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ehdgml9358의 이미지

Windows 서버 메모리 leak

선배님들 안녕하세요.

Windows Server OS를 사용하는 폐쇠망 서버 사용 중에 문제가 생겨서 몇 가지 여쭤보려 합니다.

서버의 메모리는 16GB 메모리를 사용 중인데요,,, 사용 메모리가 95% 내외로 왔다 갔다 하는 상황입니다.

간단하게 작업관리자의 "프로세스" 탭에서 가장 많은 메모리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1,2,위를 합쳐도 6GB 안팎이며,,

그 외 자잘한 프로세스를 싹 다 합쳐도 채 8GB가 안되는데,, 사용 메모리가 자꾸 95%에 육박합니다.

메모리사용 1위 프로세스는 scvhost.exe 혼자 3기 가량 사용 중입니다.... 폐쇠망이라 Widows 업데이트는 자동으로

받아올 수 없으며, PMS를 통해 정기적으로 내려주는 환경으로 알고 있습니다.

좀 더 자세히 보기 위해 리소스 모니터의 "메모리"탭에서 scvhost를 확인하는데,

커밋에 4기가
작업 집합에 2.5기가
개인에 2.5기가 정도가 할당되어 있는데,,,

커밋, 작업집합, 개인 메모리의 의미가 궁금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우분투에서 보안문자(?) 오류

제가 우분투에서 scanf_s 를 사용해서 해보았는데.... 오류가 나네요.... 혹시 우분투자체에는 보안 문자파일이 없어서 따로 깔아야 하나요?

psm511의 이미지

리눅스 커널 파일을 찾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제가 찾고자 하는 것은 커널 파일 내의 함수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인데요.

펌웨어로만 갖고 있어 이미 빌드가 된 파일입니다.

파일시스템은 구분이 쉬웠는데 커널 파일은 구분 조차 어렵네요.

현재 파일시스템 파일, 많은 바이너리 파일, .zlib, .zip 파일이 있는데
어떻게 하면 제가 찾고자하는 함수를 검색할 수 있게 접근할 수 있을까요?

도움 부탁드립니다.

tetratheta의 이미지

VirtualBox에서 자꾸만 eth2에 NAT이 붙습니다

리눅스를 배운지 얼마 안되는 학생입니다. 교수님 강의를 들으면서 따라해보는데, 수업자료라던가 제 예상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되어야 합니다.

eth0: NAT
eth1: 내부 네트워크
eth2: 내부 네트워크

그런데 실제로 해보면 정반대로 나옵니다:

eth0: 내부 네트워크
eth1: 내부 네트워크
eth2: NAT

분명 수업자료에는 eth0이 NAT으로 되어있는데... 그렇다고 NetworkManager를 죽이고 ifup eth0로 인위적으로 eth0에 NAT을 붙이면 SSH가 안됩니다. 아무래도 NetworkManager를 죽여서 이렇게 된거 같은데... 그렇다고 NetworkManager를 켜면 자동으로 eth2에 NAT에 덜컥 달라붙고...

그냥 쓰면 되지 않느냐 라고 하실텐데, 이게 기본적으로 eth0에 NAT이 붙은 상태에서 eth1이나 eth2 혹은 eth3 등에 이것저것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를 붙였다가 다른거로 바꿨다가 이러기 때문에... 게다가 교수님 수업자료에서도 eth0에 멀쩡하게 NAT이 붙어있고요.

qrwet11의 이미지

.gbd파일 디비에 저장하는것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컴퓨터공학과 4학년에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이번 졸업작품을 키넥트를 이용하여 진행중입니다.
db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을 사용중입니다.

키넥트를 이용하여 영상을 저장하고 그 영상을 사람들이 따라할수있게 db에 저장해놓고 사용자에게 보여주려합니다.
키넥트를 이용하여 영상을 저장하면 .gbd파일이 만들어지는데 문제는...

그 파일을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 파일을 전송하는법을 모르겠습니다... 혹시 알고계시다면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kjyong98의 이미지

centos7에서 mysql connector/c++ 8.0 라이브러리 컴파일 에러가납니다.

헤더랑 라이브러리 빌드까지 다 끝내고 mysql 공식 레퍼런스(https://dev.mysql.com/doc/dev/connector-cpp/8.0/usage.html)를 참고해서 진행했는데 알 수 없는 에러가 납니다.

구글링 해도 거의 정보도 안나오고 mysql devl, lib, client, server 등 다 설치하고 진행해봐도 그대로입니다... 대체 뭐가 문제인건지 모르겠습니다.

mysql 버전이 문제인가 싶어서 찾아봤더니 공식 레퍼런스에도 버전하고는 관련없이 빌드할 수 있다고 나와있습니다.

도와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 g++ -std=c++11 -DSTATIC_CONCPP -I /usr/include/mysql test.cpp /lib64/mysql/libmysqlcppconn8-static.a -lssl -lcrypto -lpthread -o TEST

zozond의 이미지

HP-UX gcc 빌드

HP-UX 서버 gcc 버전이 4.2.3. 밖에 안나와 있어 gcc 버전을 업그레이드 해야 합니다.

그래서 gcc-5.1.0.tar.gz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를 시작 했습니다.

그런데 ./configure를 하는 도중에 계속 에러가 나네요...

에러내용은 이렇게 나옵니다.

zozond의 이미지

[왕초보] HP-UX 포팅에 대해 질문하고 싶습니다.

회사에서 HP-UX 서버에 포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근데 처음 해보게 되는 일이라 그런지 너무 막히는 점이 많아 몇가지 질문 드립니다.

1. opencv를 HP-UX로 포팅하는 중인데,
컴파일을 하려면 c++11 을 지원하는 gcc가 필요합니다.
근데 찾아 보니 gcc 4.2.3. 버전이 나오는데, 이 버전은 c++11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혹시 도움받을 링크가 있을까요 ?

2. HP-UX 에서 autogen.sh 를 실행 시키면 에러가 뜹니다.
필요한 dependency는 이미 밑의 링크에서 전부 다 다운 받았습니다.

http://hpux.connect.org.uk/hppd/packages.html

뜨는 에러는 이렇습니다.

beautyofwait의 이미지

리눅스 Cent OS 에서 /etc/hosts 파일 관련하여 갱신하는방법에 대한 질문입니다.

현재 리눅스 서버를 운영하다

모니터링을 위해 서버 이름을 변경하여 관리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래서 먼저 /etc/hosts 파일을 수정하여 주었습니다

기존의 /etc/hosts 테이블

10.0.2.2 server1
10.0.2.3 server2

변경한 /etc/hosts 테이블

10.0.2.2 mon1
10.0.2.3 mon2

해당 테이블은 정상적으로 변경이 되었고, ping 테스트를 하였을때

ping mon1 으로 핑을 보내면 정상적으로 10.0.2.2 로 전달되는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모니터링 서버에 여전히 server1 으로 출력되는것을 확인하고 다시 ping 테스트를 했을때

ping server1 으로 핑을 보냈더니 hosts 파일에는 있지도 않은데 정상적으로 10.0.2.2 로 전달하는 것입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