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로피 디스크를 넣고 마운트 시킨후에 포멧하고 빼는 과정에서
umount 없이 그냥 빼고 다른 디스켓을 넣었더니 이상한 에러들이
많이 생기는 것이었습니다.
원래 시디롬과 마찬가지로 플로피디스켓도 각 디스켓마다
mount 와 umount 를 반드시 해줘야 하는것인가요?
실수로 이것을 안했을경우엔 어떻게 해야 되나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hmod 로 허가권을 설정할때 chmod (+r+w+x) (-r-w-x) filename
이런식으로 옵션을 주게 되는데요..
r과 x의 경우엔 소유 그룹 외부 3개가 모두 한꺼번에 수정이 되는데요..
유독 w의 경우엔 소유 부분만 변경이 됩니다.
그래서 755 777 등의 모드값으로 수정을 하는데요..
이부분은 왜 그런것인지 궁금합니다.
레드헷8.0입니다.
예전부터 해보고 싶었던 채널 본딩을 기회가 닿아서 해보려는데요..
(랜카드는 3com, 리얼텍8139..)
- /etc/modules.conf
## 중간 생략
alias bond0 bonding
alias eth0 3c59x ## <-- 현재 장착되어 있는 이더넷
alias eth1 8139too ## <-- 새로 장착할 두번째 이더넷
- /etc/sysconfig/network
## 중간 생략
GATEWAYDEV=bond0
-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bond0
#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 mv ifcfg-eth0 ifcfg-bond0
# vi ifcfg-bond0
----------------------------------------------------------
DEVICE=bond0 ## <-- 이부분 만 수정함. 나머진 기존의 eth0를 그대로 유지
.bashrc 파일에
alias eng='export LANG=C'
를 추가했습니다.
root 상태에서 eng를 치면.. 실행이 됩니다.
su -l 로 계정을 바꾸면.. .bashrc의 내용이 그대로 유지 될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su -l near(계정) 으로 near 계정으로 바꾸고
eng 를 실행해봤는데..
안되는군요..
도스의 config 와 같은 파일이 .bashrc 라고 알고있습니다.
path 나 alias 등의 내용을 유지하면서 계정을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파일의 허가권은 그 허가에 속하는 사용자나 구룹 타인등에게
파일의 읽고 쓰고 실행하는 부분을 다뤄주는데요..
sTicky bit 1000
SetGID 2000
SetUID 4000
은 정확하게 무엇을 다루는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ping localhost 를 root에서 실행해보고 near라는 계정에서
실행해보고 하면.. 두군데 다 됩니다.
기본설정이 -rwsr-xr-x 였을건데요..
이것을 chmod 755 ping 해서 ,-rwxr-xr-x 로 바꾸면..
실행이 안됩니다.
다시말해 요점은..
-rwsr-xr-x
-rwxr-xr-x
sed에서 replace 등을할때 tab 문자를 어떻게 넣어야 할까요?
echo등에서는 '-e' 옵션을 사용하여 '\t' 문자를 사용하면 되는데
sed에선 책을 찾아봐도 사용할수 없다고 나와 ctrl-v & tab키를
이용하여 직접 tab 문자를 넣고 있습니다.
혹시 더 편한 방법이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tomcat4.0만 사용할 때 apache와 연동설정되어 있는 server.xml파일
마지막부분을 그대로 놓아두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아파치지우고 톰켓만 설치하면 될 것 같지만
혹여 연동설정부분에서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됩니다.
server.xml의 걱정되는 부분입니다.
==================
<!-- The MOD_WEBAPP connector is used to connect Apache 1.3 with Tomcat 4.0
as its servlet container. Please read the README.txt file coming with
the WebApp Module distribution on how to build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