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fbterm nabi 에서 한글 입력 문제
글쓴이: 무혼인형 / 작성시간: 토, 2004/07/24 - 11:16오전
안녕하세요..
목표 :
콘솔에서 한글을 한번 써볼려고 jfbterm 을 설치 하고자 합니다.
설치과정 :
http://kldp.net/projects/hangul-jfbterm/ 에서 관련파일과 폰트를 다운 받고 http://hangul-jfbterm.kldp.net/install.html 의 과정에 따라
Quote:
했습니다.1. ./configure --prefix=/usr && make && make install
2. cat termcap.jfbterm >> /etc/termcap
3. tic terminfo.jfbterm
4. cp jfbterm.conf.sample.han /usr/etc/jfbterm.conf
그리고 font 파일들을 /usr/X11R6/lib/X11/fonts/misc 에 위치 시켰습니다
Quote:
[root@localhost misc]# pwd
/usr/X11R6/lib/X11/fonts/misc
[root@localhost misc]# ls
ieng.pcf.gz ieng_ihangul.pcf.gz ihan_ksc.pcf.gz unifont.pcf.gz
1차 문제발생 : /dev/fb0 no such device 프레임 버퍼로 부팅
설치한 후에 다른 일로는 수정할 일이 없어서 그냥 grub를 사용하고 있었는데(grub 애용자들분께는 죄송;; ) grub 에서 프레임 버퍼 세팅방법을 모르는 겁니다 (사실 프레임 버퍼가 뭔지 단어만 들어봤고 써본 적이 없어서;; ) jfbterm페이지의 설치 및 설정 란에도 lilo설정만 나와있고..
1차 문제 해결 :
어찌어찌 해서 메뉴얼 찾아보고 구글님에게 물어보고..
Quote:
1. /etc/grub.conf 에서 kernel 부분에 append='vga=0x303' 추가. 그냥 vga=0x303 이라고 적었다가 적용 안되서 많이 해맸습니다
2. grub-install /dev/hda
3. reboot
대망의 첫 실행 그리고 2번째 문제 발생 :
Quote:
와우! :P export LC_CTYPE=ko_KR.utf8
jfbterm
어디서 많이 보던 터미널 화면이 되었습니다. 기쁜마음에 Shift+Space 를 누르고 키를 눌러보니 커서가 뒤로만 갑니다. -_-;
화면에만 안보이는게 아닌지, 엔터를 한번 쳐봤더니 역시나
Quote:
라고 나오네요
bash: : command not found
질문 :
어떻게 하면 한글 폰트를 볼 수 있을까요? :cry:
추가 : /usr/etc/jfbterm.conf
term : jfbterm fontset : iso646-1973irv,pcf,L,/usr/X11R6/lib/X11/fonts/misc/8x16.pcf.gz +fontset: ansix3.4-1968,alias,L,iso646-1973irv +fontset: ksc5601-1987,pcf,L,/usr/X11R6/lib/X11/fonts/misc/hanglg16.pcf.gz +fontset: vt100-graphics,pcf,L,/usr/share/fonts/jfbterm/vt100-graphics.pcf.gz +fontset: iso10646.1,pcf,U,/usr/share/fonts/jfbterm/unifont.pcf.gz encoding : locale encoding.C : G0,G1,ansix3.4-1968,ansix3.4-1968,iso8859.1-1987,ansix3.4-1968 encoding.POSIX : G0,G1,ansix3.4-1968,ansix3.4-1968,iso8859.1-1987,ansix3.4-1968 encoding.ANSI_X3.4-1968 : G0,G1,ansix3.4-1968,ansix3.4-1968,ansix3.4-1968,ansix3.4-1968 encoding.EUC-KR : G0,G1,ansix3.4-1968,ksc5601-1987,ansix3.4-1968,ansix3.4-1968 encoding.ISO-8859-1 : G0,G2,ansix3.4-1968,ansix3.4-1968,iso8859.1-1987,ansix3.4-1968 encoding.UTF-8 : UTF-8,iso10646.1 color.gamma : 2.0
Forums:
프레임버퍼 설정 방법에서 grub를 추가해야겠군요. 제가 슬랙웨어를 쓰는
프레임버퍼 설정 방법에서 grub를 추가해야겠군요. 제가 슬랙웨어를 쓰는데 여기서는 lilo밖에 사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두번째 문제를 재현해 볼려고 했는데 잘 안되는군요-_-...일단 커서가 뒤로 가는거 보니깐 폰트/인코딩 문제 같은데, 확실하진 않군요. 일단 jfbterm-0.4.6-han-3.4.tar.gz를 사용해 보심이...
답변 감사합니다. han 버젼으로 다시 한번 시도해 보겠습니다 :)
답변 감사합니다. han 버젼으로 다시 한번 시도해 보겠습니다 :)
----
http://poorpuppet.egloos.com
jfbterm-0.4.6-han-3.4.tar.gz 를 컴파일 해서 ma
jfbterm-0.4.6-han-3.4.tar.gz 를 컴파일 해서 make install 로 실행파일을 대체 했습니다.
컨피그 파일은 같은걸로 사용하기 위해서 만지지 않고..
바로 jfbterm 을 실행했는데, 같은 증상이네요 :(
레드헷8 에서 사용하고 있고, 모든 패키지는 rpm 으로 깔려 있습니다
----
http://poorpuppet.egloos.com
좀 더 살펴 봤습니다. 글이 정리가 안되고 짧게 짧게 올라가네요 ;;
좀 더 살펴 봤습니다. 글이 정리가 안되고 짧게 짧게 올라가네요 ;;
이렇게 찾아보니 /usr/local/etc/jfbterm.conf 라는 놈이 있더군요.. 수정해서 일부러 에러를 내봤더니 역시나 ;; /usr/etc/에 있는 설정파일이 아닌 /usr/local/etc/ 에 있는 것을 참조하더군요그래서 스태틱 링크로 만들어 주고
rm -f /usr/local/etc/jfbterm.conf && ln -s /usr/etc/jfbterm.conf /usr/local/etc/
새로 실행 해 봤습니다.허거걱 :?
문자가 완전히 깨졌습니다.;; 그래서 다시한번 설정을 보니
그래도 /usr/share/fonts/jfbterm/ 에 unifont.pcf.gz 이 용량이 같은 파일이 있어서 안될 이유는 없을꺼 같은데.. 아무튼 위의 부분을 다음과 같이 수정 했습니다.
8x16.pcf.gz hanglg16.pcf.gz 가 없다는군요.. 예제를 생각없이 그대로 따라한 제가 문제일지도... 아무튼 utf-8로 통일할 계획이라서 그 폰트 찾는 부분들을 주석처리를 해 버렸습니다. (결국 /usr/local/etc/에 있던 설정파일과 같게 된 겁니다 허공에 삽질을 -_-; )
그리고 실행..
결과 : 마찬가지..
Shift+Space 로 한영변환 시도 했고 역시 커서가 뒤로 갑니다. set으로 보니 TERM=jfbterm 상태 입니다.
----
http://poorpuppet.egloos.com
'locale' 명령의 출력값과[code:1]jfbterm 2>
'locale' 명령의 출력값과
jfbterm 2> result.txt
하셔서 result.txt 파일 내용을 올려주시면 원인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듯 싶네요.
그리고, /usr/bin/jfbterm 하고 /usr/local/bin/jfbterm 두군데에 jfbterm이 설치되어 있는데 하나는 jfbterm-nabi 이고 하나는 jfbterm-han 인것 같군요(!!)
행운을 빕니다. : )
덧/ 'input: UTF-8' 으로 설정하지 마시고 되도록이면 'export LC_ALL=ko_KR.utf8' 으로 바꿔주어 실행해 주어야 합니다. 로케일이 잘못되어 있을 경우 출력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문제 해결하고는 다른 내용이지만...다운받으신 ieng, ihan 폰
문제 해결하고는 다른 내용이지만...
다운받으신 ieng, ihan 폰트는 따로 설정을 하셔야 됩니다.
http://kldp.net/project/shownotes.php?release_id=757
그리고 저도 위에 올리신 설정 내용으로 실행해 봤는데...
되더군요. 흠....
흥미진진 해져 가는군요 :) [quote="nskystars"]
흥미진진 해져 가는군요 :)
ssh 로 들어간 터미날과 에서는 기본적으로 kr 로 나오고, export LC_CTYPE 명령을 한 이후에는 당연히 LC_CTYPE이 ko_KR.utf8 로 나옵니다.
이 상태에서 실행하면 역시 커서가 뒤로 가고 jfbterm이 실행된 콘솔은 LANG이 en_US.UTF-8 이 되어 있네요 :roll: 그 상태에서 export LANG=kr 로 해도 한글 모드에서는 커서가 백스텝...
input:UTF-8 을 안쓰고도 마찬가지의 결과 입니다... :oops:
아하하하.. 이제 저도 잘되네요 8)
locale이 문제 였었네요.. 역시나 locale 에서 LANG=en_US.UTF-8 상태 이지만 한글을 읽고 쓰는데는 전혀 문제 없네요
결론 :
export LC_ALL=ko_KR.utf8
로 설정하면 깔끔히 해결 되는군요 :)
----
http://poorpuppet.egloos.com
제대로 실행이 된 것 축하드립니다 :)export LC_CTYPE
제대로 실행이 된 것 축하드립니다 :)
export LC_CTYPE=ko_KR.utf8 로는 제대로 작동이 안되었나요?
네 잘 안되더군요.. :(레드헷 8 에서만 문제가 있었는지 다른데도
네 잘 안되더군요.. :(
레드헷 8 에서만 문제가 있었는지 다른데도 문제가 있는지는 퇴근하고 들어가서 집에 페도라 코어2에 넣어보고 추가로 글을 올려보겠습니다
ps. 주말에 궁금했던거 후딱 해결해 버려야죠.. 월요일에 일본으로 잠시 갔다 와야 하기 때문에 마음이 급하네요 :) 궁금한건 참을 수가 없어서 (쿠우우~~)
----
http://poorpuppet.egloos.com
참고만... utf8, UTF8, utf-8, UTF-8 모두 컴퓨터에서
참고만... utf8, UTF8, utf-8, UTF-8 모두 컴퓨터에서 다르게 인식할 수도 있으니, 하나하나 해보심이 어떨지요?
----
블로그 / 위키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LC_ALL 을 설정해야 하는게 맞군요.제 경우에 LC_CTYPE
LC_ALL 을 설정해야 하는게 맞군요.
제 경우에 LC_CTYPE를 설정해도 제대로 작동했던 이유는 LC_ALL이 설정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setlocale에서 LC_CTYPE로 fallback 한 경우인것 같네요. LC_CTYPE도 설정이 안 되어 있으면 LANG 변수를 검사하구요.
결론 :
export LC_ALL=ko_KR.utf8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