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bombzoo의 이미지

redhat9을 깔고 있는데 오류가 납니다.

몇번째 시도 해 보는지 모르겠습니다. -_-;:

windows2000server : host
linux 9 : guest
vmware station 4 NAT사용

펜티엄 3 800Mhz
HDD : 30G
RAM : 320M

레드햇9을 vmware에 설치 하고 있는데요, 자꾸 오류가 납니다. 첫번째 씨디는 넘어가는데요, 두번째 시디에서 설치을 하다 오류가 납니다. xsri-2.1.0-5 패키지가 오류나 난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5번을 다시 시도 했는데, 항상 여기서 걸립니다.
씨디에 잘못이 있는가 해서, ftp.kreonet.ne.kr에서 다운 받아서 씨디에 구웠는데, 씨디에 이상이 있는가 해서 다른 곳에서 다운 받아 설치 해도 마찬 가지로 여기에서 설치가 안됩니다.

ktlsu1231의 이미지

일반 계정 상위 디렉토리 접근 권한과 링크 디렉으로의 이동

안녕하세요.
자신의 방 이외의 디렉토리로의 접근을 막는다는 기본 조건하에
link 건 디렉토리를 사용하게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자신의 홈디렉토리
/a/b/c/d/ 의 디렉토리를 ln을 사용하여 링크를 자신의 홈에 만들어 놓아
접근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감사합니다.

shs0917의 이미지

듀얼 모니터 사용에 관해서..

현재 래드햇9.0을 사용하고 있구요.. 그래픽카드는 ATI9000Pro입니다.
윈도에서 처럼 듀얼모니터를 쓰고 싶은데 어케하면 되는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yeo9597의 이미지

답답합니다 ㅡㅡ;;

지금 프비 4.8 사용 중입니다.
msdosfs 설정을 어떻게 해줘야 한글 파일이나 폴더를 읽을수 있읍니까?
지금 시스템이 엉망이 돼었읍니다.
프비에서 한글 파일,폴더 만들면 윈도에서는 파일명,폴더명이 이상한 글씨로 보이고,
윈도에서 한글 파일,폴더 만들면 프비에서는 파일명,폴더명이 ???? 로 보입니다.

ad0s1 : windows2000 (ntfs)
ad0s2 : data (ntfs)
ad1s1 : 프비
ad1s2 : data ,백업용 (fat)

jaeswith의 이미지

[질문] NFS 가 너무 느릴땐...

NFS 서버를 클라이언트에서 automounter 를 이용해서 mount 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automounter 가 mount 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장난이 아니게 깁니다.(약 10초 넘도록...)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그냥 mount 하면, 그래도 좀 덜 걸리지요.

jogerse의 이미지

/var/spool/mail 폴더에 core 라는 엄청 큰 파일이 있습니다

메일 계정을 관리하는 중에 보니깐 core라는
root root그룹 소유의 파일이 있는데 이 파일은 지워도
되는 파일인지 아니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파일인지 궁금하네요
core라는 계정이 있는것도 아닙니다.

tail 로 뒷부분을 읽어보니 바이너리로 보입니다.

삭제해도 될까요?

crinje의 이미지

독북 (DocBook)에서 문서 변환 문제 - 에러

독북 (DocBook)에서 예제 xml 파일을 만들어서 html로 변환하려 했는데 에러가
많이 나옵니다. 독북은 처음이라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겠네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래는 에러 메세지의 일부입니다.

jade:/usr/local/share/sgml/docbook/4.2/catalog.xml:115:11:E: end of entity in comment
jade:/usr/local/share/sgml/docbook/4.2/catalog.xml:5:17:E: cannot open "/usr/local/share/sgml/docbook/4.2/data" (No such file or directory)
jade:/usr/local/share/sgml/docbook/4.2/catalog.xml:13:25:E: cannot open "/usr/local/share/sgml/docbook/4.2/data" (No such file or directory)

vigorony의 이미지

리눅스를 깔았는데 컴퓨터가 느립니다.

Redhat 7.3를 최근에 구입한 P4컴퓨터에 설치했는데 좀 느립니다.

지금까지 쓰고 있는 P3 컴터속도의 반도 안되는 듯합니다.

KDE상에서 소프트웨서 사용해서 CPU를 이용하게 되면 마우스 카서가
움직일때 끊겨서 움직이다던지... 이런현상도 나타나고요.

아마도 메인보드의 칩셋을 지원 안해주는 듯 한데요....
이거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7.3에서만 돌아가는 Soft를 써야하기 때문에 9.0을 깔수가 없습니다.
혹시 아시는분 좀 도와주세요.

tera의 이미지

Softraid 사용시 파일시스템이 깨지네요.

레드헷9.0 에 시게이트 하드 7200.7 120기가 4개를 소프트웨어 레이드 설정을 한후,
ext3로 포맷하여 사용하였습니다.

디스크관련 IO를 과부하를 주었더니, 파일시스템이 깨지더군요.
정확하게는 일반파일이 special file속성을 지니고 있더군요.
예) _rw_____ ->prw_______
저와 비슷한 경험을 하신분의 조언을 기다립니다.

jymnet의 이미지

노트북 NEC Versa E600에서 레드햇 9.0 설치하기

리눅스 시디를 넣고 부팅 시키면
"boot:" 라는 메시지가 나오고 그냥 엔터를 치면
Loading vmlinux...
....
....

이렇게 나옵니다.

그러다가 CD Found 메세지가 뜨고 media check를 skip 할것이냐 실행
할 것이냐 선택을 해야 하는 데 키보드나 마우스가 먹지않아서 다음으로
진행할수 없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는지 가르쳐 주세요?

리눅스 시디는 다른 데스크 탑에서 많이 설치 했던것이라 이상은
없을 것라고 생각됩니다.

그럼 부탁드립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