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deplax의 이미지

.

hwiorb의 이미지

DD명령으로 2개의 bin을 합쳐 floppy 이미지를 만드려면??

안녕하세요.
현재, 커널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게 bootloader와 kernel 바이너리 이미지를 부팅가능한 floppy.img로 만드려고 합니다.
dd로 2개의 바이러리 파일로 floppy 이미지를 만들면, Virtualbox에서 인식을 못하더라구요
(파일 크기가 안맞는 건지..)

현재 제가 찾은 방법은 이것인데요.

1. mkfs.dos -C floppy.img 1440
2. dd if=boot.bin of=floppy.img count=1 bs=512
3. dd if=kernel.bin of=floppy.img seek=1

현재 2번을 해버리면 1.44M에서 512Byte로 바뀌어 버리네요
Windows에서는 copy를 이용해서 바이너리를 묶어서 쓸수가 있던데,
리눅스에서는 어떻게 하면 될까요?

youpg의 이미지

BDF를 PCF로 변환 할때 문제점

원래 잘 돌아가는 한글 PCF 파일을

pcftobdf 로 바꾸었습니다. 그리고 다시 bdf2pcf -L 로 같이 바꾸어서 다시 보드에 넣었습니다.
그런데

폰트가 양옆으로 바꾸어서 출력이 됩니다.

bdf2pcf 옵션으로 물어주야 되나요??

일주일 째 닭질을 하고 있습니다.

제발 도움 좀 주세요~~~~

keiyoon의 이미지

갑자기 사운드 않나옵니다

우분투 11.04를 사용중입니다.
몇일간 잘쓰던게 어제부터 갑자기 소리에 잡으이 심하게나고
소리도 메아리치듯 나오더군요. 그래서 나름 검색해보고 해서
해당 사운드카드의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리눅스용 드라이버를 받아
./install하여 자동으로 설치하고 재부팅하니 이제는 아예 소리가 않나옵니다
사운드 설정에 들어가면 하드웨어 아무런 목록도 않나오고 출력란에는
가짜출력이라고 나옵니다.

혹시 제가 설치한 드라이버를 제거하는 방법이나 이런 설정을 초기화
즉 수동 설치하기전으로 되릴수 없을까요? 부탁드리겠습니다

ioufeel의 이미지

리눅스 네트워크 일정시간 후 자동으로 끊겨요.(인터넷이 안되요)

정확한 시간은 모르겠는데..
리눅스 부팅후 대략 30분~1시간후 갑자기 네트워크가 안됩니다.
한마디로 인터넷이 안됩니다.
네트워크가 끊기네요.
네트워크 설정들어가서 보니 핑을 주고 받지를 않습니다.
계속 일정 시간 간격인 것 같습니다.
다시 리부팅하면 또 잘됩니다.
그러다가 일정시간이 지나면 안되네요....
도대체 뭘 체크를 해야할까요.ㅠㅠ?

DarkSide의 이미지

듀얼 모니터 관련 질문입니다.

리눅스를 듀얼 모니터로 사용하려고 하는데,
윈도우즈처럼 두 개의 스크린을 독립적으로 쓰면서 윈도우가 양 스크린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은 없나요?

separate view 에서는 윈도우가 한 스크린에만 한정되고,
twinview 나 xinerama 사용하는 separate view 에서는 윈도우가 이동은 되는데, 풀스크린으로 하면 두개의 모니터에 모두 걸쳐 풀스크린이 되고, 특정 창들이 두 화면에 걸쳐서 시작되어서 옮기기가 불편하네요.

도움 부탁드립니다.

나그네나그네의 이미지

symbolic link 질문입니다.

shell에서, 만들어진 symbolic link가 가리키는 주소를 알고 싶다면 어떤 명령어를 쓰면 되나요?

pogusm의 이미지

[완료] drupal, xe 같은 CMS에서 내부 코드를 수정하는것은 라이센스 위반인가요?

조금 극단적인 예로...
사용자 password를 DB에 저장할때, 해쉬화하지 않고 평문그대로 저장하게끔 소스를 수정하는건
라이센스 위반인가요??

pogusm의 이미지

[완료] phpMyAdmin 한국어 지원 빠진건가요?

간만에 centos 업데트좀 했더니..

phpMyAdmin도 3.4.0으로 산뜻하게 바꼈는데..

한국어 지원이 없네요... (원래 없었나??)

어떻게 된걸까요?

------------------------

spkpc의 이미지

[완료] fdisk 로 여유하드공간으로 파티션을 생성하려합니다.

최초 리눅스 설치시 용량을 너무 작게 잡아서 프로그램을 설치할 용량이 남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윈도우 용량을 줄이고 남은 용량을 새로 ext3으로 잡을려고 하는데,

설치시 할때 말로는 해본적이 없어서 난감하네요

1. fdisk /dev/hda 로 n 해서 잡는다는것은 알겠는데 /usr 나 /home 같은 파티션 타입? 은 어떻게 설정하는지 모르겠네요

2. 이미 리눅스가 설치되어 있는데 새로 파티션을 잡게되면 사용을 위해 mount 같은 것을 항상 해줘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3. logical 하고 primary 파티션이 각각 무슨 차이가 있는건가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