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li386nux의 이미지

[질문]make xconfig에서 디스플레이 오류같은데요

안녕하세요..지루하시겠지만 차분히 보시고 답변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우선 make xconfig실행후 오류문구 부터 적고 저의 커널버전등의 얘기는
뒤로 미루겠습니다.

rm -f include /asm
(cd include; ln -sf asm-i386 asm)
make -C scripts kconfig.tk
make[1] : Entering directory '/usr/src/linux-2.4.20-8/scripts'
cat header.tk >> ./kconfig.tk
./tkparce <../arch/i386/config.in >> kconfig.tk
KERNTYPE='sed -n 's_'/\* kernel type\(.*\) \*/_\ |_p' /boot/kernel.h 2> /dev/null';\

if [-f configs/* -ERNTYPE.config]; then\

skdream의 이미지

ProFTPd 사용중에 로그인 후 #으로 시작하는 디렉토리를 만들 수

이전에 Window에서 Serv-U돌리다가..
리눅스로 점프를 하는 중입니다.. 만...

아주 돌겠네요.. 이놈때문에 하루 반나절 동안 잠도 안자고 담배와 커피에 쩔고 있습니다..
메일과 도메인.. 모든게 다 한방에 끝났는데 막판에 FTP구성 끝내고 기존 FTP자료를 이쪽으로 Upload시킬려고 하니까.... 이 문제가.. ㅡㅡ;

처음엔 이유없이 어떤건 올라가고 어떤건 안올라가길래 애꿎은 방화벽만 풀어버렸습니다.. 사실은 #으로 시작하는 폴더만 튀어나오면 그부분은 에러가 나오더라구요..

kihoori의 이미지

sendmail 의 relay설정 하는 법을 알고 싶습니다.

도메인이 한 10개 정도 있는데요
이 도메인마다 전에 릴레이 설정해놓았던것이 있었습니다.

다음이 그 화일 목록인데요
[code:1]
1104 May 1 04:16 access
12288 May 1 04:16 access.db
0 May 1 04:16 domaintable
12288 May 1 04:16 domaintable.db
5573 May 1 04:16 helpfile
604 May 1 04:16 local-host-names
0 May 1 04:16 mailertable
12288 May 1 04:16 mailertable.db

57305 Aug 28 2002 sendmail.cf
2479 May 1 04:16 sendmail.mc
628 May 16 15:28 statistics

leoric99의 이미지

기존에 있는 하드에 mount하기....

처음에 스카시hdd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하드웨어 문제로 다른 IDE하드에 리눅스를 설치하고 스카시를 추가로 다니 IDE하드는 /dev/hda로 그리고 스카시 하드는 /dev/sda로 인식은 되는데 마운트는 안되네요....현재 레드햇9.0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초보라서 마운트 명령어를 여기저기서 보고 조합해 보았지만 안되네요...
# mount /dev/sda2 /mnt/hdd
이렇게 하니깐ㅡ.ㅡ;;; 안되더군요... 뭔가 제가 잘못했을꺼라 생각되는데...아직 초보라 잘 모르겠네요....아

stannum의 이미지

split 명령어로 파일을 분리하고 나서 합칠때

split 명령어로 파일을 분리하고 나서 합칠때 어떻게 하는 것이지요?
일반 압축파일을 전송하려고 하다 용량이 너무 커서 split 명령어로 나눴는데 다시 합치는 명령어를 찾아봐도 알수가 없네요 ㅡ_ㅡ 바보 짓 한 것 같은데....
알집으로 푸니까 전체가 복구가 안되서 그렇습니다.
확실한 방법을 알려주세요.
나누는 것은 있는데 합치는 것을 찾기가 힘들다니...

bluefury의 이미지

sendmail로 발신전용 메일 서버가 가능한지요?

sendmail로 발신전용 메일 서버를 셋팅이 가능한가요??

문서라던가? 주소좀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

서지훈의 이미지

[질문] SNMP를 이용해서 host cpu temperature 알기

어떻게 하면 CPU Temperature 값을 알 수 가 있나요?
혹시 아시는 분 있으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좋은 하루들 되세요...

<어떠한 역경에도 굴하지 않는 '하양 지훈'>

warpaint의 이미지

브릿지 셋팅에 궁금점

RH7.3(Kernel2.4.18-3)박스에서 무선랜과 유선랜을 브릿지 시키려고 합니다.
(유선랜 두장을 브릿지 시키는거랑 비슷하다고 하는뎅..)정확히 어떻게 셋팅을 해야 할지. 부실한 자료를 보고 해서 그런지 시스템만 이상해 졌어요!

@구성@
1.소스 bridge-utils-0.9.6
2.server_Lan
2-1. eth0(유선랜)
IP:220.66.222.28
2-2. wlan0(무선랜)
IP:192.168.10.1
3.client_wlan0
3-1. wlan0
IP:192.168.10.2
GW:192.168.10.1
(외부망)<--->|eth0<--bridge-->wlan0|<---내부-->Client_wlan0

제가 했던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틀린점 또는 더 보강 해야 할점이 있다면 말씀해 주세염.

drdodam의 이미지

자체 랜 서버용으로 어떤 것을 쓰는 것이 좋을까요??

병원용 전자챠트 프로그램용입니다..
단순하게 파일(약 40메가 정도)을 하나만 서로 공유해서 쓰도록만 하면 됩니다..
클라이언트는 적게는 7에서 많게는 12
무엇보다도 안정성이 중요합니다..
중간에 다운되면 진료가 완전 마비가 되는 관계로..

클라이언트들은 윈도2k XP

외부 인터넷과 연결하지 않을 것이고요..
순수히 자체 내부망에만 연결해서 쓸 생각입니다..

최대한 작고 안정적으로 서버를 돌릴 수 있게 OS를 깔았으면 좋겠습니다..

hezron의 이미지

서버를 업그레이드 &amp; 포트...

cpu하고 메인보드가 현재 리눅스보다 좋은것이 생겨서 교체하려고
하는데요.

그냥 하드만 띄어다가 달면 될지, 아니면 다른 무슨 방법이 있는것인지
궁금합니다. ^^

펜2-266 -> 펜3-450에다가 메인보드도 바꿀예정입니다. ^^

@ 리눅스를 집에서 거의 라우터 대용으로 쓰고 있어서 서버하드를
읽을 일이 거의 없는데, 새벽에 갑자기 하드 읽는 소리가 계속 나서
서버 들어가봐도 별다른 process나 ftp접속이나 접속자도 없는데요.
해킹인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리눅스 초보입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