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ytt123의 이미지

startx 실행 에러

리눅스(CentOS)에 로그인 후 startx 하면,

xauth: file /home/guest/.serverauth.5206 does not exist

라는 메시지가 뜨면서 gnome 환경으로 넘어가지를 않습니다.

그런데 다른 userid 나 root로 로그인 후 startx 하면 정상적으로 gnome 환경이 열립니다.

잘 되다가 reboot한 후 이런 문제가 생기네요.

해결방법에 대해 조언을 구합니다. 감사합니다.

pallww의 이미지

네트워크 문의드립니다.

1.245.X.X 대역대를 사용중에있는데
1.245.A, 1.245.B, 1.245.C, 1.245.D, 1.245.E 이렇게
아이피를 사용중입니다.
문의드릴 내용은 E에서 내부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안되고있는데
외부에서는 E서버와 통신이 되고있습니다.

어디부분을 확인해뵈야할지를 몰라서 도움을 요청합니다.

mud0107의 이미지

vmware 네트워크 (가상 어댑터 추가 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제가 테스트하고 싶은 내용은
두개의 가상 OS(우분투) 를 만들어 실행합니다.
그런다음 각각 OS 에 A 라는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여기서 제가 두개의만 하려고 하는것은 내부 동작을 깊이 있게 소스 파악을 하려고합니다.
즉, 디버깅................

넘 많은 노드 접속이 되면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힘들어서입니다.
제가 내용 파악하는 소스의 내용은 P2P입니다.

내부 동작을 좀 상세하게 알고 싶어서 일단 2노드(+1 씩 )에서 계속 늘려가면서 테스트 하려고합니다.

그래서 두 가상끼리만 통신하려고 하면 어떻게 해줘야 하나요?
VMWare 에서................

그리고,,, 윈도우 PC는 온라인(인터넷) 상태 였으면 좋겠습니다.
아니면 인터넷이 안되어도 좋으니까 좋은 방법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상............ 좋은 주말 보내세요!!

kungmo의 이미지

레드햇 리눅스에서 우분투 리눅스로 서버 이전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거의 16년 정도 쓰던 레드햇 리눅스 웹 서버가 있습니다. 무려 펜티엄4에 1GB RAM, 120GB HDD로 구성된 컴퓨터입니다.

이 컴퓨터가 요즘 사망 전조 증상이 보여서 tar을 이용하여 /home과 나머지를 권한까지 백업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리눅스를 요즘 나오는 컴퓨터에 설치하기가 과소비(?) 같다는 생각이 들어 우분투 서버 18.04LTS로 이전하고자 합니다.

이 때 거의 20년이 차이날 정도로 리눅스 종류가 다른데도 계정부터 웹 서버까지 백업/복구 그대로 tar 파일 압축을 풀어서 복구할 수 있는지요?

MunGyu의 이미지

가상머신을 한번에 여러개 돌려도 되나요?

리눅스 공부가 하고 싶어 집근처의 알라딘을 들렀더니 '이것이 리눅스다'라는 책이 괜찮은 매물로 나왔더라구요.
구입을 해서 읽어 보고있습니다만, 설치부터가 조금 난감한데, 이 책이 리눅스 서버를 다루기 위한 책인 것같아요. 제가 배우고 싶은 분야와는 조금 다르더군요,
일단 각설하고, 그것까지는 상관없지만(일단은...) 시작부터 가상머신이 4개 정도가 필요하다더군요. 아마 서버에 관한 실습을 위해 사용하는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가상머신이 뭔지는 어느정도 알지만, 하나 돌리는 것만으로도 컴퓨터에 부담을 지울 것 같은데, 4개 씩 한번에 사용해도 괜찮은 건가요?

MunGyu의 이미지

리눅스 공부...(어제 공부 시작한 뉴비)

리눅스에 대해서 알아보니 단순한 OS로 사용하시는 분들도 있고 서버를 위해 사용하시는 분들도 있더군요.
분야가 워낙 다양하다보니 제가 생각했던 공부와는 괴리감이 크더라구요.
그래서 질문합니다. 제가 공부하고 싶은 분야는 시스템해킹에 관한 리눅스인데 어떤 방향으로 공부를 하는게 좋을까요??

nickcave의 이미지

우분투에서 하드 디스크 마운트시 실행 권한이 항상 붙습니다.

안녕하세요,

우분투 16.04를 노트북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OS가 설치된 SSD외에 추가로 500G의 하드디스크가 내장되어 있어서 데이타 저장용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sda1이 추가된 디스크이고요,

ub@ubuntu:/dev$ ls -al | grep sda1
brw-rw---- 1 root disk 8, 1 5월 15 10:12 sda1

아래와 같이 마운트된 것을 보면 항상 실행 권한으로 되어 있고, 그 안에 들어 있는 문서 파일들 또한 실행권한으로 되어 있습니다. chmod 644 같은 것으로 권한 변경하려 해도 변경이 되지 않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FTZ 설치 중 오류

iso파일과 zip파일을 다 다운받아서 vmdk파일을 열려는 데,
"Red Hat Linux.vmdk" cannot be opened directly. Open the virtual machine configuration file (.vmx) instead.
라는 오류가 뜹니다..왜이러는 걸까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java ee 설치 중 오류

!SESSION 2018-05-11 14:44:13.353 -----------------------------------------------
eclipse.buildId=M20120914-1800
java.version=10.0.1
java.vendor=Oracle Corporation
BootLoader constants: OS=win32, ARCH=x86_64, WS=win32, NL=ko_KR
Framework arguments: -product org.eclipse.epp.package.jee.product
Command-line arguments: -os win32 -ws win32 -arch x86_64 -product org.eclipse.epp.package.jee.product

hmgihmgi의 이미지

윈도우에서의 python, pip, pip로 설치한 패키지 삭제

윈도우에 python 32bit, 64bit를 모두 설치하였습니다ㅠ

텐서플로우를 쥬피터 노트북에서 활용하려하니 되지 않아서

아예 python 32 bit, 64 bit, pip, pip로 인스톨된 모든 패키지를 지우려하늗데요...

아무리 검색을 해봐도 ㅠ 삭제하는 방법이 나오지 않네요 ㅠㅠ

어떤 곳에서 pip install pylint 하라는데 pylint 조차 안깔려있어서 ㅠ-ㅠ 슬플 따름입니다

어떻게 해야 완벽히 삭제할 수 있을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ㅠ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