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elecguy의 이미지

USB Flash Drive 를 사용할려면?

안녕하세요.
USB Flash Drive 를 linux 에서 사용할려고 합니다.
커널설정과 fstab 설정과 mount 하는 법을 알고 싶습니다.
데비안 리눅스에 커널은 2.4.21 을 사용중입니다.

kimyh의 이미지

NTSYSV에 데몬 추가하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APM을 설치하기위해 기존의 apache와 mysql을 삭제하고 다시
소스로 설치를 했습니다.

설치된걸 삭제 했으니까
당연히 NTSYSV에 데몬이 없어지는건 당연한데
부팅시마다 데몬을 동작하도록 하기우해 rc.local 화일에 start되도록 해놓았지만 NTSYSV에 데몬을 추가해서 편리하게 사용하고 싶군요.

NTSYSV에 데몬 추가하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deltta75의 이미지

raid0,1 card를 IDE로 사용할 수 있나요?

fasttrack tx2000카드를 그냥 IDE 로 사용하고 싶거든요
raid card의 기능이아닌 그냥 IDE로 사용가능한가요?
os 는 redhat 8.0이구요
그리고 그 카드 2개가 있는데 각각 2채널이 거든요
각각의 채널에 HDD 2개씩 달아서 software raid 5를 하려고 하는데요
os는 다른 HDD 에 설치하려고 합니다.(총 3개의 HDD)
그런데 부팅하면 카드를 인식해서 raid card의 bios 같은데서 설정을 하는데
암튼..redhat을 설치할때 HDD 2개를 software raid로 설정해줘야하나요?
아니면 그냥 마운트하고 나중에 설치마친후에 설정해줘야하나요?

greenwil의 이미지

커널 컴파일 도와주세요...

커널 컴파일중입니다.. 근데.. 같은곳에서 계속 막힙니다..
저는.. 커널을 2.4.18 을 2.4.21로 바꾸는 중입니다..
make mrproper

make menuconfig

make dep ; make clean

make bzImage
make modules; make modules_install

여기까진 순조롭게 되구요..

이다음..
depmod -a 2.4.21에서..

depmod: *** Unresolved symbols in /lib/modules/2.4.21/kernel/drivers/net/dummy.o

이런 에러가 나네요... 이와 비슷한 질문을 하신분들이많은데.. 어케 해야되는지는 자세히 나오지 않더군요..
참.. depmod -a 하니까.. 그냥 한참..

caracourage의 이미지

한서버에 홈페이지 두개를 돌리는 방법?

서버에 대해 하나도 모르는데 서버관리를 하고있습니다..^^;;
서버에 홈페이지가 잘 돌아가고 있거든요
그 서버에 다른 aaa.net이라는 홈페이지를 넣고싶거든요..
홈페이지 소스는 있구요..aaa.net이라는 도메인을 그대로 쓰고 싶다는거죠..
웹호스팅업체에 맡겨서 관리를 했던건데요..
서버가 있으니까..여기다 그냥 돌리고 싶다고 하거든요..
서브도메인은 만들겠는데요..(useradd)
aaa.net을 서비스해주는건 감이 안잡혀서요..
게시판두 있구 그런데..게시판은 어떻게 연결하구..그런것들이 궁금합니다.

ㅡ,.ㅡ;;의 이미지

proftp 설정좀봐주세요...

전엔잘되었는데 리눅스 새로 설치후에 안되네요...

[root@localhost root]# ftp localhost
Connected to localhost.localdomain.
421 Service not available, remote server has closed connection
ftp> bye
[root@localhost root]#

메시지는 이렇게나오고요..

설정은 ntsysv 에서 proftpd 옵션이 설정되어 있고
/etc/xinetd.d/ 의 proftpd-xinetd 파일
service ftp
{
disable = no
flags = REUSE
protocol = tcp
socket_type = stream
instances = 50
wait = no

eminency의 이미지

부팅시 user별 mount...

새로 파티션을 하나 잡아서 일반 유저의 홈 디렉토리 밑에 mount 시킬려고 합니다(Linux입니다).
그런데 mount point 디렉토리의 소유권에 상관없이 부팅하고 mount되고 나면 항상 root:root로 소유권이 바뀌는데요... 이것을 부팅시 특정 유저 소유의 디렉토리가 되도록 만들어 줄 수 없나요?

mount명령의 옵션을 질문하는 건 아니고 /etc/fstab에 넣어줄 내용에 대해 질문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ginkgo의 이미지

freeswan과 x.509인증서를 이용한 linux<->windows ipsec

리눅스와 윈도우에서 ipsec통신을 하려고 하는데요.

ipsec.conf설정에서 막혀서요...
예전에 구현했던 리눅스<->리눅스와는 설정환경이 무척다른거 같은데요...
명확하게 나와있는곳이 없군요..ㅡㅡ;

현재 linux서버에는 openssl을 이용해서 root CA, vpn gateway역활을 하고있구요..

windows에는 ipsecpol과 패키지로 vpn client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ipsec.conf환경설정 부분 알고계신분 도움 부탁드립니다.

ginkgo76@empal.com

조문섭의 이미지

오늘 리눅스 첨 설치한 사람입니다...ㅠㅠ 한글 변환 어케 해용?

정말이지 암꺼뚜 모르는 상황인데용...

이거 해보니깐.. 한글 변환이 안되네용...

이러저리 뒤지구 뒤져서... 터미널 겨우실행시켜서...shift+space 누르니까는... 터미널에서는 한글 변환이 되는데용....

Xwindow에서는 안먹혀용...ㅠㅠ 어케야 대용...리눅스 꼭 배우구 싶어서 막무간으루 깔았는데.. 한글 변환 땜시 리눅스를 포기 해야하나.....하는 생각이 드네용... 저 점 꼭 도와 주세용.. 고수님들...ㅠㅠ

앗! 제가 깐거는 Redhat 8.0 이에용....

gyxor의 이미지

xmms-mp3 코덱을 찾아서...

xmms.org 사이트에서 코덱을 한참을 찾아보았으나 못찾았습니다.
찾다 생각해보니 사실 당장 들을 mp3도 없습니다.
소리바다는 못까는거 같던데요.. 도스 파티션에 있는 파일들을 가져올 방법은 없나요?
mp3가 도스파티션에는 많이 있거든요.. 듣기로 서로가 서로를 제어할수 없다고 하던데요.. 책에서는 마운트 하면 된다고 돼있는거 같던데요..
dev 디렉토리에 있는 것들중에서 뭐가 뭔지를 몰라서 헤매고 있습니다.
벅스뮤직도 안되고.. mp3 어떻게 하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