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ian

기다림의 이미지

DNS 문제 인것 같은데요...

데비안
PowerDNS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도메인이 잘 안붙는다는것이에요
http://w-cubed.co.kr
인데, www 호스트를 빼고 하면, 접근이 되고...호스트를 넣으면 접근이 안되는 상황이 생깁니다.
어떤분은, 반대로 호스트를 넣아야 접근이 되시기도 하고요..

아파치2인데요..

1day1의 이미지

관리하는 서버들도 우분투로 전환하다. 그리고, annyung ..

몇대 되지 않는 서버지만, 대부분(한대만 debian)을 우분투로 전환했다.

예전에 redhat 시절부터 시작해서, 어느순간 debian 으로 그 사이에 annyung 에 빠져, 얼마전까지도 같이 사용하고 있었다.
얼마전 그 annyung 서버가 이상이 생겨 - 하드웨어가 이상, annyung 에는 이상없음 - 시스템을 갈아 엎어 우분투로 전환하게 되었다.

경혜원의 이미지

[문의] Knoppix 4.X에서 telnetd, ftpd 활성화 방법

안녕하세요 리눅스 초보입니다.
몇 주째 삽질만 하다 결국 질문글 올립니다^^
고정ip인 컴퓨터에 Knoppix 4.0.2 한글 버전으로 CD부팅한뒤
root쉘에서 knoppix-installer 명령으로 knoppix를 설치했습니다.
IP를 설정한뒤에 인터넷 등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것까지는 확인했습니다.

이 상태에서 telnet 127.0.0.1하면 연결 실패가 떨어지네요^^;;

freecatz의 이미지

grub 설치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

http://wiki.kldp.org/wiki.php/GRUB 의 내용을 미리 읽어 보고 글 올립니다.

아..데비안 설치 하다가 맨 마지막에 IDE하드 디스크로 부팅을 하지 않기

때문에 저는 S-ATA 하드에 grub를 인스톨 해야 합니다.

음...맨 처음에는 grub-install /dev/sd0 으로 해 보았으나, 설치 중간에

치명적인 오류 라는 말과 함께 화면이 뻘겋게 변허더라구요..

권순선의 이미지

Debian과 Ubuntu가 언제까지 사이좋게(?) 공존할 수 있을까요?

지난주 멕시코에서 열렸던 데비안 개발자 컨퍼런스(DebConf6)의 이야기가 http://business.newsforge.com/article.pl?sid=06/05/22/1240231 에 실렸습니다. 약 300여명의 데비안 개발자들이 모여서 성황을 이루었는데 기사 내용은 정작 데비안 자체에 대한 이야기보다는 요즘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우분투에 대한 이야기가 주를 이루고 있군요.

feanor의 이미지

데비안 non-free에 Sun Java 공식 패키지

데비안 non-free에 Sun Java 5 공식 패키지가 올라왔습니다.
http://packages.debian.org/unstable/source/sun-java5

Sun 측이 여전히 자유 소프트웨어는 아니지만 재배포는 가능하도록 라이센스를 수정해서 이 일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시드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non-free를 추가하고 apt-get install sun-java5-jre로 JRE를, apt-get install sun-java5-jdk로 JDK를 설치하실 수 있습니다.

feanor의 이미지

버그 트래커 동기화

에, 제가 데비안 주간 뉴스에 나왔습니다. :)

안타깝게도 이름이 나온 건 아니구요, 이번 주 데비안 주간 뉴스(http://www.debian.org/News/weekly/2006/19/)에 보면 이런 기사가 있는데,

(제멋대로 한 번역입니다:) 포워드된 버그 추적. Pierre Habouzit은 bts-link라는 새 서비스를 발표했다. bts-link는 데비안 메인테이너들이 업스트림 버그 트래커에 포워드한 버그의 상태를 데비안 BTS 안에서 볼 수 있게 해 준다. (어째 이 문장은 영어 단어가 한국어 단어보다 많군요. -_-) 현재 버그질라와 트랙, 사반나를 지원하고, 소스포지도 곧 지원한다. (사실은 이미 지원합니다.)

feanor의 이미지

데비안 unstable: 그놈 터미널 버그

데비안 unstable에서 4월 2일자로 vte 터미널 라이브러리가 새 버전(0.12)으로 올라갔는데요, vte에 탭과 관련된 버그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그놈 터미널과, 그 외에도 XFCE 터미널도 영향을 받습니다.

버그의 내용은, 터미널이 80x24가 아닌 상태에서 새 탭을 열면, 새 탭이 자신의 크기를 80x24로 인식하여 vi를 비롯한 curses를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의 디스플레이가 엉망이 되는 것입니다. 데비안 버그 #360781입니다.

feanor의 이미지

데비안 unstable: GLIB을 사용하는 프로그램 크래시

데비안 unstable이 얼마 전에 GLIB 2.10으로 옮겨갔는데요, GLIB에 새 메모리 allocator가 들어오면서 몇몇 프로그램이 오작동합니다. 에러 메시지는 보통

*** glibc detected *** free(): invalid pointer ***

와 같은 식입니다.

export G_SLICE=always-malloc 과 같이 해서 예전 메모리 allocator를 사용하도록 강제할 수 있습니다. 영향을 받는 프로그램으로 irssi, balsa, monodoc 등이 있고, evolution도 뜨자마자 죽었습니다만 지금은 수정되었습니다.

페이지

Debian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