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agent47의 이미지

centos6.3과 윈도우7간 파일공유방법

안녕하세요
이번에 centos6.3을 서버로 돌리려고하는데 윈도우를 C와 D드라이브에 설치했고
Centos를 H드라이브에 설치했습니다.

그리고 centos에서 c드라이브가 목록에 뜨긴뜹니다.
근데 ntfs형식이라 마운트할 수 없다고뜨네요

그래서 작업은 윈도우에서하고 서버는 centos에서 돌리는데
항상 작업한 파일을 공유할때 구글드라이브나 메일을 이용해서 공유합니다.

삼바를 설치하면 된다고들하던데 더 쉬운방법이 없을까요?

uastory의 이미지

libgd 에러해결 좀 도와주세요 ㅠ

GDD 라는 R 패키지를 설치 하는 도중에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emacs80의 이미지

grub 제거가 안됩니다??

노트북은 레노버 e320 사용합니다 CD롬이 없어서 USB 부팅으로 설치 했습니다.

우분투 12.04설치 했구요...

우분투가 이상이 있어서 다시 설치할려구 합니다.

USB설치 인데... USB넣고 부팅하면 usb설치파일 읽는게 아니고.. 부팅시 바로 grub로 들어와서..

우분투 다시 설치를 못하구 있습니다.

물론 CMOS셋팅에는 USB부팅이 첫번째로 되어 있구요.

그래서 grub를 날릴려고.. 윈도우 부팅후..

mbrfix64 /drive 0 fixmbr 했는대... 다시 부팅해도 grub로 들어옵니다.

bbangpower의 이미지

데비안 콘솔 한글 입력 문제입니다.

프레임 버퍼를 활성화 하기 위해
/boot/grub/grub.cfg 파일 열고
set gfxpayload=800x600x16 문장 추가했습니다.

sudo apt-get install libhangul0
sudo apt-get install jfbterm
를 수행했습니다.

홈 디렉토리에서 .profile에
exec jfbterm 문장 추가해서 자동 실행하게끔 했습니다.

다른 설정 파일 따로 손보지 않았는데 한글 출력은 잘 됩니다.

문제는 한글 입력이 안됩니다.

Ctrl + Space, Shift + Space 키도 안먹고, ibus, nabi 등을 설치해봤는데 역시 안되네요.
설정 문제인가요?

dominion의 이미지

우분투에서 NTFS로 포맷된 디스크 사용시 안정성 여부

구형 컴퓨터에 데비안을 설치해서 토렌트 전용으로 쓰고 있습니다.
그러다가 이번에 NAS에 꽂혀서 시스템을 우분투로 갈아업고 NAS겸 파일 서버를 만들어 볼까 생각 중 입니다.
이 과정 중 가장 걱정이 되는 것은 이전에 저장해 두었던 파일들입니다.
NTFS으로 포맷된 하드들에 저장된 자료들이 엄청 많아서 새로 포맷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그냥 사용해야 되는데 여기에 한 술 더떠 이 하드들을 핫플러그인 기능일 이용해서 붙였다 떼었다 하려고 합니다.
이 경우 안정성에 문제가 없을런지요?

상황까지 설명하다 보니 질문이 좀 복잡해졌네요.
질문의 요지는 이겁니다.

우분투에서 NTFS로 포맷된 S-ATA하드들을 핫플러그인 기능을 이용해서 붙였다 떼었다 해도 자료의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는지요?

polomeria의 이미지

임베디드 보드에서 cross cable로 이더넷 포트(phy) 연결설정 질문입니다.

cross cable로 pc와 타겟보드를 연결하고 ping 테스트를 시도해보았습니다.

타겟보드에서 윈도우 pc로 ping을 보내보았지만 응답이 없습니다.

이더넷 컨트롤러는 제대로 올라간듯 보입니다만 autonego에서 실패하고 있습니다.

제 설정 상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윈도우 pc>

ip 주소 : 192.168.10.100
서브넷 : 255.255.255.0
기본 게이트웨이 : 192.168.10.1

<임베디드 타겟보드>

ip 주소 : 192.168.10.20
서브넷 : 255.255.255.0
게이트웨이 : 192.168.10.1

<보드 메시지>

MANGO100 # pri

bootargs=rootfstype=jffs2 root=/dev/mtdblock2 init=/init console=ttySAC1,115200

모지리의 이미지

DHCPD에서 할당 받은 IP만 허용.

안녕하세요. DHCPD에서 할당 받은 IP만 허용 할려면 어떤 설정을 해주어야 하나요?

예를 들면 DHCPD에서 할당 받은 PC에서만 통신이 되고 수동으로 IP를 넣은 PC에서는 통신이 않되게요.

queenmedley의 이미지

모니터 최대해상도 설정이 안됩니다.

와이드24인치 모니터 대신에 예전에 19인치 모니터로 교체를 했는데
최대해상도가 1024x768 까지 밖에 안 나옵니다.
윈도우에서는 1280x1024 이상으로도 지원이 가능합니다.

xrandr 이나 nvidia-setting 에 들어가봐도 1024 768 까지만 나오네요...
윈도우에서는 1280 x 1024 60 로 되어있길래
아래같이 했는데 에러가납니다.

>> cvt 1280 1024 60

# 1280x1024 59.89 Hz (CVT 1.31M4) hsync: 63.67 kHz; pclk: 109.00 MHz
Modeline "1280x1024_60.00" 109.00 1280 1368 1496 1712 1024 1027 1034 1063 -hsync +vsync

>> xrandr --newmode "1280x1024_60.00" 109.00 1280 1368 1496 1712 1024 1027 1034 1063 -hsync +vsync

boss0327의 이미지

새 하드 마운트 포인트 문제.

안녕하세요~!!

임베디드 리눅스 기반 기기를 개발 중입니다.

기존 하드를 인식 시키면 마운트 포인트가 잘 할당이 됩니다.
그런데 새 하드를 인식 시키면 sda : unknown partition table 이라고 나오면서 할당이 안되네요.
윈도우에 인식 시키면 컴퓨터관리 -> 디스크관리 쪽에서 초기화가 안됬다고 초기화 하라고 MBR GPT(??)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해서 초기화 하라고 하는데요.
리눅스 상에서 fdisk로 파티션을 나누고 싶어도, 인터넷에서 찾아본 mbr 초기화 하는 방법을 시도하고 싶어도 할당이 안되어 있어 할 수가 없네요.
fdisk /dev/sda 입력한 다음 p를 눌러 프린트 해보면 하드 용량 등 잘 인식이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또 이상한게 mke2fs -j /dev/sda 로 포맷 한 다음 mount /dev/sda 로 마운트 하면 마운트가 됩니다....
저는 지금껏 sda1 으로 할당이 되어있어 지금 멘붕상태네요.....
어찌 해야 하나요..ㅠ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