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hengunmok의 이미지

DNS bind9 네임서버 외부로 전파가 안됩니다.


데비안 계열에서 bind9 로 네임서버 설정을 했습니다. 순방향과 역방향 둘 다 설정을 해서 nslookup으로 내부 네임서버 맞춰놓고 localhost로 테스트하면 test.com = 111.111.111.111 / 111.111.111.111 = test.com 식으로 잘 변환이 됩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한 달 넘게 열어놓고 기다려도 외부 네임서버에선 전혀 받질 못합니다. 예전에 셋팅했을때는 분명 외부도 반응이 있었는데 이번엔 왜 이러는지 모르겠네요;

현재 공유기 밑에서 포트포워딩으로 웹서버 파일서버 등 외부접속 잘 작동되고 있습니다. DNS부분은 수상해서 53포트 tcp만 udp만, 마지막으로 tcp/udp 둘 다 열어서 기다려도 묵묵부답이네요.

도메인 업체에선 호스트 등록으로 ns.test.com 식으로 등록을 해 놓은 상태입니다. 네임서버를 꼭 썼으면 하는데 방법 없을까요 ㅠ

giveitaway의 이미지

윈도 기반의 회사 서버 환경을 리눅스로 이전하려면.. 윈도2012의 대쉬보드같은 관리툴이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중소 포털사이트에서 개발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개발팀에 소속하지 않고 타 사업부서 소속의 개발자라서 저희 부서 웹솔루션만 담당하고 있습니다.

얼마 전에 이중화 관련하여 질문을 올린 적이 있는데 (https://kldp.org/node/149398 많은 도움 감사드립니다.)
바로 그 며칠 후에 이중화 안한 제 담당 웹솔루션사이트가 뻗어서 개난리를 치뤘습니다. ㅋㅋ ㅠㅠ
그리고 그 며칠 후에는 저희 회사 메인 사이트를 담당하는 서버가 뻗어서 저는 제 담당이 아니라 강건너 불구경하면서 개발팀이 개난리치는걸 봤고요 -ㅇ-

zeros48의 이미지

우분투 네트워크 설정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공부 목적으로 버추얼 머신에 우분투를 설치하려고 하는데요

외부에서 접속할수 있게 하려면 브리지어댑터로 설정을 하고 진행을 하라고 되어 있어서 진행중에

서버(64bit) 설치중 자동 네트워크 설정부분에서 오류가 나네요

DHCP설정에 문제가 있다고 하는데 현재 윈도우에 고정 IP를 사용하고 있어서 그럴까요?

혹시 같은 문제 겪으신분 계신가요?

수동으로 설정이 가능하면 방법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ed4kim의 이미지

ssh 접속설정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최근 리눅스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오늘 CentOS에서 ssh 접속관련 공부를 하다가 hosts.allow하고 hosts.deny 부분을 보다가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 올립니다.
(질문게시판이 따로 없어서 자유게시판에 올립니다)

다른 장비에 CentOS를 설치하고 원격으로 ssh 접속을 테스트하는 도중에 hosts.deny 부분에 이렇게 추가를 하고 테스트를 했습니다.
192.168.(가상머신IP대역).*

이렇게 하니까 제 pc에서 해당 장비로는 ssh가 붙는데 가상머신으로 띄운 os에서 ssh는 안붙는것까지는 확인했습니다. 이후가 문제인데, deny설정을 풀고 가상머신으로 재접속하니까 No routs to hosts 라는 메세지만 계속 뜹니다.

가상머신은 우분투를 씁니다. /root/.ssh/known_hosts 안에 있는 정보를 날리고 재접해도 똑같고, CentOS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해도 똑같고 sshd 재시작을 해도 똑같고 리부팅을 해도 전혀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j261092의 이미지

openssl 설치 시 문제점

유닉스 환경(Solaris)에서 openssl 설치 하려고 합니다.

설치방법을 검색해본결과

1) ./config
2) make
3) make test
4) make install

위와 같은 순으로 진행하라고 하는데 ./config 실행 시 다음과 같은 문구가 나오내요

xoduddk123의 이미지

Ubuntu에서 한번 로드된 드라이버모듈이 제거안된 상태도 계속 있는게 맞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Kernel Driver Module을 살펴보다가 의문점이 생겨서 이렇게 글남기게 되었습니다.

사용하는 Ubuntu는 Ubuntu 12.04(64bit)입니다.

부팅을 하고나서 USB를 꼳으면 lsmod로 확인 시 [usb_storage]라는 모듈이 추가적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 usb_storage라는 모듈은 USB를 꼳으면서 추가적으로 올라가게된 모듈이라는 말이 되는데요.

저는 여기서 그렇다면 꼳았던 USB를 제거하면 usb_storage라는 모듈이 사라질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USB를 [안전하게 제거]를 통하여 제거하여도 usb_storage라는 모듈은 lsmod목록에 계속 떠 있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usb_storage라는 Kerenl Module은 USB가 꼳히는 시점에 일정사이즈의 메모리를 점유하게 되는데 USB가 제거되어져있는 상태에서도 usb_storage가 메모리를 점유하고있는것은 비효율적처럼 느껴집니다.

astzlra955의 이미지

회사에서 사용할때 license 질문입니다.

안녕하새요.

소스 공개 의무를 지닌 license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의 경우
회사에서 업무용으로 제가 사용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는지 질문드립니다.

회사에서는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회사원들이 사용할 뿐,
배포하거나 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픈소스 프로그램의 경우 소스 공개 여부에 대한 license같은건 붙어있는데,
사용하는데에 대한 license나 규정에 대해서 나와있지 않는 곳이 많아서 질문드립니다.

결론적으로
open 소스 license가 붙어있는 프로그램을
회사에서 "사용" 해도 되는 건가요?

physicon의 이미지

질문... fn키

저는 주로 End, Home, PgUP, PgDn 은 fn키+(화살표)로 하게 되어있는 미니 키보드를 사용합니다.
그런데....요즘 문제가 하나 생겼습니다.
노트북을 하나 새로 샀는데
이 노트북에는 End, Home, PgUP, PgDn 키들이 따로 존재한다는 것이지요.

편하다...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이미 fn키+화살표에 익숙해져있는 상황이라는 점이 문제죠.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은 linux mint 17.1 입니다.
fn키+화살표 조합으로 End, Home, PgUP, PgDn 단축키를 만들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네요.
혹시 아시는 분 있나요?

nomail의 이미지

SSL 적용에 대한 의문점..

개인서버에 ssl을 올리고 잘 동작하는 것까지 마쳤는데요.
한가지 의문점이 있어서 여쭤봅니다.
우선 pki 개념은 정확히 이해하고 있습니다.

개인서버의 경우에 인증서 비용때문에 self signed 방식으로 자체인증서를 생성한다고 하는데요. 저도 그렇게 했습니다.

jic5760의 이미지

snorby 같은 프로그램 없나요??

snorby가 설치하기에 무겁고 불편해서 비슷한 프로그램을 찾고 있습니다.
snorby보다 설치가 간편한 (단일프로그램에 가까운?) 프로그램 알려주세요~
php나 cgi이면 좋겠지만 아니어도 apahce에서 돌아가면 됩니다.
알려주세요~ㅎㅎ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