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sysmoon의 이미지

mongodb 실시간으로 올라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제가 개발하는 환경은 ubuntu + django + mongodb + rockmongo 입니다.

지금은 rockmongo를 쓰고 있지만 데이터가 Json 포멧형식이고 실시간으로 데이터 모니터링이 불가능해서 고민입니다.
데이터를 테이블형태로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몽고디비 툴이 있을까요?
MongoVue 툴이 테이블형식으로 데이터를 보여주긴 하는데 실시간 성이 없더군요.
없으면 django 에서 dict를 장고템플릿에서 html 테이블 형태로 보여주는 기능을 개발해야 할 것 같더군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while의 이미지

[17/Sep/2012:~~~~~~ +0900] "\x01" 501 278 "-" "-" 정체를 알 수 없는 아파치 로그?

안녕하세요.

여러 간단하고 작지만 커넥션 수가 많은 웹서비스를 돌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얼마전부터 아파치 로그에 이상한게 너무 많이 보이네요.

발견한지는 몇달이나 됐지만 도저히 구글링을 해도 답이 보이지도 않고, (큰 따옴표와 역슬래쉬가 들어가서 그런지 심지어 검색조차..) 흔치 않는 현상이려니~ iptables 으로 그냥 대충 막아도 계속계속 이런 놈들이 생기네요.

혹시 겪어보신분들 있나요?

문제 해결은 둘째치고 이놈들이 어디서 들어온건지나 알고 싶네요.

저 408 뭐라고 된 것도 그렇고.. 특히 \x01 501 278 이놈이 말썽이네요.

andysheep의 이미지

한국 데비안 서버 ftp.kr.debian.org Wheezy 버젼 인덱스 에러 납니다.


최근에 시험판인 위즈로 판올림하고 나서 ftp.kr.debian.org 서버를 통해 꾸러미 설치를 못했습니다.
다른 일본 미러 서버로 사용하고 있다고 오늘 시간이 나서 방법을 찾아보았는데, 이 데비안 공식 한국 서버만
인덱서 에러를 내는 군요.

dakiller6의 이미지

우분투에서 익스퍼트마우스 설정해보신 분?

리눅스를 아주 오랜만에 사용합니다.
우분투 12.04를 사용하고 있는데 익스퍼트 마우스(USB, 광학식, 현재판매중인 버전)를 꽂으면 인식은 잘 됩니다.
다만, 스크롤휠의 방향을 바꾸고, 가운데버튼을 설정해야 하는데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네요.
검색해봤지만 적당한 것을 찾을 수 없어서 질문 남깁니다.

uml3rella의 이미지

리눅스 CentOS6.0 eth 에러요..

안녕하세요. 리눅스 CentOS 6.0 사용중인데 eth에러가 나서 질문드려요.

먼저 사진 보여드릴게요 -


보시는 바와 같은 에러가 나요..

에러가 발생전에는 어떤 설정을 했었냐면요. 인터넷에서 eht1을 eth0로 바꾸려면
/etc/udev/rules.d/70-persistent-net.rules 아래 사진처럼 수정하라고 해서 했습니다.


위에껄 주석처리하고 밑에꺼의 NAME을 "eth1"이었던걸 "eth0"으로 바꿨죠. 그랬더니 잘됐습니다.

그런데 service network restart하니 첫번째 사진처럼 문제가 일어났어요..ㅠ

어떻게 설정해야 저런 오류가 안나는건가요;;ㅠㅠㅠ

모든 경우의 수와 해결법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겟슴다.ㅠㅠㅠ

minhyuck의 이미지

centos 설치까지는 되는데 부팅이 불가능하네요. 메인보드랑 관련있을까요?

http://youtu.be/Icv900G8cOo
http://youtu.be/vbibna13LOw

동영상입니다. 설정부터해서 재부팅까지 영상입니다.
모니터가 좀 상태가 안좋네요..^_^;;

지금 사용중인 컴퓨터는..
인텔 i3-2100
애즈락 b75m
시게이트 사타3 2테라.. 메인보드에는 sata2 꼽았습니다.
바이오스도 디폴트 상태로 설정해뒀구요.

quark2의 이미지

vi의 ex모드에서도 hjkl를 쓰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요새 리눅스에 맛들린 뉴비입니다. (_ _)

너무 맛들려서 이젠 hjkl가 아니면 커서 이동이 불편할 정도가 되었는데요,
(쉘에서도 입력을 vi 모드로 해 놓고 산답니다 ㅎ)

그 때문에 vi의 ex 모드에선 방향키로 커서 이동을 해야 한다는 상황이 절 괴롭히고 있네요...

다른 데에서도 (쉘도 지원해 주고 man도 그렇고...) hjkl를 지원하고, vi가 hjkl로 유명한 마당에

ex 모드에서 hjkl를 못 쓴다는 건 어쩐지 납득이 안 가네요.

즉, ex 모드에서도 hjkl를 쓸 수 있는 방법이 있을 것 같다는 건데요...

구글링을 해 봐도 매뉴얼을 뒤져 봐도 방법이 없네요...

그렇다고 vi를 뜯어 고치기는 좀 그렇고요...

방법이 없을까요...?

asulikeit의 이미지

xen compile 후 재부팅 오류 (could not file filesystem '/dev/root'

안녕하세요.
centos5 환경에서 xen 3.4 버전(linux는 2.6.18.8.hg)의 소스를 다운받아서 설치를 하면
(필요에서 의해서 rpm 설치가 아닌 소스 컴파일 필요)
부팅과정에서
Red Hat nash version 5.1.19.6 starting
mount: could not find filesystem '/dev/root'
setuproot: moving /dev failed: No such file or directory
...
와 같은 메시지가 발생하면서 panic 으로 재부팅됩니다.
설치방법은 make dist 후에 기본 설정을 사용하고 make install, mkinitrd 를 이용하였습니다.
며칠동안 검색을 해보고 적용을 해봐도 변화가 없습니다.
혹시 비슷한 경험을 하신 분은 tip 을 알려주십시오.
감사합니다.

minhyuck의 이미지

centos 5.8버전을 설치해야하는데..dvd로 받아보니 파일이 두개인데 둘다 필요한가요?

centos 5버전대로 학교에서 실습한다고하네요.
i386 5.8버전 dvd로 받았는데 파일이 두개입니다. 학교에서 cd 굽어와라고해서...구하는중인데
두장다 필요한지 잘 모르겠더라구요. 일단 dvd 네장 구해뒀는데..
live 버전인가 이것도 있던데 용량이 엄청 작더라구요. 이걸로 굽으려고했는데 뭔가 찝집해서 안 굽고 있네요.
친구들꺼까지 해서 dvd로 네장 굽어야하는데.. 뭘 굽어야할지 참 난감하네요.
인터넷에 찾아봐도 그렇게 자세히 설명은 없더라구요. vmware로 가장 용량큰 파일로 설치해보니 정상적으로 부팅까지 되더라구요.
i386 5.6버전까지는 보니 파일이 하나로 구성되어있는데 5.7과 5.8은 두개로 구성되어있네요;
뭘 선택해야할지.. 혹시 아시는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