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oletree의 이미지

리눅스용 네이트온 로그인 잘되시나요?

갑자기 저번주 금요일부터 버디 목록 받음에서 멈쳐 있네요 ㅠ.ㅠ

저만 그런건지..

다른분들은 잘되시나요?

armadillo의 이미지

vim script에서...

반갑습니다.

vim script를 공부하고, 간단하게 활용하려고 script를 짜봤는데...

에러는 나지 않는데 제대로 동작을 하지 않네요.

script의 기능은 현재라인을 읽어서

1. 공백을 제거하고

2. "," 로 split하여 각요소를 현재 화일을 끝에 한 라인씩 추가하는건데..

예를 들면 현재 라인이 아래와 같다면

aa, bb, cc , dd

스크립터를 실행후는

aa, bb, cc , dd
aa
bb
cc
dd

이런 모양이 되어야 하는데...

function! ChgItem()
" let str = getline('.')
let str = "aa, bb , cc, dd"
let st = substitute(str, ' ', '', 'g')
let lst = split(st, ',')

"echo lst

let eol = line('$')

uiseokj의 이미지

CentOS 네트웤이 내부에서는 되는데 외부로 안 나갑니다.

안녕하세요.

CentOS 6.3이고요. 잘 되다가 갑자기 안 되네요.

증상은 내부에서는 네트웤이 연결이 되는데 외부로 나가질 못 합니다.

내부에서는 다른 피씨에서 SSH로 접속도 다 되고요.

그런데 외부에서는 SSH도 안 되고 리눅스에서도 외부로 안 나갑니다.

혹시나 해서 랜 카드를 뽑아서 노트북에 연결해 봤더니 거기서는 잘 되고요.

뭘 살펴봐야 하나요?

MirrRyu의 이미지

Nagios Plug-in 중에서 Xen VM 리소스 모니터 할 수 있는게 있을까요?

사내 가상서버 모니터를 위해서 기존에 설치된 Nagios 서버에 올려서 하려고 하는데요..

쓸만한 Plug-in 이 있을지요? 있다면 소개 부탁드립니다.(간단히 설치 예시 등도..^^)

zeroOne7568의 이미지

insmod 에러 관련내용입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arm 보드에 올리기위해 arm 에 데비안 4.0 리눅스 커널 2.6.21 버전으로 포팅하였습니다.
그리고 간단한 디바이스드라이버를 만들어 컴파일시키는것 까지 성공했는데
insmod 가 아래와 같은 메시지를 띄우면서 동작하지 않습니다..

insmod: error inserting 'test2.ko': -1 Function not implemented

참고로 컴파일시에 loadable module 관련된 것은 모두 체크하고 컴파일 하였습니다..
해결방법 없을까요?

uugt1992의 이미지

외부도메인서버와 연동하여 네임서버구축이 가능한가요?

서버 - 우분투 12.04 LTS 서버
- 고정IP 사용함
도메인 - 사설업체에서 xxx.com 이라는 도메인 구입.

---------------------------------------------------------------------------------------
안녕하십니까!

다름이 아니오라 서버운영중 여러가지 문제점에 봉착하여 이곳까지 찾아오게 되었습니다.

현재 도메인은 외부업체에서 abc.com(가칭)이라는 도메인을 구입해 놓은 상태이며
이를 제가 현재 운영중인 우분투서버에 네임서버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abc.com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싶습니다.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외부의 도메인서버 ns1.xxx.co.kr, ns2.xxx.co.kr에다가 현재 운영중인 홈페이지의 서버를 연동시켜서

abc.com으로 주소표시줄에 접속시 제 서버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할 수 잇는 방법을 여쭙고 싶습니다.

danwoo21의 이미지

윈도우에서 리눅스로 갈아타려고 하는데 HDD의 포맷이..

지금 쓰고있는 SSD 128GB짜리를 2등분해서 한쪽엔 리눅스를 깔고 한쪽엔 윈도우를 깔아서 쓰려고 합니다.
자료 저장용으로 쓰는 하드디스크의 포맷이 NTFS인데 리눅스와 윈도우 모두에서 접근이 가능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리눅스, 윈도우 모두에서 토렌트를 이용할 예정입니다.)

violetoov의 이미지

usb to serial 케이블(hl-340)을 썼을때 하이퍼터미널에서 글자 깨짐이 발생합니다.

노트북에 시리얼포트가 없어서

usb to serial 포트(hl-340) 사서 연결했습니다.

연결은 이상이없는데 하이퍼터미널에서 글자가 다 깨집니다.

혹시나 하고 데스크탑에 케이블 쓰지 않고 시리얼포트 직접

꽂아서 해보니 정상출력이되고 다시 케이블을 이용해서 시험해보니

노트북과 같이 괴상한 문자가 나옵니다.

tera term, 윈도우 하이퍼터미널 에서 시험해보았고 결과는 같았고

드라이버가 문제인거 같아서 인터넷에 관련 드라이버 찾아서 다 설치해봤으나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도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김규태의 이미지

HP 마이크로 서버 N40L 윈도우7 64비트 설치시 STOP 0x000000A5 에러 (블루스크린)

안녕하세요.

<<첫번째 문제>> N40L에 윈도7 64비트를 설치하고, 설치 완료 후 리부팅시에 윈도 로고 나온 직후에 블루스크린이 떠면서 에러 내용이 아래와 같습니다. (두번째 문제로 ASUS 라데온 6450 제거하고 설치 진행)

The BIOS in this system is not fully ACPI compliant:
STOP 0x000000A5 (0x000000011, 매개 변수 2, 매개 변수 3, 매개 변수 4)

MS에서 문서에서는 아래 내용이 나옵니다.

thslrtoo의 이미지

DAS, NAS, SAN 에 대해여...

이번에 SAN(Storage Area Network)에 대해서 조사하다가
도대체 이해가 안되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DAS(Direct Attached Storage)는 Server 에 직접 연결되는 스토리지로
SAS 나 SATA 같은 인터페이스로 연결이 되고, NFS 나 다른 장비로 공유를 하지 않는 이상
다른 Server 에서는 접근이 불가능하다고 알고있습니다. (맞나요??)

문제는 NAS(Network Area Storage)와 SAN(Storage Area Network)이 이해가 안됩니다.
제가 알기로는 NAS는 NFS 와 비슷하게 네트워크로 스토리지를 공유하지만 NAS 자체에 OS 가 올라가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SAN은 정확히 뭔지 모르겠지만 공유 목적으로 사용하는게 아니라고 알고 있구요.

도대체 NAS와 SAN은 뭔가요??
어디 쉽고 자세하게 설명되있는곳 없나요??ㅠ.ㅠ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