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shockwave7의 이미지

Ubuntu 부팅시에 모니터 설정해주는 방법이 따로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Pandaboard에 Ubuntu 12.04 버전을 설치하고 있습니다.

SD카드에 이미지를 올려서 설치화면을 띄우고 있는데요

보드에 일반 모니터를 HDMI케이블로 연결하면 화면이 잘 나오는데

따로 연결하고 싶은 AOU사의 LCD패널을 연결하면 아무 화면도 뜨질 않네요... 보드는 막 돌아가고 있는것 같은데

검은화면만 나옵니다 ㅠㅠ

Ubuntu 말고 Debian으로 해보면 잘 나오는데요...

Ubuntu 부팅시에 따로 디스플레이에 관한 부분을 건드리는게 있는가요?

고수님들의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ㅠㅠ

highvolt의 이미지

Linux에 VirtualBox를 설치하고 가상머쉰에 Windows 7 DSP를 설치하면 불법일까?

제목 그대로 입니다.
Linux에 VirtualBox를 설치하고 Windows 7 DSP를 설치하면 불법일까요?
여기서 Windows 7 DSP는 구매한 제품이고, 다른 어느곳에도 설치한적이 없습니다.

세벌의 이미지

우분투 12.04 사운드 설정?

우분투에서 시스템설정 - 소리 들어가 보면
VT8237A/VT8251 HDA Controller
이라고 나옵니다.
소리검사 누르면
스피터시험 화면 까지 잘 나옵니다.
시험 버튼 누르면... 소리가 안 납니다. -.-
어디를 건드려야 되나요?
참고로 윈도XP와 멀티부팅 해서 쓰는데 윈도XP에서는 소리 잘 납니다.

l77jk의 이미지

암호화 알고리즘 MD5에서 SHA512로 교체방법 문의 드립니다.

버전
$uname -a
Linux webhard 2.6.18-53.e15#1 SMP Web Oct 10 16:34:02 EDT 2007 i686 i686 i386 NU/Linux

현재 암호화 알고리즘이 MD5이구요.

SHA512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변경하려고 합니다.

$authconfig --passalgo=sha512 --update

error message
:authconfig : error : no such option : --passalgo

passalgo 라는 옵션이 없다고 나오내요.

$authconfig 라고 치고 옵션을 보면

암호화 알고리즘에 해당하는 옵션은 MD5 ENABLE에 대한 옵션뿐이 없는듯합니다.

이커널에서는 지원을 하지않는건지...

$yum install authconfig 패키지를 설치해도 같은 메세지가 나옵니다.

zeniroy의 이미지

아마존 클라우드 프론트 사용하시는 분 계신가요?


아마존 웹 서비스를 사용중인데요, 저는 속도 문제가 없었는데, 다른 동료들이 속도 문제를 심하게 제기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보면 KT회선 사용중인 동료들에게만 문제가 있어 보이더라구요.
원래는 켈리포니아에 두었는데, 하도 속도문제 제기가 지속되어 이번에 일본으로 옮겼습니다만 같은 결과를 주고 있습니다.

근데, 재밌는 것은 오픈한지 좀 되는 사이트들은 속도 문제가 어느 순간 사라졌다고 하더라구요.
이게 대체 KT의 장난인건지, 다른 클라우드 프론트 사용자 분들의 케이스를 좀 알고 싶습니다.

다른 분들은 어떠신가요?

prankenmk2의 이미지

ldap과 ssh 연동을 했습니다. su - 로 root 획득이 안됩니다.

안녕하세요.

얼마전 ldap와 ssh 연동을 성공 후 이것저것 테스트를 하고 서비스 되는 서버에 적용할 준비중입니다.

sudo로 명령어 제한은 테스트를 끝냈고 다른 테스트를 하다가

ssh로 로그인 후 su - 명령어로 root권한을 획득하려고 하는데 root정보도 ldap로 요청을 보내서 기다립니다.

ldap에는 root정보가 없으니 당연히 인증이 되지 않고요.

원래 /etc/passwd 파일을 먼저 조회하고 없으면 ldap에 조회하는게 아닌가요?

비상시에 root로 접속을 해야하는데 이부분이 문제가 될거 같습니다.

이부분에 대해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ngh1262의 이미지

혹시나 kvm스위치 아시는분 답변좀...

이번에 새로 서버를 들여오게되서 kvm스위치 케이블을 빼놓았었습니다 (16체널)

다른곳에 연결해서 테스트했을때는 잘 되던 이놈이 요번에 서버 들어오면서 연결을 하니깐 화면서부터 나오질 않네요 ㅡ.,ㅜ

혹시나 남는 모니터에 다이렉트로 장착해서 보니깐 여기서는 화면이 잘나오고...-_-;;;

이건 무슨 경우인가요?? ㅠ

oosap의 이미지

우분투에서 /etc/fstab 설정하기좀 도와주세요..

우분투 2개(32비트, 64비트)의 멀티부팅 환경입니다.
32비트 우분투에서 64비트 우분투의 홈 폴더를 자주 마운트 해서 쓰고 있습니다.
매번 마운트하는걸 fstab 에서 자동으로 하도록 설정하려 합니다.

인터넷을 뒤져서 아래와 같이 해봤는데, 부팅시 마운트 에러가 납니다...

klara의 이미지

중학교 컴퓨터실 관리 프로그램 추천부탁드립니다.

학교 컴퓨터실 수업은 애들과의 전쟁입니다. 몰래몰래 다른짓하느라고 수업이 제대로 되지를 않지요.
뭐 설치하고 그런걸 못하게 하는 거보다, 기본적으로 프로세스나 작업 목록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면 좋겠습니다.
제가 지금 가장 절실하게 원하는 기능은 첨부파일처럼 각 컴퓨터별로 실행중인 작업을 동시에 띄울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런 기능을 포함하는 원격 데스크탑 관리 프로그램은 없을까요?

동시에 화면을 출력해주는 프로그램은 찾았는데 작업목록만 띄워주는 건 없네요.
Teamviewer와 iTALC라는걸 써봤는데 전자는 컴퓨터 목록을 동시에 띄우는 거 자체가 안되는거 같고, 후자는 원격 데스크탑의 화면 목록을 띄우는 기능은 있어서 그냥 이걸로 대체할까 했다가 설정에 실패했습니다.
혹시 다른 분들이 알고 계신 좋은 프로그램이 있을까해서 글 올립니다.

제가 원하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stevepak0124의 이미지

홈서버 구축예정인데 제대로 진행해나가고 있는지 확인해주세요.

php, JVM, mysql,node.js, NAS, FTP, 가상화등등의 용도를 위해 홈서버를 구축할려고 합니다.
클라우드 서버가 한달에 10만원 정도 나오던데 개발자 초년생으로서 상당히 부담스러워 일찍이 포기하였습니다.
OS는 CentOS로 정했습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