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brown의 이미지

virtual hosting중인 웹서버중 하나를 port forwarding으로 접근 가능한가요?

aaa.com의 ip를 192.168.0.10(사설ip)이라 하고
1.aaa.com
2.aaa.com
3.aaa.com
세개의 호스트네임으로 서비스중인 웹서버가 있다고 했을때

111.111.111.111(공인ip)의 2222포트로 접근하면 192.168.0.10의 80포트로 접근하도록 port forwarding을 걸어서 위의 세개의 호스트네임중 원하는 특정(2.aaa.com) 호스트네임으로만 접근하도록 설정이 가능한가요?

spkpc의 이미지

yum 으로 설치된 패키지가 기록되는 곳이 있나요?

갑자기 생각난 원론적인 질문인데..
패키지 자체는 /usr 폴더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설치된 패키지를 삭제할때 yum remove --- 리눅스는 그 패키지 명하고 버젼을 어떻게 알 수 있는거죠?

fussionist의 이미지

[질문]ethernet 인식 (rtl8139, 제 컴의 결과도 같이 실었어요)

처음으로 리눅스를 접하는 왕초보입니다. 부팅시디로 깔면서 맨땅에 헤딩으로 배우고 있어요..
근데 무선랜은 잡히는데 유선랜이 잡히지 않네요..;;;
고수님들 여기 글을 읽고 스스로 주말에 해결을 해보려고 노력했으나..헛사..OTL... 도와주3
도움이 될까봐 제가 수행했던 명령어 결과도 같이 실을께요..

1. lspci
0b:05.0 Ethernet controller: Realtek Semiconductor Co., Ltd. RTL-8139/8139C/8139C+ (rev 10)

2. lsmod

usb_storage 43946 0
8139too 23208 0
hid 77084 1 usbhid
uas 17676 0
8139cp 22497 0

임종규의 이미지

폰트 크기에 따라 다른 폰트 적용이 가능한가요?

한글도 그렇고, 영어도 그렇고,

큰 글씨에는 다른 폰트를 사용하고 싶습니다. 작은 글씨는 이쁘게 보이는데 큰글씨는 좀 안 이쁘거든요.

~/.fonts.conf 를 수정해봤지만 적용이 제대로 되지 않는 거 같습니다.

prankenmk2의 이미지

리눅스의 link명령어는 무었인가요?

안녕하세요.

시스템 엔지니어라는 이름표를 달고 있지만 아직 한참 먼 사람입니다.

요즘 백업을 해야해서 알아보다 rsnapshot가 보여서 테스트 중입니다.

중간 에러는 있지만 구글 검색하며 알아보고 있는중입니다.

여쭤볼것은

link라는 명령어 입니다.

로그를 보니 rsnapshot는 중복되는 파일은 link 명령어로 파일을 링크만 거는거 같습니다.

테스트를 해보니

link test1 test2

명령어로 테스트 하면 test1과 test2파일은 내용이 같고 파일이 수정되면 두 파일 모두 수정이 됩니다.

그리고 한파일을 삭제해도 다른 파일은 그대로 유지되고요.

평소 ln명령어로 심볼릭 링크만 걸어서 link명령어는 생소합니다.

link명령어에 대해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나그네나그네의 이미지

정전 뒤 외부에서 서버에 접근할 수가 없네요.

정전이 나서 서버를 재시작했으나 외부에서 서버에 접근할 수가 없네요..

/etc/init.d/apache2를 재시작해보았고, ping으로 게이트웨이와 자기자신의 ip로 쏘기 모두 제대로 작동합니다.

참고로 서버 컴퓨터에서 firefox를 통해 자기 자신의 도메인으로 접속하면 잘 들어가집니다.

도메인을 학교에서 받아쓰고 있는지라 학교측의 문제일수도 있습니다만 확인할 방법을 모르겠네요-_-;;

혹은 기초적인 곳에서 문제가 있는건가요? 제가 초보라 ㅎㅎ

pogusm의 이미지

AES 암호화 활용(사용)방법 좀 알려주세요

256bit CBC 모드로 암호화/복호화를 활용하려고 합니다.

1. 원문 + Key(32바이트) + iv(16비트) ---------------> 암호문

2. 암호문 + Key(32바이트) + iv(16비트) ---------------> 원문

위와같아 암호화/복호화가 이루어지는데,

올바른? 사용법은 어떻게 되나요?

쌍방에서 사전에 고정된 Key값을 공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암호문+iv)를 전송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쌍방에서 사전에 고정된 iv값을 공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암호문+key)를 전송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쌍방에서 사전에 고정된 key값과 iv값을 공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암호문)만 전송하는 것인가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굽신굽신

hiseob의 이미지

hostapd 미치것네요....

이건 뭐 /etc/network/interfaces 에 pre-up 이런거 해놔바야 먹히지도 않고
(진짜 100번중 딱 1번 먹힘. 거짓말이 아니라 100번쯤 했는데 1번은 먹히더군요. -_-)
손수 브릿지 만들어주고 hostapd 실행 해주면 ap 는 뜨지만 브릿징이 안되서 ip 도 못잡고.....
뭘해도 안되면 뭘 어쩌라는건지.

hostapd 설정 해보신분 없나요?

3주내내 주말마다 이거 붙잡고 개삽질 푸고 있는데 진짜 개삽질 같습니다.

무선랜카드 하나 생겨서 괜히 개뻑덥삽질중..............

ziosnim의 이미지

How to save from "/var/log/tomcat5/catalina.out" log message to SYSLOG?

Dear All,

This issue is log of Tomcat5.5 above.

I want to forward to syslog the Tomcat Log(catalina.out) message.

I think that below entries changes in /etc/init.d/tomcat5.5 file as follows:


# Define the tomcat log file
TOMCAT_LOG="${TOMCAT_LOG:-/var/log/tomcat5/catalina.out}"

How to change it?

Thank you in advance.

cynicjj의 이미지

리눅스에서 ip로 접근 제한

안녕하세요?
리눅스 초보 입니다.

특정 ip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를 모두 접근 불가하게 만드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여기서 접근이란 http, ftp, ssh, DB 등 모든 서비스를 말 합니다.
또한 지금은 설치되지 않았지만 미래에 설치 될 서비스까지 포함입니다.

Cent OS 5.5 사용합니다.

간단한 방법이었으면 좋겠네요. ^^;;;
부탁드립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