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hengunmok의 이미지

퍼미션 775 작동이 안됩니다

최초 설치시 xe/files 폴더를 만들고 소유자 그룹 test:test 로 주고 chmod 775를 주고 설치를 시도했습니다. 그런데 여전히 707을 고수하며 바뀌질 않네요. 그누보드 data폴더도 그렇고 무엇때문에 진행이 안되는건가요?

hengunmok의 이미지

웹주소(url) 암호화 어떻게 해야될까요?


ftp 서버에 파일을 올리면 http://site.com/file.txt 식으로 접속을 해서 다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http://site.com/file.txt 부분을 암호화 해서 다운로드용 주소로 제공할 수 있을까요?
파일관리 측면에서 폴더구조로 활용하려는데 url 암호화 관련은 찾기가 어렵네요..

astzlra955의 이미지

eclipse 없이 jar 파일 생성하는 다른 방법이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jar 파일을 생성하려고 하는데, eclipse 말고 다른 방법으로 생성이 가능한지 질문드립니다.

이 jar 파일은 실행파일은 아니고 android java 소스에서 일부분을 library처럼 만들어서 사용하려고 합니다.

기존에는 eclipse로 사용하고 있었는데, eclipse가 메모리도 많이 사용하고,
jar 생성시 오류도 자주 발생하고 해서 너무 불편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가능하다면, eclipse 말고 서버에서 명령어로 간단하게 jar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혹시 알고계시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jinh0802의 이미지

윈도우 2000 ntp client 설정 질문

ntp server 는 리눅스 입니다.
ntp client 는 윈도우 xp 와 윈도우 2000 입니다.

윈도우 xp 는

net time /setsntp:xxx.xxx.xxx.xxx
w32tm /resync /nowait

이 명령어로 ntp 설정이 잘되어지는데요

윈도우 2000에서는

net time /querysntp
net time /setsntp:xxx.xxx.xxx.xxx
또는
net time \\xxx.xxx.xxx.xxx /set /y
net stop w32time && net start w32time

입력을 하는데 시간도 안바뀌고

System error 53 has occurred.
The network path was not found. 라고 오류가 뜨네요!

왜그런건가요??

UDP포트도 모두허용했습니다.

hypnosis의 이미지

DB2 리눅스 설치관련..

안녕하세요. 초보개발자 입니다..

이번에 DB2 설치하는 과정을 스크립트로 작성해 보고 있는데요.

한가지 질문이 있어서.. 이렇게 글 남기게 되었습니다..

현재 DB2설치하는 과정에 입력받는 값이나 필요한 라이브러리 복사 그리고 설치 명령어를 스크립트안에 넣어서 스크립트 실행시

한번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는데요.

문제는 connect to db명 을 실행하고 다음에 실행할 커맨드 가 아래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되지 않는다고 출력되네요..

DB21034E The command was processed as an SQL statement because it was not a
valid Command Line Processor command. During SQL processing it returned:
SQL1024N A database connection does not exist. SQLSTATE=08003

지금 connection 하고 나서 DB2에 버퍼풀이나 테이블스페이스 생성할때 나타나는데요.

hellotd의 이미지

실제 입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한 disk trace 얻기

안녕하십니까 현재 디스크와 관련하여 이제 막 연구를 시작한 석사 대학원생입니다

제가 원하는 연구를 하려면 disk IO trace가 필요한데

문제는 timestamp나 address 등 이외에 실제 디스크 블록에 입력되는 데이터도 함께 얻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만 하루 정도 blktrace + blkparse + iozone를 이용하여 trace를 뽑는 방법에 대해 삽질해 보았는데

실제 blkparse로 -f 옵션을 사용하여 출력 형식을 포맷팅 하면 hex형태로 Packet data를 얻을 수 있다고 문서에는 나와있는데

실제로 사용해 보면 출력되지 않습니다...

다른 PID나 timestamp address 등의 정보는 잘 출력 되는데 "%P"포맷을 사용하는 Packet data만 출력이 되지 않습니다.

구현된 소스코드를 살짝 뜯어봐도 얼추 구현은 되어 있는 것고 Packet data의 길이가 0이면 출력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데

이제 항상 길이가 0이어서 출력을 안하는 건지 뭔가 구현이 잘못된 건지 확인이 어렵습니다...

jinudean의 이미지

centos iptable 관련 질문

centos 6.2로 실습중입니다.
수업중에 나온 질문인데요 미국에서 공부하느지라ㅠㅠ
/sbin/iptables 와 /etc/sysconfig/iptables 의 차이점이 뭔가 하는 질문입니다.
설명 부탁 드립니다.

whs9400의 이미지

svn 설치방법좀 알려주세요..ㅠㅠ

svn을 구축하다가 안되서 git도 구축을 해봤는데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visualsvn으로 했는데도 안되고.. 그래서 지금 여기에 글을 올립니다.
혹시 가능하신분 계신가요??...

izmit의 이미지

iscsi multipath 문제

안녕하세요. 늘 구경만하던 초보회원 질문 올려봅니다.

CentOS 6.6 에서 iscsi 타겟 둘을 multipathing 하던 중 sda가 maptha 로 설정되어 wwid uuid black listing 하여 제거했으나 여전히 멀티패싱이 되지 않습니다.

xoduddk123의 이미지

eth0과 wlan0을 동시에 사용 할 수 없나요?

안녕하세요.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궁금증이 있어서 글남기게 되었습니다.

보통 리눅스에서는 Ethernet을 eth0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도 마찬가지로 eth0이 Etherent으로 인터넷으로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저는 wlan1(USB WiFi)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wlan1은 wpa_cli를 이용하여 사용가능한 AP에 접속하여 dhclient로 DHCP서버에서 자동으로 IP도 할당받아왔습니다.

그런데 막상 IP를 받아오고 이용하는데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바로 eth0이 up인 상태에서 wlan0을 사용하면 wlan0을 이용해서 통신을 못한다는 점인데요.

뭐 간단하게는 eth0을 down했다가 다시 up하면 wlan1으로 통신이 가능하여 ping도 날라가는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eth0을 통해서 통신이 안되더군요.

인터넷에 나와있는 문서들도 살펴보니 무선(wlan)을 사용할 때 eth0을 down을 하고 사용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