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iamsj9의 이미지

방화벽 구축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날씨가 많이 쌀쌀하네요 건강유의하시구요

다름이아니라저희가 이번에 사내 방화벽을 비용없이 구축해보고자 하는데

사내 사무실은 두개의 층을 쓰고 있고 한층은 공인IP가 서버용,사내망용으로 2개들어오고 한층은 사내망용으로 하나들어와서

총3개의 공인IP를 사용하고있습니다. 하여 3개의 IP위에 PC로 LINUX iptables 이용하여 구축해보고자 합니다.

기본정책을 우선 INPUT OUTPUT FORWARD다막고

필요한 포트들은 요청에의하여 개방하고 기본적인 네이버나 구글 등등.. ip 이용해서 개방하고 차후 필요에의하여 사이트들도 허용 할 생각인데요.

제가 아직 지식이 많이모자라 많이 헷갈리고 어렵네요

이렇게 하면 사내에서 사내서버로 접속이 가능한지 아니면 따로 정책을 추가해야되는지

그리고 ip 이용해서 사이트접속을 허용하는게 가능한게맞나요? vm으로 centos 설치하여 테스트중인데 nslookup으로 ip확인하고 아랫단에 추가해도 열리지가않네요

포괄적이고 두서없겠지만 도움좀 부탁드립니다.^^

aquamarin3의 이미지

서버 사양에 대해 조언 부탁합니다.

DB 서버로 사용할 LINUX 서버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에이전트로부터 1일 10GB 정도의 로그를 수신하는 서버일 때, 서버의 권장 스펙을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DB서버에도 에이전트가 존재하여 해당 에이전트에서 로컬의 DB에 로그를 기록하는 구조입니다.

로그 유지기간은 대략 한달이라고 가정합니다.

메모리, 디스크, cpu 개수, 네트워크 성능(대역폭?) 이런 것들에 대해 조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k1d0bus3의 이미지

프레임버퍼의 정확한 의미?

그래픽 디바이스 드라이버?

단순 프레임을 담고 있는 저장장치?

하드웨어와 분리적인 그래픽추상화 계층?

프레임버퍼에 대한 의미가 조금씩 다르게 쓰이는 것 같은데, 누가 설명 좀 해주시겠습니까?

xoduddk123의 이미지

rdate 명령어로 특정 나라나 도시를 지정할 수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리눅스 파일시스템을 만들어서 하나하나 해보고 있는 유저입니다.

이번에는 시간을 동기화하기우해서 rdate 명령어를 크로스컴파일하여서 보드에 넣어보고 있습니다.

# rdate -s 203.248.240.140

명령어를 통해서 시간을 동기화 해봤습니다.

추가적으로 특정사이트에 타임서버로 사용가능한 ip목록들가 도메인 이름들이 있는것도 확인하였습니다 ( http://tf.nist.gov/tf-cgi/servers.cgi )

rdate 명령어는 /etc/localtime 에 있는 zoneinfo 정보를 가지고 시간을 맞추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필요할때마다 /usr/share/zoneinfo/ 에 있는 도시정보를 /etc/localtime으로 대체해서 변경할수도 있고요.

pci486의 이미지

공인 ip가 필요해서 그러는데... 어떻게 방법이 없겠나요

일단 서버가 집에 구축이 되어있습니다.
아시다시피 중요한 포트는 인터넷 회사에서 싸그리 다 막아놨습니다.
다른포트들이야 바꿔서 하면된다면 웹은 어쩔수 없더군요..
호스팅 업체의 포워딩 서비스도 써봣지만 것도 별로 맘에 안들구 해서..

이리저리 알아보니 ip 임대라는게 보이더군요.
어떤식으로 진행되며 한달 요금은 얼마인지 궁금합니다.

아시는분이나 경험 있으신분 정보 공유부탁드립니다.

ps : vpn, 임대서버는 최후의 보루로 남겨두고 싶군요..

darkharf2의 이미지

질문드립니다

현재 리눅스 crontab을 사용한 db 백업을 실행하려 하는데 실행이 되지 않아서 여쭤봅니다

현재

#vi /var/cron_backup/db_mysql_bak
#!/bin/bash
# sudo mkdir /var/backup/mysql_$(date +%Y%m%d)
# /usr/bin/mysqldump -uroot -proot -A > mysql_db_bak_$(date +%Y%m%d).sql

# mv *.sql /backup
/usr/bin/mysqldump -uroot -proot --events --ignore-table=mysql.event --all-databases > /home/tact2/db_mysql_test_$(`date + %Y%m%d`).sql
~
위와 같이 쉘 스크립트를 입력해 놓은 상태이며

./db_mysql_back.sh 로 쉘스크립트 실행시 제대로 db back up이 진행됩니다

nomail의 이미지

iptables에서 RETURN 타겟

iptables 튜토리얼 보면서 공부 중인데요.
--jump 옵션의 RETURN 타겟이 정확히 이해가 안돼서 질문 드립니다.
일단 구글링으로 몇가지 문서 보면서 짧게 이해한 내용은

iptables -A user_chain -p icmp -j RETURN

위의 예문에서 -j RETURN이 되면 user_chain을 끝마치고 원래의 INPUT 체인으로 돌아가서 그 다음 룰을 진행하는걸로 아는데요.
만약 INPUT체인에서 -j RETURN 룰이 실행되면 INPUT체인의 마지막으로 점프하여 필터링 룰이 종료되고요.

제가 이해한 것이 맞는지요?

linuxer02의 이미지

이중화 서버의 디스크 용량(size) 차이 왜그럴까요?

동일한 ibm 서버에 이중화를 고려하여 os설치후
df 명령어를 통해 용량을 확인 했더니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헌데, 두서버모두 사양 디스크 용량이 모두 동일하거든요
그리고 sdb1 또한 디스크 2개를 RAID1로 미러링해두었구요.
헌데, 아래와 같이 sdb1의 size 가 서로 다르게 보입니다.
약 9GB정도가 적게 보이거든요..
혹시 왜이런현상이 나타날까요?
ㅠㅠ 알수가없어서 이렇게 조언을 얻고자 글을 올립니다.

[ 서버 1 용량정보(RC3-19) ]

[root@RC3-19 log]#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sda3 262G 123G 126G 50% /

/dev/sda1 494M 17M 452M 4% /boot

tmpfs 7.9G 0 7.9G 0% /dev/shm

vc7148의 이미지

리눅스 서버 셋팅

안녕하세요.. 서버라는걸 처음만져보는사람입니다.
이번에 리눅스서버를 하나 공간만 root권한으로 임대받아서, 셋팅을 제가 해야 하는데
어떤걸 유의하여 설치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궁극적인 목적은 고도몰솔루션을 설치하기 위한 환경을 만드는것입니다.
고도몰 설치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운영체제 리눅스 2.6x이상
웹서버 Apache 1.3xx 또는 2.0x
Zend Optimizer 3.3 이상
개발언어 PHP V5.2x
데이터베이스 MySQL 5.0이상 (MySQL 5.4 이하)
Character Set EUC-KR

고도몰에 전화해, 리눅스 2.6x 이상이 뭘 말하는건지 물어보니
centos5.x 를 설치하면 된다더군요..

난생처음 putty 라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초기셋팅을 살펴보니
MySQL 버전만 맞고, 전체 버전이 최신으로 설치가 되어있어 전부 삭제하고 셋팅하고자 했습니다만

perdrecon의 이미지

리눅스, 유닉스 wcd 설정법

리눅스를 쓰는 초보입니다.

다른 시스템들 들어가보면 로그인 후 wcd라고 치면 제가 주로 사용하는 폴더로 이동하게 되더군요....

이거 어떻게 설정하는 건가요??? 전혀 감이 안오네요...ㅡ,.ㅡ;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