--; 돌아가는 윈 서버들 ㅡ,.ㅡ; 가끔 자동업데이트 해놓고 재부팅해야 한다며 1~2분여마다 메세지를 뛰우는거 보면 짜증이 팍팍 솓는군요--; 한달에 한번씩은 있는듯 싶군요..(마법인가ㅡㅡ?)

그 상태에서 아무동작 안하고 가만히 놔두면 지가 알아서 저절로 리부팅을 해버리는 신공도 발휘하지요..크헐헐...
가끔씩 윈도우즈 서버 관리하시는 분들 보면 존경스러운 생각이...
DNS서버와 액티브 디렉토리 조합이면 부팅 시간도 장난이 아닌텐데...

인생이란게 다 그런게 아니겠어요....? 뭘(?)
http://schutepen.egloos.com

jachin의 이미지

Stage 3 를 쓰더라도 다시 전체 업데이트를 한 번 하면 Stage1 이나 다를바 없습니다. :)

성능차이요? 불필요한 패키지, 라이브러리가 없어서 로딩 시간이 조금 줄어들 뿐입니다.

커널 컴파일이야 미리 해놓은 것을 쓰는 것이 아니니 필수적인 요소만 커널 컴파일을 하면 더 빨라지겠고요...

GUI 환경 또한 불필요한 서비스를 줄여서 조금 더 빠르게 반응하는 것 뿐입니다.

사실 젠투의 핵심은 패키지 관리니까요. 컴파일을 해서 좋은 것은 안정적으로 잘 돌아간다는 것입니다용.

BSD가 젠투와 다른 방향으로 안정성을 위해 설계되었다고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BSD와 젠투의 가장 큰 차이는 커널입니다.

다크슈테펜의 이미지

리눅스가 배포판이 중요한 것은 아니잖아요...?
리눅스도 윈도우즈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도구에 지나지 않을 뿐이고 거기에 애정이 있고 없고 차이지 근본적인 것은 같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말인데...

Quote:

우분투로 올인하세요... :twisted:

인생이란게 다 그런게 아니겠어요....? 뭘(?)
http://schutepen.egloos.com

cppig1995의 이미지

우분투 쓰세요!

Real programmers /* don't */ comment their code.
If it was hard to write, it should be /* hard to */ read.

랜덤여신의 이미지

정태영 wrote:
수치상으로 로드를 엄청나게 마구마구 걸경우 차이가 날 수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사실 젠투의 장점은... 그런거보다는 원하는 기능을 쉽게 키고 끌 수 있다는 거에요 :)

Quote:
$ sudo emerge -pv dev-lang/php

These are the packages that I would merge, in order:

Calculating dependencies ...done!
[ebuild R ] dev-lang/php-5.0.5-r4 -adabas +apache -apache2 -bcmath -berkdb -birdstep +bzip2 +calendar -cdb -cgi +cjk +cli +crypt +ctype -curl -curlwrappers -db2 -dba -dbase -dbmaker -debug -discard-path -doc -empress -empress-bcs -esoob +exif -fdftk -filepro -firebird -flatfile -force-cgi-redirect -frontbase +ftp -gd +gd-external -gdbm +gmp* -hardenedphp -hyperwave-api +iconv +imap -informix -inifile -interbase -iodbc +ipv6 -java-external -kerberos -ldap -libedit -mcve +memlimit -mhash +ming -mnogosearch -msql -mssql +mysql -mysqli +ncurses +nls -oci8 -oci8-instant-client -odbc -oracle7 -ovrimos -pcntl +pcre -pdo-external +pear -pfpro -pic +posix +postgres -qdbm +readline -recode -sapdb -sasl +session -sharedext -sharedmem -simplexml -snmp +soap +sockets -solid +spell -spl +sqlite +ssl -sybase -sybase-ct -sysvipc -threads +tidy +tiff +tokenizer +truetype -wddx +xml2 +xmlrpc -xpm -xsl -yaz +zip +zlib 4,780 kB

Total size of downloads: 4,780 kB

뭐 대략 저런게 --;;

저도 이런점을 좋아합니다. :-)

또, 젠투의 패키지 관리 시스템이 우분투보다 진보되어 있다는 장점도 있구요.
일단 portage 자체가 BSD 의 ports 를 가져온거라 깔끔하고, etc-update 같은게 참 좋죠.

그리고 젠투에서 지원하는 패키지 수가 많습니다. 상용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굉장히 잡다한 패키지까지 다 있죠. 또 라이센스 제약이 심하지 않습니다. 젠투 패키지 트리에는 vmware, cedega, shoutcast, java jre/jdk, mplayer, enemy-territory 등이 있습니다.

또 한가지 젠투의 장점은, 패키지 버전업이 항상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데비안 안정버전 / 우분투 안정버전은 굉장히 안정하지만, 패키지 버전업은 없습니다. 반면헤 데비안 불안정버전 / 우분투 불안정버전은 패키지 버전업이 오히려 젠투보다 빠르지만, 굉장히 불안정하죠. 특히 예전에 우분투 불안정 버전을 한번 써 봤는데 너무 불안정해서 제 실력으로는 도저히 감당이 안 되더군요;;

성능은 저에게 있어서 부차적인 문제입니다. 젠투나 우분투나 데비안이나 성능으로 인한 차이는 거의 없다고 생각해요.

젠투의 철학 도 맘에 들고... =3

uriel의 이미지

랜덤의여신 wrote:

또, 젠투의 패키지 관리 시스템이 우분투보다 진보되어 있다는 장점도 있구요.

flame war의 가능성이 있지만.. "진보되어 있다"의 정의를 어떻게 하셨는지 모르겠지만 이것은 동의 할 수 없네요. 예전 rpm같이 의존성 관리 기능이 명백하게 부족한 경우는 이런 식으로 이야기 할 수 있겠지만 그 외에는 서로 비교할 수 없는 대상이라고 생각합니다.

bus710의 이미지

uriel wrote:
"진보되어 있다"의 정의를 어떻게 하셨는지 모르겠지만

제 생각일 뿐입니다만...

공씨디가 한장만 필요하다는 것 하나만큼은 확실히 좋은 것 같습니다;

물론, 우분투도 아주 잘 쓰고 있습니다.

life is only one time

ydhoney의 이미지

uriel wrote:
랜덤의여신 wrote:

또, 젠투의 패키지 관리 시스템이 우분투보다 진보되어 있다는 장점도 있구요.

flame war의 가능성이 있지만.. "진보되어 있다"의 정의를 어떻게 하셨는지 모르겠지만 이것은 동의 할 수 없네요. 예전 rpm같이 의존성 관리 기능이 명백하게 부족한 경우는 이런 식으로 이야기 할 수 있겠지만 그 외에는 서로 비교할 수 없는 대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면 또 플레임성이긴 한데..

패키징 시스템은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그 패키징 시스템을 관리해주는 관리시스템이 얼마나 진보되어있느냐는 또 별개의 문제이지요.

apt-get을 안쓰고 deb만 가지고 쓰라고 하면 마찬가지라는겁니다.

레드햇을 구매하시면 웹으로 모든 패키지 관리가 가능합니다. -_-a;

prolinko의 이미지

컴파일 옵션에 따른 성능 차이는 같은 상황에서 직접 비교해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위에서도 말씀하셨듣이 젠투의 더 중요한 장점은 자기 마음대로 필요한 기능을 포함 시킬수 있다는 것입니다.

바이너리 배포본의 경우 어떤 패키지에 required dependency가 붙어있지 않더라도 그 패키지와 붙을 가능성이 있는 모든 다른 패키지를 고려해서 일부 쓸데없는 것을 제외한 모든 기능을 포함시켜서 컴파일 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두개 이상의 기능이 서로 상충할 경우 서로 다른 이름의 패키지로 각각 패키징해 놓죠(예를 들면 totem-gst, totem-xine)

이렇게 쓰지않는 기능들도 켜져서 컴파일되어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overhead가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아지게 되는 거죠. 젠투의 경우 자신이 쓸 기능을 제외하고 USE flag를 off시킨채로 compile하면 이런 overhead가 생길 여지가 없어지는 것입니다. 더해서 다른 패키지와 많이 연관을 가지는 패키지라하더라도 USE flag만 잘 조절한다면 바이너리 배포본에서 처럼 뭐하나 깔려고 했더니 수많은 패키지가 주렁주렁 딸려오는 상황을 어느정도 피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정태영의 이미지

젠투자랑을 좀 해보자면 :evil:

jdk 라던가 gcc 등은 메이져 버젼별로 설치를 해두고 선택해서 사용하는게 아주 쉽게 가능합니다...

gcc-3.3, gcc-3.4, gcc-4.0 을 함께 설치해두고 gcc-config 를 통해 사용할 버젼을 선택할 수 있고... java 도 마찬가지로 여러가지를 설치해두고 (blackdown-jdk,sdk, sun-jdk,sdk 1.4,1.5 등등) java-config 를 통해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 크로스컴파일을 위한 환경도 crossdev 를 통해 아주 쉽게 구축이 가능하죠 :)

emerge crossdev 를 한 후

crossdev -t arm
crossdev -t avr

등을 통해 target arch 를 위한 컴파일러와 libc, binutils 등을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python, perl 등을 메이져 업데이트 했을 경우 모듈들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이런 것을 해결하기 위한 python-update 등의 스크립트도 제공해주고 있구요...

어떤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고 있는 라이브러리를 제거했다거나 했을 땐 revdep-rebuild 를 통해 자동으로 해당 라이브러리를 빌드시킬 수도 있습니다...

env-update, etc-update, rc-status, rc-update 등등 상당히 깔끔한 스크립트들이 제공되죠 ... 개인적으로 디렉토리 구조들도 맘에 들고... :)

물론 모든 걸 컴파일해서 설치한다는 데서 오는 부담이 없지는 않지만 ... 정말 매력적인 배포판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그 꿈을 닮아간다...

http://mytears.org ~(~_~)~
나 한줄기 바람처럼..

소리의 이미지

정태영 wrote:
젠투자랑을 좀 해보자면 :evil:

저도 덧붙여 젠투사랑을 좀 해보자면 :evil:

젠투의 유연성은 USE 플래그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게 다가 아닙니다. 기본 정책과 더불어 각 패키지별로 keyword, mask, use 등을 설정해줄 수 있는데, keyword는 stable/testing/unstable을 말하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kldpmanse라는 패키지를 설치한다고 합시다. stable엔 버전 1.0이 들어있고 testing엔 1.2가 들어있는데 나에게 필요한 기능이 1.2에만 들어있다면 app-category/kldpmanse ~ARCH 한 줄을 설정 파일에 넣어주는 것만으로 1.2버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패키지별로 mask를 설정해 원하지 않는 버전이 설치되지 않게 할 수 있고, use를 설정해 특정 use가 특정 패키지에만 적용되게 할 수 있습니다.

"세상 만들기" (등)을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덧붙이자면, 이런 정책을 만들어놓으면 "세계를 업데이트하라!" 하고 명령했을 때 새로 나온 패키지들이 이 정책을 지켜 업데이트하므로... 필요할 때마다 정책을 세워놓기만 하면 "세계를 업데이트하라!" 말해주는 것만으로 모든 패키지들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구조, 정태영님이 말하신 디렉토리 구조도 정말 잘 되어 있습니다. 구성 요소들의 공통점에 따라 일관성있게 관리할 수 있도록 말입니다. init.d 디렉토리에 모든 데몬 관리 스크립트가 들어가고, 이 스크립트와 관련한 설정은 모두 conf.d 디렉토리에서 할 수 있습니다. 환경설정을 관장하는 env.d 디렉토리 등도 있고요.
여러 버전을 설치해놓고 선택하는 것도, 앞으로는 모두 eselect라는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관리하게 될 예정입니다. 예를 들어 eselect php set 5.0 하면 5.0 버전의 php가 활성화됩니다.

또 Portage Overlay라고 지정된 디렉토리가 있어 여기에 사용자 정의 패키지정보 파일(ebuild)를 넣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공식 패키지 트리(다른 배포판에선 repository라 부르는 것 같습니다.)에 없는 패키지를 추가하거나, 이미 존재하는 ebuild에 다른 설정 적용하는 걸 공식 트리와 충돌 없이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런 기능이 오히려 관리를 복잡하게 하지 않느냐 하고 생각하실지도 모르겠지만, 리눅스 시스템을 실제로 관리해보신 분이라면 필요성을 이해하시리라 생각합니다. 공식 패키지 트리가 충족하지 않는 요구는 언제나 존재하기 마련이니까요. 스스로 패치해 패키지관리시스템과 별개로 설치한 프로그램들이 시스템을 얼마나 꼬이게 하는지 아실 겁니다. Portage Overlay는 이런 프로그램도 중앙관리하에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얼마나 좋습니까!! :twisted:)

정말 젠투의 장점은 직접 컴파일하는 것에 의한 성능 향상이 아니라... 이렇게 유연하고 일관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데 있다고 생각합니다.

** 오버레이에 관한 설명을 추가했습니다. ^^

송효진의 이미지

오오 한국어로 하니 뭔가 있어보입니다. :shock:

앗! expert 됬네~ :oops:

송효진의 이미지

world 의 USE 를 보면 linux-threads, ithreads, nptl 등
새로운 쓰레드 형식을 사용하도록 하는 플래그 들이 많이 보이는데요.
이것을 적용하고 안하고의 차이도 클거라 생각됩니다.

아파치2만 해도 prefork 랑 worker 랑은 비교가 안될정도로 성능의 차이가 있거든요.
worker 가 connect 과부하에 훨씬 강합니다.
문제는 버전이 올라갈 때마다 worker 로 잘 동작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
데비안은 안정적으로 갈테니 아파치2 바이너리가 prefork 만 있고 worker 가 없겠지요?
현재 아파치 2.0.55 + php 5.0.4 가 worker 로 잘 동작합니다.
그러면 worker 로 선택해 놓고 업데이트 하면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단점은 있습니다.
하지만 패키지 정책 내에서 worker 를 선택할 수 있는 젠투가
성능상의 매우 높은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바이너리 패키지가 아주 안되는것도 아니고,
설치된버전을 바이너리로 묶고, 새버전을 시험해 본 다음
문제가 있으면 잽싸게 이전버전으로 돌려놓으면 되거든요.

uriel의 이미지

어느 한 분의 글에 답글 달기는 애매하네요.

    1. 우분투도 씨디는 한 장입니다. 데비안도 네트웍 인스톨 같은 경우 100M 정도면 충분하고, 양쪽 다 플로피로도 설치 할 수 있을 정도죠. 2. 이제는 rpm이 데비안에 비해 특별히 열등하거나 그렇진 않죠. 더 이상 패키징 시스템 자체의 장단점 보다는 패키지 관리 정책의 장단점과 관리하는 커뮤니티의 크기 정도만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3. 데비안/우분투의 update-alternatives 가 같은 기능을 하는 여러 패키지들을 선택할 수 있게 합니다. gcc/java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패키지들이 /etc/alternatives 아래에 링크가 되어서 그 링크를 선택하는 시스템이죠. (예를 들면 x-terminal-emulator 를 hanterm으로 할 수도 있고, gnome-terminal로도 할 수 있습니다)
    4. 디렉터리 구조 깔끔한거야 데비안/우분투도 내세울 만 하죠.
    5. apache의 경우 thread model에 따른 모듈이 세 가지 들어 있고 (prefork, worker, 하나는 까먹었네요) 각각의 모듈이 서로에 대해 컨플릭트가 걸려서 하나만 설치될 수 있게 되어 있죠.

물론 젠투의 바이너리 컴파일에 의한 강력한 성능(물론 이러한 차이는 미미할 수도 있고 아주 클 수도 있습니다)은 저도 인정합니다만, 다른 점들은 특별히 그렇게 와닫지는 않네요.

[/]
송효진의 이미지

젠투 사용에는 정성(?)이 들어가고,
그만큼 애착이 가게 되어,
객관성이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젠투의 특징이라고 내세운것 중 젠투만의 특징이 아닌것들이 많군요.

일단 젠투 설치를 편하게 만들어 놓고 한판 붙어야 :twisted: 겠습니다.

hiseob의 이미지

젠투, 한번 깔면 들인 노력이 아까워서라도 웬지모르게 애착이 갑니다

prolinko의 이미지

지금 우분투 브리지, 페도라 4, 젠투, 데비안 싸지가 깔린 서버/데스크톱을 관리중인 입장에서 각종 디렉토리의 구성과 정책 관리에 대해서 적어 보겠습니ㅏㄷ.

레드햇 계열은 각종 GUI 어드민 툴의 물량공세가 막강해서 초보자들이 사용하기에는 좋지만, 설정의 배치와 그 유연함에 있어서는 데비안이나 젠투에 비해서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웬만한 설정은 툴을 써서 해결 하다보니 설정파일 위치도 잘 모르겠습니다. 이게 레드햇 계열의 장점이자 단점이죠.)

데비안과 젠투는 어느 것이 좋다고 딱히 우열을 가리기힘들 정도로 막상막하라고 생각합니다. 데비안 계열은 참 간결하고 일관성 있게 잘 정리가 되어 있어서 stable 한 서버 시스템 등을 구성하는 데에는 제격입니다. 후발주자인 젠투도 레드햇이나 데비안의 시스템 구조를 많이 밴치마킹해서 만들었지만 (아마 /etc/alternatives도 데비안에서 처음 만들 었는데 레드햇이나 젠투에서 아이디어를 가져다 비슷하게 만들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데비안이 일괄적으로 통일을 시키고 거기에 따라서 패키지를 맞춘다는 마인드인 반면에 젠투는 유저가 원하대로 변경을 할수 있는 여지를 많이 주고 설정 툴 내지는 시스템 스크립트에서 이 변경사항을 감지해서 알아서 처리를 해주는 부분이 많습니다.

예를 들자면 다른 배포번의 경우 배포본의 한 버전을 사용할 경우 중요 시스템 라이브러리들이나 컴파일러가 한 가지 버전으로 맞춰져있고(마이너 업데이트는 나오지만) 다른 패키지 들은 전부 그것을 따르지만, 젠투의 경우 그런 정해진 버전이 없고 라이브러리 버전에 따른 ABI 변경의 경우 rev-dep rebuild나 여러 툴을 사용해서 한번에 재구성이 가능합니다.

그 외에도 web application이 설치되는 방식이라던지 여러가지 면에서 다른 배포판보다 발저된 기능을 보여줍니다.

kyano의 이미지

etc-update는 데비안이 오히려...
데비안은 패키지 내에 실제 구성파일과 설정파일을 따로 관리하지요...

그리고 gcc나 jdk 여러개 설치하는 것은 데비안이나 레드햇이나
다 가능하지 않나요?

예전에 말이 많았던 내용중에 nptl문제도...
젠투는 켤 수 있으니 훨씬 빠르다였지만...
다른 배포판은 runtime detection으로 커널에 따라 알아서
켜졌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자꾸 성능이나 편의성으로 이야기가 흘러가니 플레임만 생기는
것 같습니다...

젠투의 장점은 유연한 customize라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데비안에도 wxgtk가 gtk2 기반으로 들어와서 amule같은
경우에는 새로 빌드되어서 나왔지만...
젠투는 어짜피 컴파일 설치기 때문에 저런 것들을 사용자가 설치과정
에서 할 수 있겠지요...
(데비안은 wxgtk 새버전이 나오고 amule 새버전이 나올때까지
공백이 6개월은 되었던 것 같습니다... -_- )

--
Have you ever heard about Debian GNU/Linux?

권순선의 이미지

이런 류의 플레임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며, 언제든지 환영입니다. :-)

저는 개인적으로 젠투, 데비안, 레드햇 모두 사용해 보았지만 결국 데비안(계열)로 정착했습니다. 무슨 배포판이든지 처음 사용하던 것에 가장 익숙하지만 결국 설정파일의 위치나 패키지 설치 방법 정도만 알면 비슷비슷하지 않습니까?

제가 젠투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컴파일하는 시간이 너무 아깝게 느껴졌기 때문입니다. 효율적으로 시스템 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그때그때 필요한 프로그램은 바로 설치하고 작업을 마쳐줘야 하는데 기본적으로 업데이트된 프로그램은 모두 컴파일을 하다 보니 바이너리 패키지보다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더군요. 데스크탑처럼 사용자가 직접 속도를 체감하는 것이 아닌 일반적인 서버를 위한 배포판으로서는 쉽고 짧은 시간에 소프트웨어 설치/설정이 가능한 배포판을 더 선호합니다. 직접 컴파일 플래그까지 세밀하게 조절이 가능하다는 점은 젠투의 장점입니다만 생산성 측면에서는 그다지 효율적이지 못합니다. 그래서 저는 직접 컴파일한 바이너리와 바이너리 패키지에서 제공하는 바이너리의 성능 차이가 눈에 띌 정도로 차이가 나지 않는 한은 계속 바이너리 패키지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젠투 애호가 여러분들의 멋진 반격을 기대합니다. :-)

warpdory의 이미지

저도 순선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저도 젠투 / 우분투 / 페도라코어를 쓰고 있고...

실질적으로 느끼는 성능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아직까지 제가 USE flag 몇개 바꿔서 성능차이를 팍 팍 느끼는 그런 프로그램을 쓰는 것도 아니고...
일반적인 데스크탑 정도로 쓰다보니깐 그런 것이겠지요.

물론, 패키지 올라오는 속도를 보면 ...
젠투 > 우분투 > 페도라 정도가 됩니다. (가끔은 아닐 때도 있음.)
하지만, 꼭 최신을 써야 직성이 풀리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그냥 돌아 가면, 버그없으면 쓴다.. 주의라서 그냥 씁니다.

가끔 젠투에서는 emerge --sync && emerge -eD world 해버립니다. 그리고 2박 3일쯤 출장 다녀오면 끝나 있더군요.

우분투에서도 비슷하게 sudo apt-get upgrade 를 해주고요. 페도라코어도 비슷...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마냥의 이미지

컴파일 시간은 처음에 설치할때는 많이 압박이 옵니다. 하지만 환경을 갖춘 다음에는 생각보다 압박이 적습니다. 이미 제가 컴파일 시간에 익숙해 진 것도 있겠지만요
그리고 오픈오피스나 그런게 아니면 제 시스템(셀1.3Ghz,512MB)에서도 30분~1시간에 끝납니다. 이게 길다면 긴 시간이지만, 다른 작업 하면서도 그렇게 부담갈 정도는 아니예요.

서버쪽이라면 한대만 하는게 아니잖아요. 전부 젠투로 하면 한 컴퓨터에서만 컴파일 해서 패키지로 만들고 나머지는 패키지로만 깔면 되니까 서버 역시 문제될게 없다고 생각합니다만..

역시 저도 젠투사랑이라서요 ㅎㅎ 오픈오피스20시간도 하고 있네요 :D

Gentoo Rules!

monpetit의 이미지

저도 젠투 쓰다가 다시 데비안 계열을 쓰고 있습니다.
어느날 문득 회의가 들더군요. 무슨 영화를 누리겠다고 이렇게 컴파일에 목숨 거나 하는 생각이...
물론 데비안 패키지가 입맛에 안 맞을 때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아주 싫어하는 Tcl/TK 같은 걸 물고 있다거나 해당 패키지 외에는 정말로 쓰잘데기 없다고 생각되는 걸 런타임으로 물고 있거나 할 때죠.
이럴 때만 직접 컴파일해서 데비안 로컬 패키지로 설치해서 사용합니다.

bigpooh의 이미지

결론은 하나입니다.
컴파일 시간을 감수 할수 있거나, 자신의 시스템에 자신이 있으신 분은 젠투로 오시기 바랍니다.
이 사실은 위에 우분투를 선택하신분들도 인정하는거 같네요.[/b]

scari의 이미지

저 역시 레드햇,데비안,젠투를 모두 사용해보았습니다. 현재는 제 서버와 노트북, 데스크탑 모두 젠투로 통일시켜둔 상태입니다.

성능차이는 젠투 전에 쓰던 FC3보다는 눈꼽만큼 나아진게 느껴집니다. (기분탓일지도.. -.-)

젠투가 패키지 설치의 기민함이 타 배포판에 비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다른 분들이 지적해주신 여러가지 장점 (특히 패키지관리의 유연함) 이 저에게는 더 크게 느껴져서 젠투를 버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개인용 배포판 선택의 기준은 자기만족이 우선 아니겠습니까?

덤으로, 회사에서 사용하는 DOM을 구울때도 gentoo-live cd를 애용하고 있습니다. :)

1day1의 이미지

궁금한 것이.. ^^

데비안이나 다른 배포판에서 portage 시스템을 쓸 수는 없나요?
둘의 장점을 다 가져올 수 있을 듯 한데 말이죠. ^^

F/OSS 가 함께하길..

kwoncha의 이미지

그래도 가끔.. debian/rules 라고 소리쳐봅니다. 음..

문제 : 코끼리 한마리를 다 먹으려면?
정답 : 한점씩 한점씩

zeon의 이미지

흐흐...그냥 웃고 지나가고 싶었는데

일단 젠투가 성능이 더 낫다는 말에는 그다지 할말이 없습니다. (측정하는 관점의 차이 때문에 어느쪽이든 틀린말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근데 전 항상 이런말은 그냥 보고 넘어가기 힘들더군요.
"A가 B보다 진보적이다,( ~는 보수적이다.)"
아주 짧아서 내세울것도 없지만 저의 경험상 ”진보”를 주장하시는 분이 최소한 나름대로의 기준이라도 두고 구분하시는 분 단 한명도 본적이 없습니다. 물론 그 반대를 주장하시는 분들도 마찬가지 더군요.

"온리 젠투, 젠투..." 이말도 종종 이곳 kldp에서 봤었던거 같은데...

이분들이 생각하는 "A라는 것이 B나 다른 무엇보다 진보했다" 라는 점이 오직 남들이 많이 그러니까, 또는 정들어서 딴게 눈에 들어 오지도 않는다는 이런 이유 때문이 아니라 정말 자신의 요구에 맞기 그런 표현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물론 Gentoo 얘깁니다.

ps. 데비안 시드, 우분투는 불안정하고, 젠투는 안정적인가 보군요. 셋다 쓰는데 난 왜 못 느끼는거지 -.-;;

여친이 길르는 용..

bigpooh의 이미지

Quote:

ps. 데비안 시드, 우분투는 불안정하고, 젠투는 안정적인가 보군요. 셋다 쓰는데 난 왜 못 느끼는거지 -.-;;

젠투가 안정적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안정성이야 어느 배포판이든 비슷하죠.어느분이 그런말을 하시던가요?

Quote:
근데 전 항상 이런말은 그냥 보고 넘어가기 힘들더군요.
"A가 B보다 진보적이다,( ~는 보수적이다.)"
아주 짧아서 내세울것도 없지만 저의 경험상 ”진보”를 주장하시는 분이 최소한 나름대로의 기준이라도 두고 구분하시는 분 단 한명도 본적이 없습니다. 물론 그 반대를 주장하시는 분들도 마찬가지 더군요.

아마 빨라지는 하드웨어를 생각했을때 미래가 기대된다는 의미였을겁니다. :D

송효진의 이미지

음...한김에 성능 테스트 같은것을 해보면 어떨까요?
적당히 골고루 휘저어줄 수 있는 벤치마크 툴 같은게 있으면,
하드웨어 사양과 설정을 벤치마크 결과와 함께 올리는겁니다.

송효진의 이미지

제가 가장 편리하게 생각하고, 이것 때문에 다른배포판으로 못가는 이유가
ebuild 입니다.
만들기도, 고치기도 쉽거든요.
덕분에 패키지를 내맘대로 고쳐놓고 버전업도 해 가면서 유지하는것 이 매우 쉽습니다.

utpark의 이미지

1day1 wrote:
궁금한 것이.. ^^

데비안이나 다른 배포판에서 portage 시스템을 쓸 수는 없나요?
둘의 장점을 다 가져올 수 있을 듯 한데 말이죠. ^^

FreeBSD Gentoo
OpenSolaris Gentoo

검색해 보세요.. 8)

nsolappa의 이미지

저는 몸으로 때우는 직업에 있는 리눅스 초보입니다.
컴퓨터 전혀모르다가 한 3년전쯤 윈도우 배우고 .....
제가 이쪽계통 전공도 아니고 주위에 뛰어난 쟁이가 있는것도 아니지만,
어쨌건 리눅스를 처음 접한것은 저역시 레드햇..
그것이 윈도우 쓰던 버릇으로 어둠의 그쪽에서 구해서 시디5장인가 구웠습니다.
그러다가 데비안이라는 배포판이 자유소프트웨어 재단 공식 지원이라는 어설픈 지식으로 데비안을 썼었죠.
정말 무수한 --이곳에서는 삽질이라는-- 과정을 거치고그놈 데스크탑을 구경했었고요.

그저 젠투라는 이름이 멋진거 같아서 -사실은 초보자에게 비추천이라는 말에 발끈해서 젠투에 맛을 들였습다.

지금에 와서는 컴의 성능이 너무 좋아지다 보니 딱히 어떤 배포본이 성능이 좋다라는 것은 무의미하단 생각이 듭니다.
무척이나 낯을 가리는 제가 굳이 로그인을 한 이유는 '초보자에게는 정말 젠투가 좋타' 라는 말을 꼭 하고 싶어서 입니다.

타배포본을 사용하면서는 솔직히 감이 안오더군요.
하지만 젠투 설치문서만으로도 기본적인 리눅스의 명령어를 배워버렸습니다.
젠투설치문서가 리눅스 명령어 확인 메뉴얼 이었던 적도 있었습니다.
그러기를 대여섯번 하니까 정말 아하 하고 감이 오더군요.

아직도 리눅스 기본 명령어 메뉴얼을 뒤적이지만 제가 하고 싶은건 왠만큼 할수 있게 된 제가 젠투가 없었다면.....
더욱 늦어졌을거란 생각을 해봅니다.
그만큼 젠투가 많은 삽질을 요구했었던것도 같구요.

아직도 vim /etc/........ 하기가 겁나는 초보지만 레드햇이나 데비안을 썼다면
아직도 설치하고 지우고 하는 단계였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그래서 젠투가 좋아요. 우분투도 여유하드에 깔아보니 이제와서는 너무 답답하더라구요.
머가 어떻게 돌아가는지도 모르겠고....
순전히 저의 주관적인 경험담입니다.

오늘같은 내일이 아니기 위하여.....
어제같은 오늘을 살지 않기를.....

yuni의 이미지

권순선 wrote:
저는 개인적으로 젠투, 데비안, 레드햇 모두 사용해 보았지만 결국 데비안(계열)로 정착했습니다. 무슨 배포판이든지 처음 사용하던 것에 가장 익숙하지만 결국 설정파일의 위치나 패키지 설치 방법 정도만 알면 비슷비슷하지 않습니까?

전적으로 동의 합니다. 결국은 설정방법의 차이에서 오는 답답함 때문이지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거의 마찬가인듯이 느껴 집니다. 여기 오시는 모든분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눅스 박스에 시스템 어디민이시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일 뿐이죠.

저는 레뎃계열인 맨드리바로 처음 시작을 해서 인지, 그 이후 수세로 옮겼다가 익숙해 질 만 할때에 우분투로 간뒤에 데비안도 궁금해서 이리저리 옮겨 다녔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새로 컴 2대가 들어 오는 바람에 맨드리바로 다시 옮겨 가게 되더군요. 이유는 단 하나 별도의 설정없이 깔리고 잘 돌아간다는 점이었죠. 한 이주동안 서먹서먹한 기분이 들더라구요. 쓰기 불편하다는 느낌. 설정이 다 끝나고 나니 모든 리눅스 배포판이 다 그렇듯이 손볼 곳이 없으니 똑 같더군요.

warpdory wrote:
저 역시 레드햇,데비안,젠투를 모두 사용해보았습니다. 현재는 제 서버와 노트북, 데스크탑 모두 젠투로 통일시켜둔 상태입니다.

성능차이는 젠투 전에 쓰던 FC3보다는 눈꼽만큼 나아진게 느껴집니다. (기분탓일지도.. -.-)

가끔 저도 젠투의 세계로 유혹을 많이 느낍니다. Howto 문서를 보면 간단하게 될 것 같거든요. ( 항상 이렇게 시작해서 우분투를 빼고는 엄청난 삽질을 했었습니다.) 그런데 안갈렵니다.

akudoku wrote:

제 생각일 뿐입니다만...

공씨디가 한장만 필요하다는 것 하나만큼은 확실히 좋은 것 같습니다;

레뎃계열인 맨드리바의 경우도 플로피 2장 혹은 1장의 시디로 설치가 쉽게 됩니다. 이번에 맨드리바 2006 오피셜 버전을 깔면서 새로이 경험한 것입니다. 보통 iso로 된 다운로드 파일은 수주를 기다려야 됩니다. 대부분 돈을 내고 사용하는 사람들이 먼저 쓰게 되지요. 무료 다운로드는 보통 2-3달 정도 뒤에 나오더군요. 이러한 경우 네트워크 설치를 하게 됩니다.

그런데 맨드리바에는 urpmi라는 아주 탁월한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이 있습니다.(이것이 처음이었고, 그후에 몇년동안 길들려 졌더니 apt-get이 너무나 어렵더군요.^^;;;;;;;;;) 이번에 이렇게 네트워크 설치를 하고 나니 별도의 CD가 필요 없더군요. 필요한 것은 그냥 urpmi 패키지명으로...

문제는 항상 우분투나 맨드리바나 유저스 그룹에서 가끔 하위 버전에서 상위버전으로 리파지토리만 바꿔서 업그레이드 한 경우 아주 가끔 HELP ME PLEEEESE!!!가 보인다는 점이죠.
이런 점에서는 역시 데비안인가요?

==========================
부양가족은 많은데, 시절은 왜 이리 꿀꿀할까요?
=====================
"지금하는 일을 꼭 완수하자."

atie의 이미지

젠투는, 저는 제가 관리하는 서버가 없으므로 젠투 설치는 관심은 있어도 막상 실행해 볼 마음은 없습니다. 만약 서버를 다수 대 관리한다고 하면 그 때는 젠투를 설치할 생각입니다. 그렇게 되면 서버 --> 데스크탑 --> 노트북에도 하는 자연스럽게 바꾸는 그런 식이 될런지는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데스크탑 용으로 쓰는데 빌드하는 데 한 나절 이상이 소비되는 것, 그놈은 설치해도 KDE는 압박이 되는데...하는 것 등이 부담스럽습니다.

수세는, 한 동안 아주 좋아했던 배포판입니다. 하드웨어를 잡는 것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그리고 KDE 기본 배포판이어서가 이유였죠. 하지만 패키지 버전 업을 위해 yast 밖으로 나오고 나서 그리 오래되지 않아 관리 불능이 되고 시스템 재 설치를 한 적이 있습니다. (페도라의 rpm이 수세의 그것보다 universe/multiverse개념을 적용하면 더 호환이 잘되고 문제가 없습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는 그놈 패키지 지원이 늦어서가 불만이었습니다. (참고로 저는 그놈과 KDE 둘다 쓰기를 좋아합니다.) 무난히 최신의 KDE를 쓰는 것에 만족을 한다면 그 용도로는 최고의 배포판일 겁니다.

페도라는, rawhide로 들어오는 패키지들의 버전이 상대적으로 다른 바이너리 기반의 배포판에 비해 빠릅니다. 그리고 한 버전의 패키지만 유지하므로 배포판 전체를 최신으로 유지하면서 비교적 안정적으로 사용을 할 수가 있었습니다. 단지 매번 배포판 버전업을 하는 것이 점차 좋아졌기는 해도 우분투에 비해 수월하지는 못했습니다.

우분투는, 페도라에 비해 한 번 설치하고 배포판 버전업을 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한 것이 장점이군요. 복수 버전을 관리해주는 것이 편리함을 배가시키는 이유라고 생각하는데, 이게 의외로 "귀차니즘은 데비안 계열로"라고 하지만 페도라에 비해 오히려 손이 많이 가는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yum에 비해 apt가 속도는 빠른 장점이 있지만 의존이 걸리는 패키지에 대해 사용하기는 조금 더 복잡합니다. apt는 synaptic하고 같이 사용을 하는 것을 적극 권합니다.

데스크탑을 쓰면서 ./configure나 rpmbuild 등을 손대고 있다면 위의 배포판 중에 어느 것을 쓰던 별차이는 없을 겁니다. 그리고 배포판의 경험이나 익숙함도 (제가 데비안의 경험이 없이 페도라에서 우분투로 넘어온 경험에 비추어) 아주 사소한 차이를 느꼈을 뿐 며칠 지나고 나니 그렇게 익숙해졌습니다.

저는 타 배포판을 쓰던 때에 비해 지금 우분투를 쓰는 것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배포판이 좀 더 우수하거나 최신이어서가 아니라 다음의 이유에서 입니다.
- 10년은 없어지지 않을 배포판이다.
- 무슨 패키지는 무슨 이유로 배포판에 포함시키지 않는 그런 정치적인 이유가 없다. 다른 말로 모든 것이 골고루 최신이다.
- 개발 버전을 쓰려면 적당히 손을 대주어야 한다. 저는 이게 재미가 있고 이것 때문에 메일링 리스트, 버그질라 그리고 위키를 틈나는 대로 들여다 보게 되서 좋습니다.

이상 우분투 재채기를 하는 소리였습니다.
:wink: (여기 글 쓴 분들이 자신의 배포판을 바꿀 마음들이 있을까?)

----
I paint objects as I think them, not as I see them.
atie's minipage

wizzet의 이미지

utpark wrote:
1day1 wrote:
궁금한 것이.. ^^

데비안이나 다른 배포판에서 portage 시스템을 쓸 수는 없나요?
둘의 장점을 다 가져올 수 있을 듯 한데 말이죠. ^^

FreeBSD Gentoo
OpenSolaris Gentoo

검색해 보세요.. 8)

portage보다는 pkgsrc가 훨씬 오래전부터 여러 OS를 지원하도록 만들어 졌습니다. Solaris와 Linux를 지원하기 시작한게 1999년도니까 상당히 오래되었죠.

FreeBSD의 ports에서 NetBSD의 pkgsrc가 만들어지고, OpenBSD에도 ports가 만들어집니다. 그리고 Gentoo의 portage도 만들어집니다.

이들 ports(FreeBSD), pkgsrc, ports(OpenBSD), portage는 각각 따로 관리됩니다. 하지만 pkgsrc는 NetBSD이외의 다른 OS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NetBSD가 포터블한 만큼 pkgsrc도 포터블하게 만들려고 한것 같습니다.

http://www.netbsd.org/Documentation/software/packages.html#platforms

KLDP Wiki에 다음 문서도 있더군요.

http://wiki.kldp.org/wiki.php/PkgsrcForLinuxUser

Interix (Microsoft Windows Services for Unix)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가능한 패키지가 Cygwin보다 많다고 합니다. 제가 써본결과 컴파일 속도가 극악하게 느리더군요.

재미있는 것은 pkgsrc를 FreeBSD와 OpenBSD에도 쓸수 있다는 겁니다. 당연히 쓸수도 있겠지만 쓸수 있도록 만들었다는 사실이 신기합니다.

--
Good design requires compromise.

vacancy의 이미지

개인적으로 Debian GNU/NetBSD를 상당히 기대했는데,
( 가장 portable한 OS인 NetBSD 커널 위에서 aptitude를 +_+ )
Debian GNU/kFreeBSD에 밀려서인지
별로 진척이 없는 것 같더군요.

어쨌든 위에서 Debian 배포본을 stable/unstable만 언급하셔서 얘긴데,
testing이라는 중간 정도의 배포본도 있습니다.
저는 이 수준을 주로 쓰는데요.
불안정하단 느낌 거의 없고 패키지 업그레이드도 자주 일어나는 편입니다.
( stable은 버그 패치 정도 아니면 거의 안일어나죠. 왠지 갑갑 ;; )

그리고 Debian에서도 패키지를 직접 빌드해서 설치 가능합니다.
물론 그냥 바이너리 패키지 설치가 편하니까 (귀차니즘-_-) 잘 안하지만,
소스 패키지 받아서 customize해서 바이너리 패키지 빌드할 수 있어요. ;;
필요한 스크립트들도 물론 제공되고요.

자기가 귀차니즘에 물들어 계시다고 생각하시면
Debian이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Gentoo는 써볼랬더니 체질에 정말 안맞더라고요. :oops:

tinywolf의 이미지

하지만 전 젠투 팬이에요~

ㅡ_ㅡ;

랜덤여신의 이미지

uriel wrote:
랜덤의여신 wrote:

또, 젠투의 패키지 관리 시스템이 우분투보다 진보되어 있다는 장점도 있구요.

flame war의 가능성이 있지만.. "진보되어 있다"의 정의를 어떻게 하셨는지 모르겠지만 이것은 동의 할 수 없네요. 예전 rpm같이 의존성 관리 기능이 명백하게 부족한 경우는 이런 식으로 이야기 할 수 있겠지만 그 외에는 서로 비교할 수 없는 대상이라고 생각합니다.

한 예로, 저는 데비안/우분투 에 php4 / php5 나 apache / apache2 와 같은 패키지가 있는 것, 즉 같은 패키지가 버전에 따라 "쪼개져" 있는 것이 자연스럽지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젠투에서는 php 라는 패키지 하나, apache 라는 패키지 하나로 버전을 관리합니다. 물론, SLOT 이라는 것이 있어서 php-4.x 와 php-5.x 나 apache-1.x 와 apache-2.x 를 동시에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 시스템에는 이런 패키지가 SLOT 에 적용됩니다:

Quote:
dev-lang/python-2.4.2
dev-lang/python-2.3.5-r2

dev-db/sqlite-2.8.16-r2
dev-db/sqlite-3.2.7-r1

sys-kernel/gentoo-sources-2.6.12-r10
sys-kernel/gentoo-sources-2.6.13-r5
sys-kernel/gentoo-sources-2.6.14-r2

x11-libs/gtk+-1.2.10-r11
x11-libs/gtk+-2.6.10

(하략)

제가 etc-update 를 좋아하는 이유는 데비안/우분투 에서는 etc-update 같은 것이 없어서 프로그램 버전이 올라가면서 설정 파일이 바뀌어도 사용자에게 언급을 해 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물론, 데비안/우분투 의 많은 패키지의 경우 "설치 후 스크립트" 가 설정 파일의 변경에 대해 안내해 주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예전에 데비안/우분투 에서 어떤 패키지를 지웠을 때, "설정 파일은 남기고 지웠다가", 나중에 새 버전의 패키지를 설치했는데, 예전 버전의 패키지가 남긴 설정 파일이 바뀌지 않아서, 설정 파일이 꼬여서 낭패를 본 적이 있습니다. 젠투에서는 이런 일이 없지요.

윗분들께서 말씀하신 overlay 같은것도 좋아합니다. :-)

dragonkun의 이미지

어라.. 데비안과 젠투의 성능 차이를 느낀 것은 저 뿐인가요..
아주 미묘하지만 겨우 느낄 수 있을 정도의 X에서의 반응 속도 정도 젠투를 설치했을때가 더 빨랐던 기억이 있습니다. 차이라고 해봤자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아~주 미약한 정도지만 말이죠..

지금은 데비안을 쓰고 있지만..
왠지 젠투를 쓰고 있을 때만큼 사용하는 자체가 즐겁지는 않은 거 같습니다..ㅡㅜ
데비안/우분투가 젠투에 비해 시간도 절약해 주고 편리하다는 느낌이 들기는 하지만..
젠투는 사용하는 것 그 자체가 즐거웠던거 같습니다..
새로운 패키지가 나오면 이것저것 패치 붙여서 컴파일 해보고..
왠지 컴퓨터를 쓰지 않을 때에도 컴파일 메시지가 화면에 가득한 걸 보면..
가끔 컴퓨터 녀석이 기특해 보이기까지 합니다..
아마 조만간 젠투로 다시 돌아갈 것 같습니다만..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etc-update는 개인적으로 싫어합니다..ㅡㅜ
etc-update 꼼꼼히 살피지 않고 대충대충하다 설정 날려 먹은적이 한두번이 아닙니다..
저같은 사람한테는 오히려 설치 후에 스크립트 설정을 물어보는 데비안이 편하더군요..;;;

Emerging the World!

kyano의 이미지

데비안도 특별히 충돌되는 부분만 없으면 왠만한 패키지들은
여러개 설치가 가능합니다...

apache/apache2 역시 동시에 설치가 가능합니다...
(php는 좀 애매하네요... apache는 php4를, apache2는
php5를 쓸 수 있지만... apache2 하나에 php4, php5를
둘 다 쓰는건... 이건 젠투에서도 안되지 않나요?)

패키지가 쪼개져 있는 건 사용자 취향의 문제라고 봐야겠군요...
slot으로 되어있나... 패키지 자체가 나눠져 있나에 따른... 흠...

overlay와 같은 것도... 사용자가 충분히 개인 repository를 만들어서
사용이 가능한 문제이긴 하죠... 불편하다고 하나...
젠투에서 컴파일 하실 실력이면 데비안에서도 충분히 하실 실력이
되실 겁니다... ㅎㅎㅎ

apt-get source와 apt-build의 조합이면 대략 마뜩

--
Have you ever heard about Debian GNU/Linux?

cwryu의 이미지

랜덤의여신 wrote:

제가 etc-update 를 좋아하는 이유는 데비안/우분투 에서는 etc-update 같은 것이 없어서 프로그램 버전이 올라가면서 설정 파일이 바뀌어도 사용자에게 언급을 해 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물론, 데비안/우분투 의 많은 패키지의 경우 "설치 후 스크립트" 가 설정 파일의 변경에 대해 안내해 주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예전에 데비안/우분투 에서 어떤 패키지를 지웠을 때, "설정 파일은 남기고 지웠다가", 나중에 새 버전의 패키지를 설치했는데, 예전 버전의 패키지가 남긴 설정 파일이 바뀌지 않아서, 설정 파일이 꼬여서 낭패를 본 적이 있습니다. 젠투에서는 이런 일이 없지요.

기존의 설정 파일이 수정된 상황에서 설정 파일을 업그레이드할 경우, 데비안에서는 설정 파일이 수정된 경우 물어보게 되어 있습니다. 문제를 겪으신 건 이 상황에서 어떤 선택을 했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공들여 수정해 놓은 설정이 중요한가, 아니면 이거 아니면 동작 안 하는 새로운 설정이 중요한가.. 한 가지만 선택할 수는 없지요..

7339989b62a014c4ce6e31b3540bc7b5f06455024f22753f6235c935e8e5의 이미지

uriel wrote:
랜덤의여신 wrote:

또, 젠투의 패키지 관리 시스템이 우분투보다 진보되어 있다는 장점도 있구요.

flame war의 가능성이 있지만.. "진보되어 있다"의 정의를 어떻게 하셨는지 모르겠지만 이것은 동의 할 수 없네요. 예전 rpm같이 의존성 관리 기능이 명백하게 부족한 경우는 이런 식으로 이야기 할 수 있겠지만 그 외에는 서로 비교할 수 없는 대상이라고 생각합니다.

RPM만 의존성을 따지는 것이 아니고, dpkg도 마찬가지입니다.
의존성 문제에 대해서는 yum을 사용하셔야죠.
바라미의 이미지

젠투의 패키지 관리가 데비안보다 진보되있다는건 이해할 수 없습니다.

의존성이 문제라면 그러면 첸투는 모든 라이브러리를 스태틱으로 처리합니까.
그러면 더욱 문제가 될 터인데요. 어차피 젠투도 어떤 라이브러리가 필요하다면 그 라이브러리를 이머징 해야 할것 아닙니까.
그 수고를 이머징 시스템이 알아서 처리해 주는 것일텐데요.
그런 점은 apt-get 이나, yum 과 차이가 날 것이 무엇입니까.

또한 SLOT 이니 뭐니 하는 것도 관점의 차이일 뿐이라고 보입니다만..
하나의 SLOT 을 하나의 패키지로 보면 될듯 한데요. 전...
제가 젠투에 잘 모르니, SLOT 의 장점에 대해서 잘 모르겠군요.

제가 보기에는 어느 배포판이 진보ㅤㄷㅚㅆ다, 우월하다 하는건 꼴사나워 보입니다.
젠투 사용자들이 말하는 우월성 이야기를 할때마다, 데비안이나 우분투 사용자들이 레뎃에 비해 말하는 우월성을 말할ㅤㄸㅒㅤ 마다....

저는 배앎이 뒤틀립니다.
서로 장담점이 분명 있을터인데, 자기가 잘난 마냥 떠들어 대는건 정말 싫습니다.

luark의 이미지

koxel wrote:
젠투의 패키지 관리가 데비안보다 진보되있다는건 이해할 수 없습니다.

의존성이 문제라면 그러면 첸투는 모든 라이브러리를 스태틱으로 처리합니까.
그러면 더욱 문제가 될 터인데요. 어차피 젠투도 어떤 라이브러리가 필요하다면 그 라이브러리를 이머징 해야 할것 아닙니까.
그 수고를 이머징 시스템이 알아서 처리해 주는 것일텐데요.
그런 점은 apt-get 이나, yum 과 차이가 날 것이 무엇입니까.

또한 SLOT 이니 뭐니 하는 것도 관점의 차이일 뿐이라고 보입니다만..
하나의 SLOT 을 하나의 패키지로 보면 될듯 한데요. 전...
제가 젠투에 잘 모르니, SLOT 의 장점에 대해서 잘 모르겠군요.

제가 보기에는 어느 배포판이 진보ㅤㄷㅚㅆ다, 우월하다 하는건 꼴사나워 보입니다.
젠투 사용자들이 말하는 우월성 이야기를 할때마다, 데비안이나 우분투 사용자들이 레뎃에 비해 말하는 우월성을 말할ㅤㄸㅒㅤ 마다....

저는 배앎이 뒤틀립니다.
서로 장담점이 분명 있을터인데, 자기가 잘난 마냥 떠들어 대는건 정말 싫습니다.

저는 이 글타래를 쭉 읽으면서 많은 분들이 각 배포판의 장단점에 대해 얘기하신 걸로 보였는데 님게서는 전혀 다르게 인식하셨나 보네요.

레드햇계열->데비안->젠투 를 사용한 경험에 비추어보면 각각의 배포판이 갖는 장단점은 분명히 있습니다. 그 장점이 타배포판에 비해 우월한 것이고 물론 단점도 있겠지요.

전 yum이 나오기 전에 레드햇계열을 썼었는데 의존성때문에 새로운 패키지를 설치할 때마다 정말 고생을 많이 했습니다.
그러다가 데비안을 접하면서 apt의 매력에 푹 빠져버렸었죠. 지금은 젠투를 쓰지만 일반유저입장에서는 데비안쪽의 방식이 더 편한 것 같네요. 하지만 젠투의 유연함(패치적용에 있어서) 또한 분명 젠투가 갖는 커다락 매력이라고 봅니다. yum에 대해서는 써본 적이 없어서 뭐라 할 말이 없지만 apt와 유사한 편의성을 제공해 준다고 들었던 것 같군요.

유저편의성에서 뒤쳐지는 배포판은 외면받게 될테지만 현재는 각각의 배포판이 각축을 벌이는 입장이고 패키징철학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점을 보이는 것도 사실이므로 다양한 선택지가 공존하는 셈이지요.

결국 선택은 유저의 몫이고 어떤 것을 선택했을 때는 다른 것보다 나은 점이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을 각 배포판의 장점이라고 봤을 때 그것을 이야기 하는게 그렇게 꼴사나운 것만은 아니고 배알이 틀릴 일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그런 다양성(배포판 뿐만 아니라 유저가 갖는 취향까지도 포함한)이 리눅스의 매력이 아닐까요?

---

---
키체의 힘으로 당신에게 평안을...

바라미의 이미지

아아.. 저는 저 위의 젠투의 패키징 방식이 진보되었다는 소리에 ....;;;;
그런 소리 하려면 하지 말라는 거였습니다...;

저는 그런 다양성을 존중하자는거지.
서로 자기가 뭐가 더 진보ㅤㄷㅚㅆ다 뭐가 더 잘났다 등등 이 이야기는 하지 말자구요.

cronex의 이미지

이 글도 원래 목적과는 달리 좀 변질 되어가는 느낌이군요.
패키지 관리나 의존성에 대한 쓰레드는 아닙니다.
패키지 관리는 yum이나 apt나 emerge나 이제와서는 별로 크게 차이 난다는 느낌은 못받고 있습니다. yum이나 apt나 emerge나 각각의 장단점은 있으니 굳이 그걸 여기에서 토론할 필요는 없어보이는군요. 아예 따로 쓰레드를 만드시던지요...

------------------------------------------------------------
이 멍청이~! 나한테 이길 수 있다고 생각했었냐~?
광란의 귀공자 데코스 와이즈멜 님이라구~!

luark의 이미지

koxel wrote:
아아.. 저는 저 위의 젠투의 패키징 방식이 진보되었다는 소리에 ....;;;;
그런 소리 하려면 하지 말라는 거였습니다...;

저는 그런 다양성을 존중하자는거지.
서로 자기가 뭐가 더 진보ㅤㄷㅚㅆ다 뭐가 더 잘났다 등등 이 이야기는 하지 말자구요.

워낙 다양한 선택지가 있다 보니 koxel님께서 말씀하시는 그런 부작용이 생기는 건 어쩔 수 없는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건설적인 논의보다는 아웅다웅 하는 모습이 좋게 보이지만은 않는다는 koxel님의 의견도 공감이 갑니다.

이쯤에서 원래의 주제로 돌아가보면;; 사실 젠투를 쓸 때와 데비안을 쓸 때 시스템의 속도나 이런 점에 있어서는 큰 차이점을 못느끼겠더군요. 물론 어느정도의 차이점은 분명 존재하겠지만 그게 느낄 만큼은 아닌 것 같습니다.
다만 기본적으로 쓸데없이 돌아가는 서비스나 대몬이 없다는 점은 분명 젠투쪽의 장점인 것 같습니다. 뭐 데비안이나 다른 배포판도 설정해주면 마찬가지지만요.

결국 제가 생각하기에 젠투의 매력은 성능의 차이보다는 패키지관리의 유연성 측면에 있다고 봅니다.

---

---
키체의 힘으로 당신에게 평안을...

uriel의 이미지

ditto wrote:
RPM만 의존성을 따지는 것이 아니고, dpkg도 마찬가지입니다.
의존성 문제에 대해서는 yum을 사용하셔야죠.

dpkg 자체는 의존성 정보를 가지고 있는데, 예전 버전의 rpm에는 이러한게 제대로 안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언젠가 rpm 자체의 버전이 바뀔 때에 배포판이 크게 갈아 엎는 일이 생겼죠. 위에도 언급했지만 이제는 패키징 "포맷" 자체는 rpm이나 deb나 차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P.S. 그러고 보면.. 배포판에 크게 문제가 생긴 몇 번 기억에 나네요.

    1. slackware 쓸 때에 실행 파일 포맷이 a.out에서 elf로 바뀌면서 (아마 linux 2.0 나왔을 때죠) 크게 한 번. (그렇게 큰 문제는 아니었습니다.) 2. redhat이었을 텐데 glibc 때문에 크게 한 번.
    3. 역시 redhat으로 rpm 포맷 바뀐 것 때문에 또 한 번.
    4. debian에서 한참동안 불안정 버전이 제대로 동작 안했을 때. 이 이후로 unstable과 testing이 나누어 졌죠. 그 전엔 unstable만 있었습니다. (원인이 뭐더라..)
    5. ubuntu 브리지가 unstable일 때에 xorg의 모듈화 때문에 x가 제대로 안뜰 때.

debian/ubuntu는 그래도 개발 버전에서 문제 생긴 거였네요.

[/]
lefthander의 이미지

젠투의 치명적인 단점은 '업데이트 중독'에 말려서 검은 바탕에 흰 글씨가 주르륵 올라가는 화면을 멍하게 보면서 시간 보내는 일이 많다는 겁니다. 8)

욱성군의 이미지

dragonkun wrote:
어라.. 데비안과 젠투의 성능 차이를 느낀 것은 저 뿐인가요..
아주 미묘하지만 겨우 느낄 수 있을 정도의 X에서의 반응 속도 정도 젠투를 설치했을때가 더 빨랐던 기억이 있습니다. 차이라고 해봤자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아~주 미약한 정도지만 말이죠..

전 미약하게가 아니라 좀 심하게 많이 느꼈었던 것 같습니다. 심지어 페도라의 그놈도 우분투의 플럭스박스보다 빨랐었어요.

정태영의 이미지

lefthander wrote:
젠투의 치명적인 단점은 '업데이트 중독'에 말려서 검은 바탕에 흰 글씨가 주르륵 올라가는 화면을 멍하게 보면서 시간 보내는 일이 많다는 겁니다. 8)

나중에 심해지면 /usr/portage 디렉토리를 뒤지면서 뭐 설치해볼만한거 없나를 찾게 됩니다...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그 꿈을 닮아간다...

http://mytears.org ~(~_~)~
나 한줄기 바람처럼..

무한포옹의 이미지

전 데스크탑에선 오로지 Debian/Ubuntu 쓰고 4way 이상의 서버에서는
Gentoo를 쓰기도 했습니다.(그러니까 이것 저것 다 쓴 다는 이야기입니다.
단 cpu성능-컴파일 성능-이 안 받쳐주면 절대 Gentoo 안 깝니다)
그러한 컴파일한 바이너리와 패키지 바이너리의 성능 차이는 잘 모르겠던데요?
정말 벤치마크 한 번 해보는 게 어떻습니까?

가끔은 제가 컴파일 과정에 특별하게 손을 대어줘야 하는 경우가 있고
그런 경우 Gentoo가 편리하긴 합니다만 이건 성능하곤 별로 상관 없죠?
(다른 배포본도 소스 컴파일을 지원하지만 아무래도 Gentoo보단
불편한 게 사실이죠.젠투는 그러라고 만들어진 배포본이니까)

성능을 굳이 따져서 RHEL, SUSE EL 등 따라올 배포본이 몇이나 됩니까?
그 수많은 자체/외부 패치들을 적용하는 이유가 뭘까요?

그리고 그렇게 피드백되는 패치를 gentoo에서 포티지로 가져다 쓰면
이건 젠투가 우수한 겁니까? RHEL이 우수한 겁니까?

-------------------------------
== warning 대부분 틀린 얘기입니다 warning ===

cronex의 이미지

정태영 wrote:
lefthander wrote:
젠투의 치명적인 단점은 '업데이트 중독'에 말려서 검은 바탕에 흰 글씨가 주르륵 올라가는 화면을 멍하게 보면서 시간 보내는 일이 많다는 겁니다. 8)

나중에 심해지면 /usr/portage 디렉토리를 뒤지면서 뭐 설치해볼만한거 없나를 찾게 됩니다...

더 심해지면 남의 컴퓨터를 놓고 같은 짓을 하고 있게됩니다. --;

------------------------------------------------------------
이 멍청이~! 나한테 이길 수 있다고 생각했었냐~?
광란의 귀공자 데코스 와이즈멜 님이라구~!

luark의 이미지

정태영 wrote:
lefthander wrote:
젠투의 치명적인 단점은 '업데이트 중독'에 말려서 검은 바탕에 흰 글씨가 주르륵 올라가는 화면을 멍하게 보면서 시간 보내는 일이 많다는 겁니다. 8)

나중에 심해지면 /usr/portage 디렉토리를 뒤지면서 뭐 설치해볼만한거 없나를 찾게 됩니다...

현재의 제 상태군요;;;; 중독이라니...

---

---
키체의 힘으로 당신에게 평안을...

bus710의 이미지

luark wrote:
정태영 wrote:
lefthander wrote:
젠투의 치명적인 단점은 '업데이트 중독'에 말려서 검은 바탕에 흰 글씨가 주르륵 올라가는 화면을 멍하게 보면서 시간 보내는 일이 많다는 겁니다. 8)

나중에 심해지면 /usr/portage 디렉토리를 뒤지면서 뭐 설치해볼만한거 없나를 찾게 됩니다...

현재의 제 상태군요;;;; 중독이라니...

전 방금 새로운 세상을 알아 버린 것 같습니다.

(중독자 +1)

life is only one time

comgineer의 이미지

akudoku wrote:
luark wrote:
정태영 wrote:
lefthander wrote:
젠투의 치명적인 단점은 '업데이트 중독'에 말려서 검은 바탕에 흰 글씨가 주르륵 올라가는 화면을 멍하게 보면서 시간 보내는 일이 많다는 겁니다. 8)

나중에 심해지면 /usr/portage 디렉토리를 뒤지면서 뭐 설치해볼만한거 없나를 찾게 됩니다...

현재의 제 상태군요;;;; 중독이라니...

전 방금 새로운 세상을 알아 버린 것 같습니다.

(중독자 +1)

거참... 모두들 비슷한 길을 가는군요~~ 저만 그런줄 알았습니다.

소리의 이미지

comgineer wrote:
akudoku wrote:
luark wrote:
정태영 wrote:
lefthander wrote:
젠투의 치명적인 단점은 '업데이트 중독'에 말려서 검은 바탕에 흰 글씨가 주르륵 올라가는 화면을 멍하게 보면서 시간 보내는 일이 많다는 겁니다. 8)

나중에 심해지면 /usr/portage 디렉토리를 뒤지면서 뭐 설치해볼만한거 없나를 찾게 됩니다...

현재의 제 상태군요;;;; 중독이라니...

전 방금 새로운 세상을 알아 버린 것 같습니다.

(중독자 +1)

거참... 모두들 비슷한 길을 가는군요~~ 저만 그런줄 알았습니다.

젠투쟁이 여러분... 이러시면 안돼요. 그런 정보는 직접 경험을 통해 얻어야 하는 거라고요. 이 쓰레드의 목적을 잊으신 건 아니겠지요? :twisted:

bus710의 이미지

소리 wrote:
젠투쟁이 여러분... 이러시면 안돼요.

이미 잊었습니다-_-;;

게다가 전 초보라 괜찮아요-_-;;

life is only one time

hiseob의 이미지

젠투! 젠투! 젠투!
젠투신을 믿어라~
컴파일신을 믿어라~

neogeo의 이미지

젠투 신봉자로써 뭐 시각이 좀 편협할 수는 있지만,

저역시 어디 패포판 패키지 관리가 뭐보다 진보 되었다 라는것은 말도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제가 젠투를 좋아하게 된것도 예전 redhat 에선 어쩔 수 없이 컴파일로만 설치를 하다보니 이게 꽤 익숙해 져서 컴파일을 선호하게 되어버린 것 때문이랄까요.

무엇보다 젠투의 최대 강점은 컴파일이니까 컴파일시 옵션 자체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는데 있는것 같습니다. ( 보통 바이너리로 깔면 불가능 한 일이지요. )

소스로 깔면 되지 않는가 라고 물으실지도 모르지만, 소스로 까는 것과 패키지 관리하에서 컴파일 되어 모든 바이너리가 철저히( 까진 아니더라도 ) 관리되며 버젼 check 가 된다는 것은 하늘과 땅 차이입니다. ( 정말 머리 좋은 분이 아니라면 자신이 몇년전에 깔고 소스는 지워버리는 패키지가 버젼이 몇인지 알턱이 없지요. )

하지만 이게 강점이지만 장점이라고만은 볼 수 없는게, 사실 컴파일 하는 시간 역시 리소스를 먹는 작업임에는 틀림이 없고, 그게 부정적이라면 젠투의 강점이라고 자랑하는 면도 분명 약점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 결국 보는 시각의 차이겠지요. )

결정적으로 유저의 손아귀에 달린 컴파일 옵션이 독이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나 mysql 같은놈은 왠만하면 바이너리를 쓰라고 충고될 정도로 소스 컴파일 해서 , mysql.com 에서 배포하는 수준의 최적화된 바이너리를 얻기는 매우 힘들지요. 자신의 하드웨어에 대해 빠삭하게 알고 각종 컴파일 옵션을 꿰는게 보통 어려운일이 아니지요. ( 뭐 저같은 초보자 입장에서 말씀드리는 겁니다. 일부 분들께는 코웃음 치실 정도로 쉬울지 몰라도.. )

하지만 전 젠투를 깔면서 놀랍게 변한 제 자신을 경험했습니다.

우선 "에이 이건 바이너리가 애초에 이러니까 별수 없어" 라고 포기 하며 울며 겨자먹기로 쓰던 ( 제가 레드햇 9 계열 아래 버젼만 써봐서 ( 알짜 6.2 이상 ) ) 배포판들에서 겪었던 좌절감에 제 기본 태도는 "rpm 은 이래서 안되! " 이러면서 남의 탓을 하곤 했죠.
( rpm 이 나쁘다는건 절대 아닙니다. 예전에 불합리한 면들이 지금 대부분 고쳐졌다는 사실도 들었고, yum 등이 없었던 시절이라 rpmfind.net 등의 도움만을 바라보고 깔던 제가 무지몽매한 시절이었습니다. )

그러나 젠투를 깔고나선 이제 그런 핑계가 불가능 해졌습니다.

오히려 각종 컴파일 옵션 및 이 특정 gpl 소프트웨어의 컴파일 ( 혹은 configure) 옵션에 붙은 녀석의 특징이 뭔가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심지어 ebuild 파일을 까보며 redhat patch 들의 위대함도 점점 깨닫게 되었구요.

( 바닐라 맛 커널에 mm 초코시럽만 알던 제가 이젠 월넛과 초코칩스를 섞는 맛을 깨달았다고나 할까요. 왜 섞는지도 모르다가 섞으면 어떤 맛이 나겠구나.. 하는 원리를 알게 되었다는게 더 정확할지도 모르겠습니다..)

patch 파일을 직접 작성해 ebuild 파일에 적용해 보는 쾌감도 얻었습니다.

이런 일련의 변화가 제게 겪게 한것들은

"수동적" 인 저를 이끌어내 "적극적" 인 리눅서로써의 변화 그 자체 였던 겁니다.

제게 젠투는 적극성을 심어주고 , 리눅스의 그 뒤를 배우게 해준 궁극의 배포판입니다.

제가 젠투를 좋아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 있구요.

DIY Linux 가 뭔지 조금씩 깨닫는 요즘입니다.

아직도 뭔가 안되면 이제 스스로 "유불! (유저불량)" 이라고 외치게 되는 자신을 보면 뭔가 모르게 태도가 성실해 졌다고 할까요...

그런 변화가 매우 즐겁습니다 :)

자! 젠투신을 모두 영접해 봅시다 ( 먼산 ... )

=ㅅ= 추가로 왠만하면 바이너리를 그냥 까는게 성능상 이점이 있을 확률이 높겠지만... 젠투도 나름대로 아주 훌륭한 바이너리들을 기본설정만으로도 잘 내놓는 편입니다.

성능차이는 별로 없다 라고 생각합니다.

Neogeo - Future is Now.

luark의 이미지

hiseob wrote:
젠투! 젠투! 젠투!
젠투신을 믿어라~
컴파일신을 믿어라~

점점 이상한 분위기로 흘러가는군요;;; 이미 발제자의 손을 떠난 듯한;;

---

---
키체의 힘으로 당신에게 평안을...

utpark의 이미지

neogeo wrote:

=ㅅ= 추가로 왠만하면 바이너리를 그냥 까는게 성능상 이점이 있을 확률이 높겠지만... 젠투도 나름대로 아주 훌륭한 바이너리들을 기본설정만으로도 잘 내놓는 편입니다.

이것이 지속적으로 판올림이 되지 않기 때문에,
젠투를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들이 즐겁게 컴파일을 하게 됩니다.:lol:

실제 이진파일들을 만들고, 배포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렵지 않습니다.
단지 유지 보수가 매우 정교해야만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데비안이 많은 꾸러미들을 잘 관리하는 표본이지만,
데비안 꾸러미 관리자(?)가 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쉽지 않은
여러가지 기술을 보유해야 합니다.

원래 리눅스라는 것이 뭔가 재미로 시작하고 느슨한 분위기에서
맥주나 한잔씩 하면서 만지는 '삽' 정도인데,
어느 순간이 지나면 포크레인 기사가 되어감을 느낍니다.

포크레인 기사는 사실 우리가 원하는 것이 아닐수도 있습니다.
(생산이라기 보다는 서비스의 일종이라고 보여집니다.)

리눅스 사용자라면, 좀더 프로그램의 소스를 보는 것에 재미를 느껴야 하지 않을까요?

이런 면에서, 뭔지 그리고 웬지 모르게 소스를 보게 강제하는 듯한
젠투의 철학이 우리의 발목을 붙잡는 것은 아닐까요?

랜덤여신의 이미지

koxel wrote:
젠투의 패키지 관리가 데비안보다 진보되있다는건 이해할 수 없습니다.

사실, 제가 젠투의 패키지 관리 시스템이 "진보되었다" 라고 말한 것은 순전히 저의 개인적인 선호에 따른 것이였습니다. 객관적이 의견이 아닌 점 사과드립니다. ^^;
데비안/우분투 나 다른 배포판을 비하하려는 의도는 없습니다. 제가 리눅스를 사용하면서 젠투를 쓴 기간과 데비안/우분투를 쓴 기간이 비슷한데, 다들 우열을 가릴 수 없을 정도로 우수했습니다. 각 배포판마다 장단점이 있습니다. 젠투 패키지 시스템의 몇가지 장점을 언급하기 위해서 "더 우수하다" 고 표현한 것인데, 제 표현이 잘 못된 것 같습니다.
랜덤여신의 이미지

utpark wrote:
리눅스 사용자라면, 좀더 프로그램의 소스를 보는 것에 재미를 느껴야 하지 않을까요?

이런 면에서, 뭔지 그리고 웬지 모르게 소스를 보게 강제하는 듯한
젠투의 철학이 우리의 발목을 붙잡는 것은 아닐까요?


젠투는 무서운 배포판이군요... :twisted:
다크슈테펜의 이미지

컴파일하고 보니 새버전이 올라와 있더라...
젠투 설치에는 관심이 많지만 그래도...이런것 때문에...ㅠ0ㅠ;;
그리고 데비안아니 우분투나 그냥 바이너리 방식으로 패키징할수도 있지만 젠투식으로도 컴파일해서 패키징 관리 할수 있기때문에 뭐 장점이라면 장점일수 있죠.
솔직히 저 같은 경우에는 동영상보고 만화책보고 그리고 마메게임에 웹서핑하는 수준입니다.여러분 같이 웹서버 세팅하고 하드웨어 조율하고 그런 수준은 아니겠지요(그런 수준도 못되요..ㅠ0ㅠ))
그런 상황에서 컴파일하는 시간대 성능향상은 별로 장점이 못되지요.제가 원하는 패키지는 찾아보면 다 있고 i386으로 컴파일 되어 있다고 해도 동영상 3개 4개 킨다고 해도 버벅거리는 것도 없으니 컴파일 시간 투자하면 성능향상있다고 하는 장점은 저에게는 별로 솔깃한 조건은 아니지요.

인생이란게 다 그런게 아니겠어요....? 뭘(?)
http://schutepen.egloos.com

훌륭한녀석의 이미지

제가 보는 젠투는..

마치 MS Windows XP 사용하면서 새로운 그래픽 카드를 설치하고, 새로운 CPU를 꼽고 오버클럭에 열정을 쏟는 모습처럼 보입니다.

사실 저도 새로운 시스템이 들어올 경우 젠투를 설치하고선 빠방한 성능을 느끼고 희열을 느끼려는 성향을 보이고 있거든요.

luark의 이미지

다크슈테펜 wrote:
컴파일하고 보니 새버전이 올라와 있더라...
젠투 설치에는 관심이 많지만 그래도...이런것 때문에...ㅠ0ㅠ;;
그리고 데비안아니 우분투나 그냥 바이너리 방식으로 패키징할수도 있지만 젠투식으로도 컴파일해서 패키징 관리 할수 있기때문에 뭐 장점이라면 장점일수 있죠.
솔직히 저 같은 경우에는 동영상보고 만화책보고 그리고 마메게임에 웹서핑하는 수준입니다.여러분 같이 웹서버 세팅하고 하드웨어 조율하고 그런 수준은 아니겠지요(그런 수준도 못되요..ㅠ0ㅠ))
그런 상황에서 컴파일하는 시간대 성능향상은 별로 장점이 못되지요.제가 원하는 패키지는 찾아보면 다 있고 i386으로 컴파일 되어 있다고 해도 동영상 3개 4개 킨다고 해도 버벅거리는 것도 없으니 컴파일 시간 투자하면 성능향상있다고 하는 장점은 저에게는 별로 솔깃한 조건은 아니지요.

그러게요. 저도 여태까지 써본 배포판 중에서 데비안이 젤 좋았습니다. 그런데도 젠투를 벗어나지 못하는건 설치때 정들어 버린게 큰듯 하네요.. 미운정.. ㅜㅜ

위에 랜덤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다양한 패키지가 존재하다는 것도 분명 장점이구요. 이래저래 오늘도 이머징하면서 투덜대면서도 왠지 미워할 수 없는 그런 배포판이군요... 에잇.

---

---
키체의 힘으로 당신에게 평안을...

환상경의 이미지

설치 중독증이라해야하나?
한때 여러 리눅스를 설치하면서 이리눅스는 어떻고 저리눅스는 어떻고 경험해보는것을 좋아했었습니다.
그래서 설치해보고 사용해본 리눅스가

1. 젠투리눅스
2. 한소프트리눅스
3. 페도라 코어 시리즈
4. 데비안 리눅스(시드)
5. 우분투리눅스
6. 아치리눅스
7. 멘드레이크 리눅스
8. 수세 리눅스

순서대로 설치를 해보았습니다. 한때는 저 리눅스 전체를 한 컴터에 설치해놓고 오늘은 여기 내일은 저기 하면서 로그인을 했었죠 ㅡ.ㅡ;;
지금 생각해보면 참 쓸데없는 짓이라고 생각도 들기는하지만 각 배포판들의 특징은 확실하게 알수 있겠더군요
그렇지만 먼저 시작한게 젠투리눅스다 보니.. 게다가 한달반을 설치에만 매달려서 삽질을 한 리눅스다보니 젠투리눅스에 더 정이가더군요
윗분들이 말씀하신 USE플래그를 이용한 패키지 설치의 유연성은 참 굉장한것 같습니다.
패키지 컴파일시간의 압박이라는 점만 극복하면 젠투 정말 괜찮은 배포판이라고 생각합니다.

ps.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시간적여유가 있다면 : 젠투 > 아치 > 우분투 > 데비안 > RPM계열
귀차니즘에 모든게 귀찮다면 : RPM 계열 > 우분투 > 데비안 > 아치 > 젠투
순이라고 생각되는군요 ^^;;
모든 것은 사용자 취향~

==================================================================
정체된 일상.... 계기를 만들어야 하는데........
BLOG : http://khmirage.tistory.com/

1day1의 이미지

환상경 wrote:
....

ps.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시간적여유가 있다면 : 젠투 > 아치 > 우분투 > 데비안 > RPM계열
귀차니즘에 모든게 귀찮다면 : RPM 계열 > 우분투 > 데비안 > 아치 > 젠투
순이라고 생각되는군요 ^^;;
모든 것은 사용자 취향~

아니! 귀차니즘의 대명사는 데비안이 아니었던가요? ^^

아무튼 젠투는 컴파일의 압박이 너무 심함(제 주관..)

F/OSS 가 함께하길..

환상경의 이미지

1day1 wrote:
환상경 wrote:
....

ps.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시간적여유가 있다면 : 젠투 > 아치 > 우분투 > 데비안 > RPM계열
귀차니즘에 모든게 귀찮다면 : RPM 계열 > 우분투 > 데비안 > 아치 > 젠투
순이라고 생각되는군요 ^^;;
모든 것은 사용자 취향~

아니! 귀차니즘의 대명사는 데비안이 아니었던가요? ^^

아무튼 젠투는 컴파일의 압박이 너무 심함(제 주관..)

귀찮음에는 설치에 관한것도 포함이 되기에 저렇게 나열한것입니다. ^^;;
제가 데비안 설치하는데 상당히 애를 먹었었거든요....
젠투처럼 완벽한 텍스트모드도 아니고 그렇다고 RPM계열 배포판같이 GUI인스톨러도 아닌것이 상당히 애를 먹었었기에 ^^;;;
게다가 RPM계열은 설치하고나면 데비안보다는 손볼곳이 없다고 생각되기때문입니다...
데비안은 일일이 다 apt로 설치를 해줬어야 했으니깐요 ^^;;;

==================================================================
정체된 일상.... 계기를 만들어야 하는데........
BLOG : http://khmirage.tistory.com/

ed.netdiver의 이미지

에, 원 발제가 젠투와 바이너리기반 배포본과의 성능차이라서, 곁가지로 새는 글을 올리는것이 좀 우려가 됩니다만, 새로 글타래를 만드는것도 좀 그래서 말이죠.

리눅스 기반으로 개발을 한다는 뜻은 개발자 machine이 linux box라는 의미도 있겠지만, 개발해서 판매(? )하는 program도 linux기반이라는 것이 되겠죠?
크게 server와 pkg program이 있을텐데요,
server야 당연히 server machine의 configuration, 최적화가 그 배포본 기반으로 되서 구성될테니 그렇다 치고,
pkg program을 개발 판매하시는 분들은 과연 어떤 배포판을 선호하십니까?
대개의 상용 프로그램의 경우, Redhat계열기반이 주라서, 설정파일위치부터 여러가지 자잘한 부분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는 타 배포판의 경우는 (물론 자동으로 알아서 scripting해주기도 하지만) 사용하려면 나름의 삽질을 요했던 경우가 있었습니다.(거의 대부분 library, config file 위치정도였지만요^^; )
때문에 원하지 않는 redhat machine을 만들어야 할 경우까지 있었고 말이죠.

상품, 특히 pkg program을 판매하시는 분들 입장에서의 사용자 배포판 선호도는 어떤지가 궁금해져서 몇자 적습니다.
그럼 좋은 하루되세요...
(요 며칠 감기로 고생중이네요. 머리가 어질어질... 맞게 적은건지도 헷깔리네용.^^; 감기들 조심하세요~ )

--------------------------------------------------------------------------------
\(´∇`)ノ \(´∇`)ノ \(´∇`)ノ \(´∇`)ノ
def ed():neTdiVeR in range(thEeArTh)

bh의 이미지

젠투를 사용하고 있지 않지만, 대충 문서들을 읽어보니..
젠투의 여러 기능중.. 제가 제일 부러운건.. "포티지 오버레이" 입니다.
https://dawoum.wowdns.com/mediawiki/index.php/PortageOverlay

움... 이 젠투의 "포티지 오버레이" 기능만.. 어떻게 좀 누가 FreeBSD 포트 시스템으로 포팅해줬으면 좋겠네요..;;

--
이 아이디는 이제 쓰이지 않습니다.

kaos009의 이미지

comgineer wrote:
akudoku wrote:
luark wrote:
정태영 wrote:
lefthander wrote:
젠투의 치명적인 단점은 '업데이트 중독'에 말려서 검은 바탕에 흰 글씨가 주르륵 올라가는 화면을 멍하게 보면서 시간 보내는 일이 많다는 겁니다. 8)

나중에 심해지면 /usr/portage 디렉토리를 뒤지면서 뭐 설치해볼만한거 없나를 찾게 됩니다...

현재의 제 상태군요;;;; 중독이라니...

전 방금 새로운 세상을 알아 버린 것 같습니다.

(중독자 +1)

거참... 모두들 비슷한 길을 가는군요~~ 저만 그런줄 알았습니다.

저두 그렇 답니다. ㅡㅡ; (중독자 +2) :twisted:

변화를 추구하며....

송효진의 이미지

bh wrote:
젠투를 사용하고 있지 않지만, 대충 문서들을 읽어보니..
젠투의 여러 기능중.. 제가 제일 부러운건.. "포티지 오버레이" 입니다.
https://dawoum.wowdns.com/mediawiki/index.php/PortageOverlay

움... 이 젠투의 "포티지 오버레이" 기능만.. 어떻게 좀 누가 FreeBSD 포트 시스템으로 포팅해줬으면 좋겠네요..;;


조만간 젠투로 오시겠군요.
미리 축하드립니다. :twisted:
hanbyeol의 이미지

1년전까지 P3 500 320MB(64+256) 노트북(명품 ARMADA M300 !!!)에서 젠투 설치해서 돌렸습니다.

X나 모질라 껌파일하는 데 약 네시간 걸립니다. 그래도 썼습니다. ^^
주기적으로 습관적으로 시시때때로 emerge -up world 를 때렸고 ...
멍하게 텍스트가 주루룩 올라가는 거 쳐다 보고 ...
뭐 그래 살았습니다.

쩝 ... LCD 꺼지는 모드가 설정이 안 되어 늘 LCD를 켜 놓은 상태였는데 결국 그 때문인지 백라이트가 나가버렸습니다. 그 뒤 . 젠투 못 쓰고 있습니다. 집에 리눅스 돌릴 시스템이 없는지라 ...

젠투 매력(???!!!)에 빠~져~ 보시길~

luark의 이미지

hanbyeol wrote:
1년전까지 P3 500 320MB(64+256) 노트북(명품 ARMADA M300 !!!)에서 젠투 설치해서 돌렸습니다.

X나 모질라 껌파일하는 데 약 네시간 걸립니다. 그래도 썼습니다. ^^
주기적으로 습관적으로 시시때때로 emerge -up world 를 때렸고 ...
멍하게 텍스트가 주루룩 올라가는 거 쳐다 보고 ...
뭐 그래 살았습니다.

쩝 ... LCD 꺼지는 모드가 설정이 안 되어 늘 LCD를 켜 놓은 상태였는데 결국 그 때문인지 백라이트가 나가버렸습니다. 그 뒤 . 젠투 못 쓰고 있습니다. 집에 리눅스 돌릴 시스템이 없는지라 ...

젠투 매력(???!!!)에 빠~져~ 보시길~

제 서브놋북인 m300도 백라이트 흐림(완전 나간건 아니고 밝기 최대로해도 어둡네요 ㅜㅜ)과 힌지의 헐거워짐으로 현재 봉인상태입니다;;
m300에서 이머징하는 것도 부담스러워서 메인머신의 젠투를 그대로 옮겨볼까 생각중인데; 귀차니즘으로 차일피일 미루고 있네요.;;
어차피 워드머신으로 사용하는데, 아직은 OOO보다 msword가 좋아서 라는 점도 크게 작용합니다만..

---

---
키체의 힘으로 당신에게 평안을...

NamSa의 이미지

후반부 가니 젠투 이야기만 나오는군요..

젠투 처음 설치해보는 중인데 기대 만빵입니다..

richebm의 이미지

맨처음 리눅스 세계로 접어들면서 고민 했던 부분들인데,
지금도 이런 얘기들이 나오면 솔깃합니다.
초보때 이것 깔았다 저것 깔았다 하면서 정작 사용하는 시간 보다
까는 시간에 더 많이 투자한 생각이 드는 군요.
재밌는 것은 여기 내공이 꽤 되시는 분들도 배포판에 대한 얘기에
솔깃하신다는 거네요. 그러니 초보 = 고수 등식이 성립하는 군요. ^^

제가 첨 리눅스를 시작 할 때도 이런류의 논쟁은 항상 있었구요.
쭉 ~ 계속 앞으로도 있을 것 같습니다. 또 비슷한 논쟁이 있으면
귀가 솔깃할 수도 있겠죠. 솔직히 페도라 부터 데비안, 우분투,
젠투 한 시스템에 깔아 놓고 돌아 가면서 부팅한다는 분 얘기에
'부럽다. 나도 저렇게 해봐?'하고 생각했었죠. 리눅서라면 다 비슷한
생각이 들 것 같습니다.

배포판이 많다는 것 리눅스의 장점이죠.
하지만 그게 단점이 될 수 도 있죠. 전 후자에 투표 하고 싶네요.
안그래도 삽질 많은 운영체제, 첨 설치부터 햇갈리게 만드는 부분이죠.
첨 시작하는 분들은 항상 물어야 겠죠.

비기너 : 리눅스 뭘 깔죠? 시디를 구했는데 이거 말고 다른 것도 많다면서요? 어느게 좋죠?....

유저1 : 초보때는 페도라가 쉬워요.
유저2 : 아뇨. 데비안 쓰세요.
유저3 : 젠투가 최고 라니까요.
유저4 : 글쎄요. 우리나라 리눅스 대표 선수들도 거기에 대해 논쟁하고 있어요.

항상 이런식이란게 전 불만스럽네요.

유저0 :아무거나 쓰세요. 똑같아요. 그리고 한번 깔면 한 1년은 다른 배포판
깐다고 지우지 마세요.

이런식으로 되었으면 합니다. ^^

그러니까 이 글타래가 이렇게 긴 것도 저는 좀 그렇습니다.
답변 : 똑 같습니다. 하기 나름이에요.
2번째 글에서 이렇게 끝나는게 제가 보는 바람직한 방향입니다.
물론 글타래 속에서 각 배포판에 대한 각종 정보를 얻은 것도 사실이지만
그건 이런 논쟁보다는 배포판의 특징에 대한 문서같은 곳에서 접하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여기, 자기가 쓰는 배포판에 대한 투표도 진행중이군요. -_-;;

배포판을 뭘 쓰던 그건 개인 기호이고 남들에게 권할 때는,
아무거나 쓰세요 똑같습니다. 이런 문화가 정착되었으면 ...
-----------------
한번 깔고 돌아 간다면 건들지 말자.
배포판 까는 시간에 코딩 한줄이라도 더 ...

송효진의 이미지

richebm wrote:
배포판을 뭘 쓰던 그건 개인 기호이고 남들에게 권할 때는,
아무거나 쓰세요 똑같습니다. 이런 문화가 정착되었으면 ...

그게 그렇지 않다는거 아시잖아요~
배포판 추천할 때도
쌩초보 -> 페도라
귀차니즘 데탑 -> 우분투
귀차니즘 서버 -> 데비안
커스터마이즈매니아-_-;; -> 젠투
(그냥 예를 든거에요)

이런식으로 '특징'을 얘기해 주고 추천하죠.
어차피 다 '공짜' 니까 '솔깃'해 지는걸로 골라서 깔아보고,
문제를 해결하며 익숙해 지는거죠.

서버로 사용하고,
문제가 없으면 건드리지 않는다는 이념에 따라 업데이트고 거의 하지 않고,
주요 대몬을 직접 컴파일 한다면,
배포판의 특징이 거의 나타나지 않을 정도로 똑같겠죠.

배포판을 고르는 이유는
해당 배포판에 녹아있는 노하우를 감사히 사용하겠다는 것이니까요.

richebm의 이미지

송효진 wrote:
richebm wrote:
배포판을 뭘 쓰던 그건 개인 기호이고 남들에게 권할 때는,
아무거나 쓰세요 똑같습니다. 이런 문화가 정착되었으면 ...

그게 그렇지 않다는거 아시잖아요~

글쎄요... 전 똑같던데요. 어차피 방법의 차이겠지만 젠투에서 할 수 있는 것
데비안이나 페도라에서도 할 수 있고 suse 같은 경우 써보지 않았지만
당연히 할 수 있을 거라 확신 할 수 있죠. 이에 대해서는 위의 글타래에서도
이미 비슷한 결론이 난 걸로 아는데요.
물론 어떤 배포판의 어떤 부분이 좀 편할 수 있겠지만 또 다른 부분은 불편한 부분이 있거든요.

결국 패키지 관리 방식의 차이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고
vi 쓰다가 emacs 쓰면 key가 손에 안 익어서 짜증이 나듯
rpm 쓰다가 apt 쓰면 사용법이 생각 안나 man page 뒤적이게 되고,
이런 부분들이 저는 배포판의 다양성에 대한 장점보다는 단점으로
느껴지는 거죠.

이건 논란의 소지가 될 수 있는 발언이지만
전 주위에서 "리눅스 왜 쓰세요? 좋은가요? 리눅스 쓰면 뭐가 좋죠?
저도 윈도 밀고 리눅스로 갈아 볼까요?"하고 묻는 사람이 있으면
개발자라서 자신에 맞는 개발환경이 필요하거나 전산 전공자로서 학습의
목적이 아니면 리눅스 쓸 이유가 없다고 합니다. 아니면 시간이 정말 많이
남아도는 사람이고 재미거리를 찾는 다면 깔아 볼만 하다고 하지요.
"데스크탑으로 쓸려면 윈도 쓰세요." 아직 까지는 이렇게 말합니다.

얼마전 서버 구축 해야할 일이 생겼는데 dell 컴퓨터 더군요.
데비안 안정판을 까는데 인스톨러가 sata 를 인식못해 1주일 넘게
삽질한 기억이 나네요. 결국 인터넷에서 누가 dell용으로 만든 iso이미지
받아서 기본 시스템 설치하고 최신 커널 받아서 커널 컴파일 다시하고...
서버컴이라고 해봐야 데스크탑용으로 나온 dell 컴퓨터 같던데,
데스크탑으로 쓴다면 xp cd 한장 있으면 바로 깔렸겠죠.

ed.netdiver의 이미지

deb stable(우디?ㅡ.ㅡ; )이라면 sata driver update가 늦은것일뿐이잖습니까?
어차피 다 똑같은건데, update빠른 다른 배포판을 쓰시지 그러셨어요?
:roll:

--------------------------------------------------------------------------------
\(´∇`)ノ \(´∇`)ノ \(´∇`)ノ \(´∇`)ノ
def ed():neTdiVeR in range(thEeArTh)

랜덤여신의 이미지

richebm wrote:
글쎄요... 전 똑같던데요. 어차피 방법의 차이겠지만 젠투에서 할 수 있는 것
데비안이나 페도라에서도 할 수 있고 suse 같은 경우 써보지 않았지만
당연히 할 수 있을 거라 확신 할 수 있죠. 이에 대해서는 위의 글타래에서도
이미 비슷한 결론이 난 걸로 아는데요.
물론 어떤 배포판의 어떤 부분이 좀 편할 수 있겠지만 또 다른 부분은 불편한 부분이 있거든요.

결국 패키지 관리 방식의 차이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고
vi 쓰다가 emacs 쓰면 key가 손에 안 익어서 짜증이 나듯
rpm 쓰다가 apt 쓰면 사용법이 생각 안나 man page 뒤적이게 되고,
이런 부분들이 저는 배포판의 다양성에 대한 장점보다는 단점으로
느껴지는 거죠.


그 "약간의 차이" 가 리눅스의 다양성을 만드는거죠.
물론, 그 다양성의 단점도 있습니다만, 리눅스의 "문화" 를 존중해 주어야 하지 않을까요? :-)
리눅스에 다양성이 없으면,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윈도나 맥이랑 다를 것이 없어지죠.

richebm wrote:
이건 논란의 소지가 될 수 있는 발언이지만
전 주위에서 "리눅스 왜 쓰세요? 좋은가요? 리눅스 쓰면 뭐가 좋죠?
저도 윈도 밀고 리눅스로 갈아 볼까요?"하고 묻는 사람이 있으면
개발자라서 자신에 맞는 개발환경이 필요하거나 전산 전공자로서 학습의
목적이 아니면 리눅스 쓸 이유가 없다고 합니다. 아니면 시간이 정말 많이
남아도는 사람이고 재미거리를 찾는 다면 깔아 볼만 하다고 하지요.
"데스크탑으로 쓸려면 윈도 쓰세요." 아직 까지는 이렇게 말합니다.

저도 비슷한 생각입니다.
예전에 어떤분이 데스크탑으로써의 리눅스를 "매니악하다" 라고 말씀하셨는데, 저는 최소한 지금은 그 말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매니악하기 때문에, 다른 운영체제보다 세팅하기가 힘들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매니악하기 때문에 얻는 장점들 때문에, 데스크탑 용도로 리눅스를 쓰는 것이지요. 8)

하지만, 요즘 리눅스는 "시간이 정말 많이 남아도는 사람" 만 쓸 수 있는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약간의 취미 생활을 즐길 수 있을 정도의 여유만 있으면 되지 않을까요? ;)

ed. wrote:
richebm wrote:
얼마전 서버 구축 해야할 일이 생겼는데 dell 컴퓨터 더군요.
데비안 안정판을 까는데 인스톨러가 sata 를 인식못해 1주일 넘게
삽질한 기억이 나네요. 결국 인터넷에서 누가 dell용으로 만든 iso이미지
받아서 기본 시스템 설치하고 최신 커널 받아서 커널 컴파일 다시하고...
서버컴이라고 해봐야 데스크탑용으로 나온 dell 컴퓨터 같던데,
데스크탑으로 쓴다면 xp cd 한장 있으면 바로 깔렸겠죠.
deb stable(우디?ㅡ.ㅡ; )이라면 sata driver update가 늦은것일뿐이잖습니까?
어차피 다 똑같은건데, update빠른 다른 배포판을 쓰시지 그러셨어요?
:roll:

이제 debian stable 은 sarge 죠.
richebm 님께서 sarge 로 설치를 시도하셨는데도 안 된 거라면, 조금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네요.
정확한 하드웨어 스펙이 무엇인가요? 데비안에 버그 리포팅을 해 주심이... ^^
richebm의 이미지

ed. wrote:
deb stable(우디?ㅡ.ㅡ; )이라면 sata driver update가 늦은것일뿐이잖습니까?
어차피 다 똑같은건데, update빠른 다른 배포판을 쓰시지 그러셨어요?
:roll:

방법의 차이 겠지만 그래도 까는 방법이 있었고 깔았지 않습니까?
물론 update 빠른 다른 배포판일 경우 한방에 깔렸을 수도 있었겠죠.
그렇다고 또다른 문제가 생겨나지 않는다는 보장도없죠.
update 빠른 배포판의 장점이 있는반면 단점도 있죠.
이것이 똑같다는 의미입니다.

ps. 현재 데비안 stable은 sarge입니다.

richebm의 이미지

Quote:

그 "약간의 차이" 가 리눅스의 다양성을 만드는거죠.
물론, 그 다양성의 단점도 있습니다만, 리눅스의 "문화" 를 존중해 주어야 하지 않을까요? :)
리눅스에 다양성이 없으면,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윈도나 맥이랑 다를 것이 없어지죠.

공감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다양성이 지나치다는 문제는 있는 것 같습니다.
5팀이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각각이 만들어서 5개가 만들어 진다면 사용자입장에서 마음에 드는 걸 골라 잡을 수 있는 선택의 여지야 많겠지만 5팀이 올인해서 하나를 만들면 좀 더 완성도가 높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Quote:

richebm 님께서 sarge 로 설치를 시도하셨는데도 안 된 거라면, 조금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네요.
정확한 하드웨어 스펙이 무엇인가요? 데비안에 버그 리포팅을 해 주심이... ^^

정확한 사양은 지금 기억이 안납니다.
보드는 인텔칩이고 하드는 wd였습니다.
분명한건 dell용 하드가 piix 드라이버를 사용한다는 겁니다.
한달전 쯤 설치 했었는데 사쥐 경우 인식을 못했고 테스팅(etch)인 경우도
맞는 sata용 드라이버를 선택하라고 메뉴가 뜨지만 piix를 선택해도 설치가
되지 않았습니다.
dell용 iso를 만든 분은 우디에 2.4후반때 커널에 libata패치를 가해서
만들었더군요.
pok의 이미지

Quote:
공감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다양성이 지나치다는 문제는 있는 것 같습니다.
5팀이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각각이 만들어서 5개가 만들어 진다면 사용자입장에서 마음에 드는 걸 골라 잡을 수 있는 선택의 여지야 많겠지만 5팀이 올인해서 하나를 만들면 좀 더 완성도가 높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공감가는 글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신앙적 신념이기때문에 바뀌기 힘들것입니다.

즉, 오픈소스-공짜프로그램이 아닌-을 택하셨다면 5팀이 올인한다는것은 불가능합니다. 왜냐하면, 5개팀들은 바보들이 아니기때문에 어떤 다른점들때문에 5개의 비슷해보이는 프로그램들을 만든것입니다. 진실로 개발자들이 이루려고했던것과 비슷한것이 있으면 그 팀에 참가했을것이지 새 팀을 만들지는 않습니다. 팀을 만들고 유지해나간다는것은 어려운일이고 힘든일이 괜히 할 개발자들은 없습니다.

5개의 팀들의 장단점을 잘 이해하고 이것들의 장점을 모두 수용한 강력한 제6의 팀이 나온다면 나머지 5개팀들은 그 제 6의 팀들에 흡수되고 자연적 소멸을 할것입니다. 이것이 오픈소스입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그러한 제6의 팀이 없기 때문에 나머지 5개팀들은 서로에게 영감을 받으며 다른 장점을 가진 프로그램들로 성장합니다. 물론 이것도 오픈소스의 장점입니다.)

이러한 과정자체가 나쁘시진 않을겁니다. 사실 이러한 과정으로 만들어진 프로그램들의 결과물은 정말 대단합니다. 이러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은(??) 프로그램들은 대단하지 않을수 없겠지요..

다만, 이러한 과정들은 일반적인 방법에 비해 시간이 많이 걸려보이고 난잡해 보이시는 것일뿐입니다. 만일 이게 싫다면, 오픈소스는 좀 안맞으시는것 같습니다. 오픈소스프로그램을 누가 독재할수는 없으니까요...

이러한 오픈소스에 관심이 없고 단지 공짜로써의 오픈소스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입장(어쩌면 대부분의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결과물을 사용할 시점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제 생각에는 기업적 환경으로 봤을때 이미 리눅스과 그에따른 여러배포판과 프로그램들은 그 시점이 도래했다고 봅니다.

결론을 짧게 내면, 아직 쓸만한 오픈소스프로그램이 없다고 생각되신다면 진행중이기 때문에 기다리십시요.

덧글.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킬러 / 대체가능오픈소스 프로그램입니다.
킬러 소프트웨어 - 계열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우수하다고 생각하는 프로그램

  • 컹커러
  • mplayer / kplayer
  • gimp
  • gwenview
  • Cervisia
  • KDevelop
  • aMule
  • amaroK
  • Kontact - kmail, kOrganizer, knote, Akregator
  • kompose
  • firefox
  • vim
  • Umbrello
  • kile
  • ripperx
대체 프로그램 - 그럭저럭 쓸만한 대체프로그램
  • kopete
  • openoffice
  • ark
[/][/]
richebm의 이미지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대한 올인 문제는 pok님 말씀대로 실질적으로는
힘들어 보이는 군요.

Quote:

다만, 이러한 과정들은 일반적인 방법에 비해 시간이 많이 걸려보이고 난잡해 보이시는 것일뿐입니다. 만일 이게 싫다면, 오픈소스는 좀 안맞으시는것 같습니다. 오픈소스프로그램을 누가 독재할수는 없으니까요...

저는 감사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리눅스 바탕에 있는 정신들을 소중히 생각합니다.

컴퓨터는 사용자를 따라 가는거라 믿고있습니다.
그래서 전 하드웨어를 구입할 때도 대도록이면 메이커를 선호합니다.
여기서 메이커란 '많이 팔린'의 의미입니다.
제 구형 voodoo카드는 회사가 없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한번도 속 썩인 적이
없습니다. 어떤 배포판에서도 알아서 지원을 해줍니다.

실제 리눅스 사용자가 윈도 사용자의 반만 되도 소규모 영세 사이트가 아니라면 ie 전용의 웹페이지를 만든다거나 하는 용감한(?) 행동을 하는 분들이 거의 없겠죠. 인터넷 뱅킹도 훨씬 일찍 이뤄졌겠구요. 다른 모든 부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가 되겠죠.

제가 쓴 대부분의 내용은 일반 윈도 사용자가 리눅스로 전환하기에 걸림돌이
되는 것들에 대해서 무의식중에 많이 반영된 것 같습니다.
그래서 개발자 위주의 입장에서 쓴 글과는 서로 공감은 하면서도 약간은 대상체(?)가 서로 안 맞는 듯한 느낌도 있네요.

그렇다고 제가 모든 윈도 사용자가 리눅스로 전향하기를 바라는 건 아닙니다.
전 다만 제가 사용하는 환경이 좀 더 편해지길 바랄 뿐입니다. 그러자면
사용자층이 더 두터워 져야 겠구요.

extrealm의 이미지

고수님께서 올리시는 글에 한마디 달아봅니다.

컴퓨팅을 목표로 보는 분들에게 있어서, 리눅스의 다양성은 한마디로 풍요 그자체인것 같습니다만, 저같이 컴퓨터가 도구인 사람들에게 있어서, 그것은 목표에 보다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게하는 매개체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도구로서 접근하다 만나게 되는 RTFM 이라는 한마디는 정말 "처절" 그 자체입니다.

어느 배포판이든 apt나 yum 이나 emerge 등의 명령어가 무엇인지 몰라도 "리눅스 업데이트" 사이트 같은것이 있어서 "업데이트 사이트에 접속하세요." 라고 표현할 수 있다면 좋겠군요. (말도 안되는 소리지만) "배포판 변경" 기능도 있다면 더욱 좋겠군요.

/E/X/T//R/E/A/L/M/ - 그대 품 안의 또하나의 세상

랜덤여신의 이미지

extrealm wrote:
어느 배포판이든 apt나 yum 이나 emerge 등의 명령어가 무엇인지 몰라도 "리눅스 업데이트" 사이트 같은것이 있어서 "업데이트 사이트에 접속하세요." 라고 표현할 수 있다면 좋겠군요.

약간 딴지성이긴 합니다만...

http://barosl.com/blog/index.php?pl=338 (우분투의 gnome-app-install)
이런걸 쓰면, 프로그램을 설치하는데 명령어 따위는 몰라도 됩니다. (따위라고 표현해서 죄송합니다. ^^;; )

제가 생각하기로, 리눅스가 어렵게 느끼지는 이유 중 하나는, 많은 리눅스 설명서들이, "윈도에서 익숙한 방법" 으로 리눅스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리눅스에 존재해온 방법" 들을 설명하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즉, 시냅틱 같은 GUI 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지 않고, apt-get, yum, emerge 등의 명령어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요즘 배포판에서, GUI 로는 안되고 터미널로만 되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리눅스가 편하다, 윈도가 편하다... 이건 익숙함의 차이일 뿐입니다. 어느 것이 일반적으로 더 편한지는, 저로써는 알 수가 없군요.
다만, 리눅스가 "윈도를 써 온" 일반 사용자들에게도 어필하려면, "윈도에서 썼던 방법들을 리눅스에서도 친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일단 리눅스 사용자를 다수 확보하면, 리눅스에 대한 사회적 고려는 저절로 생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IE 전용 사이트가 줄어든다든지, 게임 제작시 리눅스용으로도 출시한다든지)

페이지

댓글 달기

Filtered HTML

  • 텍스트에 BBCode 태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URL은 자동으로 링크 됩니다.
  • 사용할 수 있는 HTML 태그: <p><div><span><br><a><em><strong><del><ins><b><i><u><s><pre><code><cite><blockquote><ul><ol><li><dl><dt><dd><table><tr><td><th><thead><tbody><h1><h2><h3><h4><h5><h6><img><embed><object><param><hr>
  • 다음 태그를 이용하여 소스 코드 구문 강조를 할 수 있습니다: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지원하는 태그 형식: <foo>, [foo].
  • web 주소와/이메일 주소를 클릭할 수 있는 링크로 자동으로 바꿉니다.
댓글 첨부 파일
이 댓글에 이미지나 파일을 업로드 합니다.
파일 크기는 8 MB보다 작아야 합니다.
허용할 파일 형식: txt pdf doc xls gif jpg jpeg mp3 png rar zip.
CAPTCHA
이것은 자동으로 스팸을 올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