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합니다 & 고맙습니다...
원주소: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110104&docid=291979
'고맙다'는 '남의 은혜나 신세를 입어 마음이 느껍고 흐뭇하다, 남이 베풀어 준 신세나 은혜에 대해 즐겁고 흐뭇하다'는 뜻을 지닌 형용사입니다.'고마움'이라는 명사형을 만들어 쓸 수는 있으나, 이런 마음을 나타내는 명사는 없습니다.
'고맙다'의 어근 '고마'는 원래 '신(神), 존경(尊敬)'이라는 의미였습니다.
'고맙다'는 '존귀하다, 존경하다'는 뜻을 지닌 말입니다.
'신과 같이 거룩하고 존귀하다, 신을 대하듯 존경하다'는 뜻을 지닌 말이 '고맙다'입니다.
'고맙습니다'라고 말하는 것은 '(은혜를 베푼 상대방을) 참으로 신과 같이 거룩하고 존귀하게 생각합니다'라는 뜻이 될 것입니다.
어마어마한 칭송의 말이지요?
'고맙습니다'를 애용한다면, 서로 존중하고 존중받는 사회, 서로를 거룩한 신처럼 예우하는 사회가 금방이라도 도래할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감사'는 일본식 한자어입니다.
사전을 옮겨 보겠습니다.
かんしゃ 感謝
かん-しゃ[感謝] <スル> 감사. ......복합어...∼さい[∼祭] 추수 감사절.일본 발음으로는 '간샤'입니다.
일제강점기에 들여와 우리말처럼 쓰이고 있는 말이 '감사'입니다.
'감사'는 명사이고, '감사하다'는 동사입니다.
'감사, 감사합니다'는 하도 익숙한 단어라서 이 말과 이별하기란 쉽지 않을 것입니다.
이즈음 '감사'와의 결별론이 거세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러나 한 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를 '고맙습니다'로 대체하는 데는 무리가 없습니다만, '감사'를 대체할 만한 단어가 없다는 점이 그것입니다.
'감사'는 '고마움'으로 바꾸어 쓸 수는 있습니다만, '감사장, 감사패, 감사절' 등등의 단어를 어떻게 바꿀 것인지에 대해서는 대안이 아직은 없습니다.
'감사의 마음'이라는 뜻을 가진 '사의 謝意しゃい'도 일본에서 쓰이는 한자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의 상당수가 일본식 단어입니다.
일제의 잔재를 청산한다는 의미에서 시작된 '우리말 사랑' 운동은 바람직한 것입니다.
그러나 기존의 단어를 버리는 일에만 급급할 것이 아니라, 적절한 단어를 발굴하거나 새로운 단어를 만든다거나 하는 노력이 반드시 뒤따라야 할 것입니다.
어쨌거나, 되도록이면 서로를 신처럼 떠받드는 말인 '고맙습니다'를 쓰도록 노력해 보아야겠지요?
감사합니다 ㅡ> 고맙습니다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ㅡ> 참으로(대단히) 고맙습니다.
감사드립니다 ㅡ> 정말 고맙습니다.
이렇게 써 볼까요?
음... 몰랐던 사실을 알게 되었네요.
감사합니다가 아니라 고맙습니다라...
그런데 저는 이 말에 동의하고 싶네요:
어원을 찾는다거나 하는것은 좋으나. 하등인간도 아니고 웬만한 정도의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사람들이 '감사'는 그어원이 일본에 있으니 쓰지 말자..라는 잘못된 주장을 퍼트리는것은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군요. '말'이란것은 시대에 따라 환경에 따라서 가장 변하기 쉬운 흐름같은 것인데.. 그렇게 따지면 우리는 모두 고대어를 사용하여야만 합니다. 지금 세계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는 '영어(아메리칸 잉글리쉬)'는 정말 체계적이지도 않고 불어,독어,서반아어,기타 등등등 오만가지 잡스런 언어들이 얽혀져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 넘어갑시다. ^^
어렵군요... ^^
흠. 반대로 생각해보면좋은 정보라고 느낀 사람이 있다면 '고맙다'는
흠. 반대로 생각해보면
좋은 정보라고 느낀 사람이 있다면 '고맙다'는 말을 골라 사용하게 될테고
그런 사람이 늘어나게 되면 '감사합니다'란 말은 자연스럽게 도퇴될 수도 있는 것 아닐까요.
'고운말 바른말 혹은 우리말*만* 쓰자' 는 건 답답하고 억지이지만
'이런 의미가 담겨 있으니 한번쯤 생각하고 쓰자' 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라 생각합니다.
두번째 의견은 '내 편한데로 쓸테니 상관마라' 는 무책임한 면이 엿보입니다.
어차피 사람이 쓰는 말이니 결국 살아남는 말은 나중에 결정되더라도
바른 말을 찾는 노력 역시 '언어의 하나의 흐름'으로서 좋은 것이라 생각합니다.
'고마/곰'은 땅의 신을 나타냅니다.땅이 없다면 만물이 나오지 못했겠
'고마/곰'은 땅의 신을 나타냅니다.
땅이 없다면 만물이 나오지 못했겠죠.
그래서 '고맙다'는 뜻에 쓰입니다.
그나저나,
TV에서는 '감사합니다'를 '고맙습니다'로 바꿔 쓴지 오래되었습니다.
ㄲ ㅏ ㅂ ㅣ / M c K a b i / 7 7 r b i / T o D y
그런데 보통 감사합니다로 많이 쓰지 안나요?저도 그
그런데 보통
감사합니다
로 많이 쓰지 안나요?
저도 그렇게 써왔는데 음,,,
생각을 해볼 부분이군요,
[quote="lkjt"]그런데 보통 감사합니다로 많이 쓰
네, 그렇게 많이 써왔죠.
저도 '감사'라는 단어가 단순히 오래전부터 써오던 한자어였다고 알고 있었는데
그게 아니였더군요.
그래서 될 수 있으면 '고맙다'는 말을 많이 사용하려고 의식적으로 하고 있죠.
한가지 어려운건 인용문에도 나와있는 적절하게 대처할 말이 없다는 거죠.
그래도 아무생각없이 '고맙습니다.'라는 말이 나올 때까지 쓰고 있죠.
요즘도 물건사고 돈을 거슬러받으면서 무의식적으로 고맙습니다가 나오는걸보니
노력하면 안되는게 없는것 같더군요. :)
------------------------------
좋은 하루 되세요.
예전에 쓰레드가 있었죠. ^^ 감사합니다 vs 고맙습니다.저 또한
예전에 쓰레드가 있었죠. ^^ 감사합니다 vs 고맙습니다.
저 또한 의미 전달이 잘 되는 표현이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
Re: 감사합니다 & 고맙습니다...
제의견을 감히(^^;) 잠시 말씀 드리자면..
시대 환경에 따라서 가장 변하기 쉬운 흐름이라는걸 인정 안하는것은 아닙니다.
시대가 변하고 환경이 변하면 그리고 새로 생기는 것이 있으면 당연히 언어는 변하기 나름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한가지 인지하고 넘어 가야 할것은 그 대상 언어가 일본어라는데 문제가 있습니다.
얼마전에 선거가 끝났는데
딴나라에 김용균의원 같은 친일파 세력이 있는 가운데에서는 절대 일제 식민지 시대를 잊어서는 안됩니다.
물론 저는 일제 시대를 겪지는 않았습니다. ^^; 하지만.. 요즘 나오는 티비 프로에서 하는 내용을 보면.
친일파들은 모두 잘 살고 자기땅이라고 돌려 달라고 소송걸고 독립운동하신 분들은 제대로 먹지도 못하고
그냥 국가 유공자라고 조그만한 종이 한장 주고 분명 자기 땅인것을 소송도 제대로 한번 못하고...
국가 유공자 한분이 말씀 하시더군요.. ;; "이런 식이라면 만일 다시 우리나라가 누구에게 식민지 통치를 받게
된다고 하면 독립운동 할 사람 아무도 없다 라구요. 자기 돈, 자기 생명 들여서 독립운동 해서 독립을 쟁취하고나니
자기 자손들은 자기 때문에 제대로 먹지도, 배우지도 못해 거의 빈민 생활을 하고 친일파들은 친일 하면서 모아놓은
재산으로 독립되고 나니 그냥 떵떵거리면서 언제 친일이었냐는 듯이 잘살고.."
일제 시대, 일본의 만행을 잊지 말자 라는 그 방안의 하나로 일본식 발음이나 일본식 단어는 쓰지 말자라는 것이구요.. ;
그래서 얼마전에 바뀐 초등학교도 그런 의미이구요. ;
영어에서 유래가 되어서 사용한다면 아마 많은 사람들이 그정도는 넘어 갈수 있다라고 생각 할껍니다.
물론 저도 철저히 배척하지는 못하고 저도 소니 워크맨은 사서 듣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괜찮다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필요하니까 제가 그렇게 대단하지는 못하니.. 기계는 사서 사용을 하나 그런것들을 괜찮다 라거나
아님 그냥 아무생각없이 .. 일제가 역시 제일 좋고 일본것은 무조건 제일 좋다라는 생각은 하지 않습니다.
그것이 중요하다고 생각 합니다.
국민학교는 아닌것이죠.. ; 초등 학교이죠.. ; 아무리 시대가 흘러서 그 단어가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될 단어라고 해도..
윗글을 본 순간의 제 생각입니다. ;;
/
하지만 고맙습니다 가 요즘에는 아예 thank you로들다 왠간해선
하지만 고맙습니다 가 요즘에는 아예 thank you로들
다 왠간해선 건너갔더군요. 오리지널 억양의 thank you가 아닌 느물느물한 한국식 억양의 땡큐. ㅡ.ㅡㅋ 전 꿋꿋히 고맙습니다로 버티고 있습니다.
고맙다. 고마워. 고맙군.
...
개인적으로 '고맙습니다', '고마워'란 말이
더욱 친근감이 가고 듣기에도 좋은 것 같습니다.
----
God take what you wou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