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akayong의 이미지

vs2012에서 "올바른 win32 응용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

개발 환경 : win7 32bit
vs2012
플랫폼 도구 집합 : v110_xp (vs2012 - winXP)

-> 즉, 구글링 해서 많이 나오는.. xp 관련해서 플랫폼 도구 집합 변경 하는건 상관없어 보입니다.

release - win32 로는 컴파일 - 링킹 - 실행 모두 다 잘 됩니다.

debug - win32 로.. 컴파일 완료, 링킹 완료.. 실행만 하면

"프로그램을 시작할 수 없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뜹니다.

그래서 해당 프로젝트의 debug 폴더를 보면
해당 exe 파일이 생성이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exe 를 더블클릭 해 보면
"올바른 win32 응용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라고 메시지가 뜨며 실행이 안됩니다.

전처리기 정의도 win32 되어 있고
대상컴퓨터 (/machine:x86) 옵션도 되어 있는데..

왜 이럴까요..

VS 는 왜이리 오류 메시지가
불친절 하나요....................... ㅠㅠ

ljh723의 이미지

오프라인에서 yum으로 R 이라는 프로그램 설치 할수 있을까요?

리눅스 초보입니다..
R 이라는 것을 외부 네트워크가 안되는곳에서 설치를 해야합니다.

외부 네트워크가 되는 곳에서는 아래와 같이 명령 수행하니 설치가 잘 됩니다.
#yum clean all
#yum install -y epel-release
#yum update -y
#yum install -y R

외부 네트워크가 안되는 곳에서 어떻게 하면 R이라는것을 설치 할 수 있을까요?

ytk2002의 이미지

혹시 이게 어떤포트가 막힌걸까요

안녕하세요.

대학교에서 윈도우계열과 하드웨어쪽만 유지보수하는 직원입니다.

Cent OS 7.0을 분석서버로 활용하려는 교수님이 계시는데

yum으로 패키지를 인스톨하려고 하면 오류가 나면서 안됩니다.

물론 이 서버를 외부로 가지고 나가면 인스톨이 잘 됩니다.

레포지토리를 ftp.daum.net이 포함된 주소를 활용해서 업데이트를 하려고 하는데

학교보안때문에 일부포트만 열려있다보니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yum install "제가 설치하고자 하는 패키지이름" 명령을 입력해도 미러사이트 접속자체를 못하네요.

포트 오픈여부를 확인하는 tcping으로 외부에서 tcping ftp.daum.net 80을 쳐보면

80포트가 오픈되어 잘 응답을 하고 있습니다. ftp포트인 21번을 확인하고자

러닝@Naver의 이미지

ssh 실행시 profile에 자동실행이 안되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찾다찾다 어려워서 올려봅니다...

라즈베리파이에서 제가 /etc/profile에 ~/**.sh 스크립트 파일을 부팅시 자동으로 실행되게 해놨습니다.
그런데 부팅시 자동실행은 잘되는데 ssh로 연결할때마 스크립트파일이 또 실행되더군요 중복으로요...
어떻게하면 ssh 로그인을 걸러낼수 있을까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악성코드 내용에 대하여 질문합니다

악성코드의 종류인 바이러스는 타겟이 없고, 웜은 타겟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웜의 종류에는 애드웨어와 스파이웨어가 포함되는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남깁니다.

psm511의 이미지

초보입니다 ㅜㅜ 도와주세요... 바이너리에 있는 qml 파일 추출할 수 있나요?

바이너리 파일을 IDA로 보니 qml 파일이 컴파일 되어 있네요.

원하는 qml 파일만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부탁드립니다....

tjtjtjtj0123의 이미지

운영체제 공격에 대한 질문입니다.

운영체제 공격과 네트워크 공격은 곧 같은 의미일까요?
디도스 공격은 네트워크에서 일어나는 공격이지만 타격을 입는 것은 운영체제이므로, 운영체제 공격이 되는 걸까요?
운영체제 공격과 타 공격을 구분하고 싶습니다...도와주세요
랜섬웨어는 운영체제공격이고, 스파이웨어랑 에드웨어는 메모리 공격인 것일까요...?
다른 공격들과의 경계를 알고싶습니다!!!
정확히 운영체제 공격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도 정확히 알고 싶습니다!!

tjtjtjtj0123의 이미지

운영체제 공격에 대한 질문입니다.

운영체제 공격과 네트워크 공격은 곧 같은 의미일까요?
디도스 공격은 네트워크에서 일어나는 공격이지만 타격을 입는 것은 운영체제이므로, 운영체제 공격이 되는 걸까요?
운영체제 공격과 타 공격을 구분하고 싶습니다...도와주세요
랜섬웨어는 운영체제공격이고, 스파이웨어랑 에드웨어는 메모리 공격인 것일까요...?
다른 공격들과의 경계를 알고싶습니다!!!
정확히 운영체제 공격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도 정확히 알고 싶습니다!!

yunzeroin의 이미지

우분투 입문자 입니다. 언어 설정에 관해 조언을 얻고자 합니다.

설치문제 부터 시작해서 고민을 하기 시작한 리눅스 생초보 입니다.
우분투의 언어 설정에 관해서 여쭙고 싶은데,
패키지 설치중 한글로 설치결과가 표시되는것에 위화감이 느껴져서 영어로 바꿀까 하는데
우분투는 보통 영어로 사용하는것을 추천하시나요?
좋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세벌의 이미지

우분투 16.04 크롬에서 페이스북 한글 입력 글자 얽힘

뭐가 문제일까요?
우분투 16.04에서 크롬에서 한글 입력 잘 되는데 페이스북에서는 한글 칠 때 글자 순서가 얽힙니다.
페이스북 문제인가?
생각하다가
크롬 대신 파이어폭스에서 페이스북 들어가 한글 입력 해 보니 잘 됩니다.
그럼 크롬 문제인가? 생각하다가도
크롬으로 kldp 접속해서 글 쓰는 건 잘 되는데?

이럴 땐 뭐가 문제고 어디서 어떻게 풀어가야 하는 건가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