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whckdqja의 이미지

arm cross compiler (toolchain) 설치중 발생한 에러입니다.

안녕하세요 GNU 프로젝트를 읽으며 Cross Compiler/Tool-Chain을 설치하는 중에 문제가 생겨
이렇게 질문 드립니다.
binutils 2.21 / linux 2.6.9 / gmp 5.0.2 / mpfr 3.0.1 / mpc 0.8.1
을 설치하고 난 뒤의 문제입니다.

물론 mpc 설치하는 과정에서 조금 문제가 있긴 했지만... 넘어가더군요;;;
gcc를 configure 하고 난뒤 make LANGUAGES="c" 를 이용해 메이킹중이었습니다.
잘 되다가 갑자기

checking for arm-linux-gcc... 머시기머시기...(폴더 경로 같아요...)
checking for suffix of object files... configure: error in '/opt/eldk/gcc-4.6.0/arm-linux/libgcc':
configure : error: cannot compute suffix of object files: cannot compile

vudghkzm의 이미지

HPET 32Bits vs 64Bits

x86_64 프로세서에서 커널 2.6.x를 사용하는 2개의 리눅스를 멀티부팅하는 상황입니다. 문제는 하나는 32bit 커널이고, 나머지 하나는 64bit 커널입니다. 배포판은 데비안을 사용합니다.

이 경우, CMOS의 HPET 설정을 32비트로 해야 하는지, 64비트로 해야 하는지 ... 어떻게 하는게 가장 좋은지 알고 싶네요.

커널 비트수에 맞게 부팅할 때 마다 CMOS에 들어갈 수는 없는 노릇이고해서...

skyscraper의 이미지

네트워크 구성 질문입니다.(bridge, dhcpd, iptables 관련)

무선 공유기에 네트워크를 구성하려고 하는데요.

필요한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lan : lan영역
wan : wan영역
wlan0 : 무선랜 1
wlan1 : 무선랜 2
-> 멀티 SSID지원을 위해서 여러 wlan으로 구분

설정 요구사항은
- wan은 static또는 dhcp로 public ip 설정
- wlan0~1은 dhcp로 public ip를 설정할 수 있어야 하면서
dhcp또는 static으로 private ip를 설정 할 수 있어야 함
- lan은 static또는 dhcp로 private ip 설정
- wlan0~1을 private ip로 설정할때 lan과 같은 ip영역으로 설정하여야 함

질문 1)
위와 같은 요구사항일때 네트워크 구성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질문 2)
질문 1의 네트워크 구성에서 lan과 wlan0~1이 브릿지로 연결되어 있지 않을경우
udhcpd로 같은 ip 영역으로 할당 할 수 있는지요??

winner의 이미지

Chrome download 할 때 자꾸 문제가 발생하네요.

ISO 같은 대용량 file을 download 한 후 checksum을 확인하면 다른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래서 Firefox로 download 하면 정상이더군요. Chrome bug인건지... 동일한 문제 겪으시는 분은 없나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멀티프로세서와 멀티코어 차이점 ?

안녕하세요 ?

듀얼코어의 cpu 2개와 쿼드코어 4개의 1개의 cpu는 같은건가요 ?
내부적으로 코어수는 4개로 같잖아요.
제가 알기론 코어당 쓰레드가 붙는다라는 것으로 아는데,
물리적으로 cpu가 2개인것과 1개인것은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
멀티프로세서의 경우 병렬처리가 있어서 더 빠르다고 하더라구요.
궁금합니다.

수고하세요.

imposno의 이미지

C 개발 표준 점검 도구

안녕하세요. 질문 드립니다.

C언어르 이용해서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코드의 Convention, Indentation, Inspection 등을 사용하신다면 어떤것들을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Inspection Tools과 같은 경우에는 MISRA - C 2004 가이드 라인을 지원하는 Tool은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검색을 통해서 알수 있는 정보와 다르게 C 언어를 많이(?) 이용하시는 여러분들의 답변을 듣고 싶어 질문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leekchan의 이미지

/bin/bash: Permission denied 라고 나오면서 ssh 접속이 안되는 문제... ㅠ

안녕하세요 ^^

CentOS를 사용하고 있는데, 오늘 갑자기 ssh 접속이 안되더라구요 ㅠㅠ

해당 서버에서 웹서버와 크롤러를 동작시키고 있는데, 둘다 멀쩡히 동작은 하고 있는데 ssh 접속을 하려고 하면 /bin/bash: Permission denied 라고 뜨면서 접속이 되지 않더군요... 심지어 root 계정으로도 접속이 안되더군요...

그래서 강제로 재부팅을 시켰는데,,, 재부팅 하니까 ssh 접속이 되더군요... 왜 이런건가요??? ㅠㅠ 처음 겪는 일이라 황당하네요... 조금 구글링을 해보니 SELinux 때문일 수 있다고 나오는데... 전 SELinux를 항상 Enforcing 모드로 사용하고 있거든요... SELinux 때문일까요??? 근데 ssh 접속 안되는 일은 좀 황당하네요...

bono011의 이미지

avhai 탐색 서비스 충돌문제.

unity에서 ubuntu 고전으로 갔습니다.
그러니까 인터넷 시작시 avahi 탐색서비스와 충돌을 일으킨다고 하네요.
ms windows7 에서는 무선인터넷이 빠르다가, ubuntu로 갈아탄후 느려지길래
제 컴퓨터가 ubuntu에 최적화가 안되서 그런가 싶었는데 -_-
전에 보니까 avahi와의 충돌이 있었더군요.

전에 다른분이 올려주셨던 해결책 입니다. 우분트 8.04 더군요.

The dreaded eth0:avahi Ubuntu Feisty bug

I have a very simple setup. One wired network card, that's it. No wireless cards at all. Got a brand new machine with a freshly installed Feisty, on Thursday. Worked like a charm, I could surf the Internet with Firefox, and it was fast.

Gear4001의 이미지

doku wiki 에 wysiwyg 동작이 제대로 되지 않네요 ㅠㅠ

dokuwiki in stick 을 통해 사용하고 있는데

wysiwyg 플러그인을 다운 받아서 lib/plugins 에 압축을 풀고

Regular DokuWiki markup....

More regular DokuWiki markup

이런식으로 페이지에 넣어봤는데..

어떻게 쓰는 건지 전혀 감을 못 잡겠네요....

편집 후 저장 한다음.. 위지윅에서 글쓰고 저장하면 반영이 되지도 않고..

혹시 써보신 분이나 정상 동작하시는 분 좀 도와주세요 ^^;;;

/data/page 에 _template.txt 를 만들어서 위 내용을 넣어보았지만

역시나 저장이 안되네요 ㅠㅠ

kkume의 이미지

[완료]리눅스에서 한글 파일 이름이 깨져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CentOS 5이고, LANG=ko_KR.UTF-8 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WinSCP로 윈도우에 있는 파일을 올린 후 리눅스에서 보면

?? ????1.xml 이런식으로 보입니다.

WinSCP 창에서는 한글명이 제대로 보이구요.

Putty의 설정에서 문자셋도 UTF-8로 되어 있습니다.

한글 파일명이 제대로 보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