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dltkddyd의 이미지

윈도우용 tightvnc viewer 에서 리눅스 서버 원격 접속 사용시 < 키문제가 발생합니다.

윈도우용 tightvnc viewer로 집에 있는 리눅스 서버에 접속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키를 누른 적도 없는데 서버에서는 < 키가 지속적으로 눌린 상태가 되는 문제가 간헐적으로 발생합니다. 다른 키를 누르면 눌려서 서버의 화면에 출력이 되긴 하는데 떼는 순가 다시 <키가 계속 눌리고요. 혹시 이런 유사한 문제가 다른 분들께서도 이러한 일을 겪으신 적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해결은 어떻게 하셨나요? tightvnc viewer의 버그인가요? 아니면 다른 원인이 있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vega2080의 이미지

mysql cluster

mysql cluster 구성을 하였습니다.
새로운 DB aaa 를 생성하고, 그 아래에 engine=ndbcluster 로 추가하여
테이블이 클러스터링 되도록 하려고 하는데 추가 시 다음 에러를 띄우며 에러가 납니다.
(현재 DB 자체는 잘 싱크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negabaro의 이미지

initrd의 문제점

linux 커널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initrd가 있었는데 어떤 문제점(?)이 있어서
커널2.6부터 initramfs이 도입됬다고하는데

initrd가 무슨문제점이 있었는지에대해서 이해를 못했습니다.

혹시 알기쉽게 정리되있는 자료가있다면 가르쳐주세요

그리고 그외에 제가 생각하고 있는게 맞는지 확인좀부탁드립니다.

①initrd(initramfs) 가 필요한이유는
/를 마운트하기전에 하드웨어의 정보등을 취득하기위한 모듈을 둘장소가 필요했기때문이다.

②initrd는 램디스크(램을 가장한 하드디스크?)에 모듈을 불러들여두고

③initramfs는 램자체에서 모듈을 불러들인다?

freezonej의 이미지

C HWND 를 사용해서 앵그리버드와 같은 게임

C에서 HWND를 사용하여
앵그리버드와 같은 간단한 게임을 만들려고하는데
간단하게 만들어놓은 오픈소스라던지
참고할만한 소스를 아시면 댓글에 좀 부탁드립니다 ..

ktd2004의 이미지

dns 서버(bind9)의 동작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bind9로 dns 서버를 구축해서 사용중입니다.

현재 문제는 다음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입니다.

첫번째, 외부 pc에서 nslookup을 실행하면 dns 서버가 빨리 응답하는데 dns 서버 자체에서 nslookup을 실행하면 늦게 반응합니다.

## 외부 pc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하면 빨리 반응함.
$ nslookup www.mydns.com xx.xx.xx.xx

## dns 서버 자체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하면 느리게 반응함.
$ nslookup www.mydns.com localhost

두번째, dns 서버 자체에서 다음 nslookup 명령을 실행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 dns 서버 자체에서 다른 domain에 대한 query를 요청
$ nslookup www.google.co.kr localhost

** server can't find www.google.co.kr: REFUSED

이러한 상태가 정상적인 상태인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legacy0f의 이미지

레드햇 6.2 IP 주소 변경

(이미지 파일 첨부했습니다.)

레드햇 6.2의 원래 IP 주소는 192.168.74.128이었는데 외부의 노트북으로 텔넷 접속을 하니깐 접속이 안 되는 거에요.

레드햇 6.2는 VMware로 돌리고 있는데 VMware를 작동시키는 컴퓨터의 텔넷으로 레드햇에 접속하면 되는데

외부의 노트북에서 VMware 내부의 레드햇에 접속하면 안 되는 겁니다.

공유기 설정에서 DMZ 설정을 해봤는데 192.168.219.0과 같지 않다고 나오더군요.

레드햇에서

#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DEVICE=eth0
BOOTPROTO=static
IPADDR=192.168.219.10
NETMASK=255.255.255.0
GATEWAY=192.168.219.1
HWADDR=00:0C:29:B9:FA:4E
ONBOOT=yes

이런 식으로 바꾸고 리셋을 했습니다.

minsktown의 이미지

리눅스 시그널 질문요

Ctrl + z 누르면 프로세스 일시중지인데
그 중지된 프로세스를 다시 실행시킬려면
어떻게 해야되나요?
그때 쓰는 인터럽트가 따로있나요?

chocokeki의 이미지

vim에서 trinity를 사용 중인데요 nerdtree가 오류가 너무 심합니다

vim에 trinity도 세팅하고 잘 써볼까 했는데
nerdtree가 오류가 너무 심각해서 거의 사용 불가 합니다

키보드 방향키로 스크롤을 내릴 때 심심하면 nerdtree가 멎습니다
파일이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냥 멈추기 일상입니다

특히 마우스를 사용하면 오류가 매우 심합니다
휠만 굴려도 파일이 새 창에 열리는가 하면
멎는 현상도 자주 일어납니다(다행히 nerd tree 창쪽만 멈춰서 걍 강제로 trinity를 닫거나 nerdtree만 꺼버립니다)

리눅스 시스템이 여러대라 여러대 세팅 해봤는데
다 동일한 증상이네요(centos, fedora 등등)

왜 이럴까요....

trinity에서 nerdtree 안 쓰고 netrw 쓰도록 세팅할 수는 없을까요
netrw는 오류 같은거 없던데

hoochoona의 이미지

linux kernel을 doxygen으로 문서화 하고자합니다.

doxygen을 사용하여 linux kernel을 문서화 하고자 합니다.

텍스트와 링크만하여 그래프가 없는 문서는 만들어집니다만... 설정을 잘못한것인지 그래프를 추가하게 되면 doxygen이 실행되다 중간에 중지가됩니다.
같은설정으로 LVM2, qemu-kvm는 그래프를 추가하고 문서화 성공이 됩니다. (...) linux kernel의 dm 디렉터리만 가지고 같은 설정으로 돌려보니 이것 또한 성공을 하는군요. 아, 그래프 툴로는 GraphViz를 사용합니다.

linux kernel을 Doxygen과 GraphViz으로 해서 문서화를 하신분이나 고수님에게 조언을 구하고자 글을 남겨봅니다.

먼저, Doxygen을 동작시키는 머신의 스펙은 다음과 같습니다.

OS : Windows Server 2012 R2 64bit
CPU : Intel(R) Core(TM) i5-3570 @ 3.40GHz 3.80 GHz
RAM : 8.00GB
하드용량은 약 1TB가 남아있습니다.

설정파일 Doxyfile.txt는 첨부하였습니다.

elquin의 이미지

[Alfresco] 문서 관리 - 문서 연결

Alfresco를 막 설치한 초보입니다.
현재 환경은 회사 사내망이라 외부 인터넷 연결이 안 되는 상황입니다.
설치는 Windows Server 2008 (64 bit) 환경에 Alfresco Community 5.0b를 올렸습니다.

제가 하고자 하는 건 생성 혹은 업로드한 문서간의 연결인데...
Alfresco wiki나 tutorial을 뒤져보면 'related documents'라는 메뉴에서 문서를 연결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아무리 뒤져봐도 'related documents'라는 게 안 생기네요...

제가 정말 이쪽 분야로 모르는 초보라...
혹 아는 분 계실까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