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Together의 이미지

momobay 1394 이동식 하드디스크 마운트 어떻게 하죠?

momobay 1394 이동식 하드디스크 마운트 어떻게 하죠?

안녕 하세요 ^^

이동식 하드를 리눅스에서 마운트 하는 방법을 몰라서

잘 이용을 못하고 있슴다.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리눅스용 드라이브는 없는듯 했슴다.

어떻게 방법이 없을까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dummy999의 이미지

DJGPP에서 MAN을 어떻게사용하죠?

제가 한글 man page쪽에도 글을 올렸는데 아무도 안보시는듯합니다.
그래서 여기다도 물어보려고 하는데요.. 거기치있는것을 윈도우에서 실행하면 한글코드를 읽을수없다라고 나옵니다. 뭔가 조치가 필요할듯한데..
관련모듈을 다운받아야 하는거같더라구영..
(왜냐면 메모장으로 보면. 한글이 잘보이는데.. man에 한글을 볼수있는 뭔가가 없어보임)

방법좀 알려주시면 감솨.

이전질문은 지우고 갱신한겁니다.(그러니 중복은 안되죠)
혹시나 아시는분이 있을꺼같아서..

sminging의 이미지

하나로통신 ADSL 인터넷 연결이 안되요 ㅠ_ㅠ

안녕하세요.
한컴 3.1 버전 방금 깔고 인터넷 접속을 처음 시도하는데요.
(얼마전에 하나로통신 외장형 모뎀으로 바꿨거든요)

설치방법을 찾아서 그대로 실행했는데,
분명히 인터넷 연결이 성공했다고 나오는데도 막상 브라우져를 클릭하면
인터넷 연결이 안됩니다.
메신져도 연결시간이 초과(?!) 되었다고 나와요ㅠ_ㅠ

왜 이런현상이 나오는지, 해결방법좀 알려주세요 ㅠ_ㅠ

another-park의 이미지

slackware 콘솔에서 나오는 속담(?)이 무슨 프로그램인가요?

slackware console창 띠우면 항상나오는 속담(?)같은거 있잖아요.

속담이라기보다 유모어같은데요..

그게 무슨 프로그램인가요?

Wanda 물고기 보다 해석이 쉽고 웃겨서 그것만 깔고 싶은데

그게 슬렉웨어에만 나오는 건 아니겠죠?

khaic0c0의 이미지

네트워크로 설치하려면 어떻게 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현재 가지고 있는 컴퓨터 2대입니다.

한대는 리눅스 한대는 윈도우.
이번에 레드햇 9.0을 깔아보려고 윈도우에서 iso 파일 3개를 받았습니다.

그런데 이 파일을 가지고 cd 로 구워서 사용만 해봤지...
이 파일을 가지고 네트워크로 설치 하고 싶은데 가능할까요?

혹시 가능하지 않다면,
어떤 방법을 가지고 네트워크로 설치 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nulluser의 이미지

콘솔이 깨졌습니다.

어떤 파일을 vi로 열었더니 콘솔이 위의 그림처럼 깨졌습니다.
커널 2.4.20에 fbcon패치해서 콘솔에서 한글을 사용하는데, 복구할 방법이 있을까요?
logout했다가 다지 login하면 복구될까 싶어 시도해봤더니 안되더군요.
한텀에서도 몇번 저런일이있었으나 한텀이야 종료하고 새로 시작하면 그만인데, 콘솔이 저리돼서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설마 재부팅해야 한다는 말씀은 안하시겠지요? :

zzsay의 이미지

인터넷 공유에 문제 입니다.

운영체제는 데비안 우디 3.0 입니다.

echo 1 > /proc/sys/net/ipv4/ip_forward
iptables -P FORWARD DROP
iptables -A FORWARD -i eth1 -o eth0 -j ACCEPT
iptables -A FORWARD -i eth0 -o eth1 -j ACCEPT
iptables -t nat -A POSTROUTING -o eth0 -j MASQUERADE

insmod ip_conntrack
insmod ip_conntrack_ftp
insmod ip_nat_ftp

부팅시 시작되는 것입니다.

그런대 192.168.0.2 로 쏘와준 운영체제인 윈도우 xp가

처음에는 잘대다가 컴퓨터를 껏따가 키면 ip 를 못 받아 오는지

인터넷 연결이 안대더군요

그런대 제어판으로 가서 받아오는

havebeen의 이미지

파티션 작성 질문..

안녕하세요 :)

현재 5기가를 루트로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른 파티션 없이 그냥 /boot swap /만)

어찌어찌 쓰다보니 용량이 거의 꽉 차버렸는데요

제가 2000서버를 깔려고 남겨뒀던 파티션이 있습니다.

fdisk에서 추가하긴 했는데 이놈을 어떻게 마운트 해야하는지..

웬만하면 지금쓰고 있는 하드를 정리하고

추가한놈을 /home으로 잡아버리고 지금있는 /home놈들도

이동해버렸으면 하는데 kldp찾아보긴 했는데 없는거 같아서요..

방법이 있으면 좀 알려주세요..

li386nux의 이미지

[질문]커널 컴파일중 오류..

#make modules후에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그전까지는 아무 이상이 없었는데요.
오류내용은
[dummy.o] ---> 오류 1

/usr/src/linux-2.4.20-8/drivers/net
[_modsubdir_net] ---> 오류 2

/usr/src/linux-2.4.20-8/drivers
[_mod_drivers] ---> 오류 2

어느부분을 봐야하는건가요. ntfs 파일시스템을 사용하기위해
파일시스템 부분에서 ntfs만 y로 설정하고 나머지는 건들지 안았습니다.
어느 부분을 살펴 봐야 하는지 답변 좀 부탁드립니다.

kevinhan의 이미지

커널 컴파일시 모듈화와 커널에 직접 포함, 어떤게 낫습니까?

상당히 당연한 질문을 하는 것 같습니다만...

서버가 하나 있는데 IBM xSeries 입니다. lsmod 로 살펴보니 aic7xxx 가 사용되는 걸로 봐서

아답텍 스카시 콘트롤러를 사용하는 듯 합니다. 이는 죽으나 사나 SCSI를 주된 I/O 콘트롤러로 사용한다는 뜻이겠지요.

이런 상황하에서 커널에 스카시 드라이버를 굳이 모듈화하여 사용하는게 성능, 안정성 측면에서

합당합니까? 차라리 커널에 포함시키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질문은...

커널에 드라이버를 포함시키는 게 더 안정적이고 빠르다는 것이 맞는 것입니까?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