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red10won의 이미지

웹 + 응용 SSO

웹[g/w]php + 응용[erp랑] vb.net SSO를 할려구 합니다.

DB테이블은 따로 있어도 서버 한대두고 소켓통신하면서 세션을 관리하면 되는데..

문제는 그 erp를 배포할때 sso관련 모듈을 포함해서 배포해야되나요?
결국 Activex는 아니지만 그런 형태로 밖에 구현이 불가능한가요 ?

hyde1004의 이미지

에디터의 자동완성(?) 기능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요즘 에디터는 매우 편리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를 하나만 입력해도, ""가 생기거나
( 를 입력해도, 대응되는 )가 생겨납니다.

그런데 그러한 자동완성(?)기능에서 다음 줄로 넘어가려면 어떻게 해야합니까?

예를 들면, jedit에서 ' " '만입력해도 대응되는 ' " '가 생겨나서, 내용을 입력하는데요.
어떤 키를 누르면, 다음 줄로 넘아가거나, 그 자동완성된 부분 바깥쪽 또는 줄의 끝쪽으로 이동하던데요.
어떤 키를 눌러야 하나요? 단순히 엔터를 입력하면, ' " '가 다음줄로 이동하더라구요.

vollfeed의 이미지

멀티 터치 스크린이 탑재된 넷북에서 사용할 OS좀 추천해주세요

Lenovo Ideapad S10-3t 사용자입니다.

기본으로 오는 윈도우가 넘 느려서

우분투로 갈아 탔는데요.

터치스크린을 더 잘 활용할수 있는 환경으로 가고 싶습니다.

우분투에서는 Touchegg는 되는데, easystroke는 안되더군요.

그리고 좀 느립니다.

크런치뱅도 써봤는데,

그 가벼운 속도는 최고더군요 ㅎㅎㅎ

easystroke나 touchegg가 안된다는게 안타까웠습니다.

저는 소프트웨어는 별 필요없습니다.

거의 크롬 OS처럼 사용하게될 가능성이 높으니까요.

어떤 OS에 어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터치스크린을 제대로 활용할수 있을런지

추천좀 해주세요 ^^

yistee의 이미지

linm설치요

우분투서버에 linm설치하려고 합니다. 다음과 같이 입력했더니 설치가 안되요. 설치방법은 http://wiki.kldp.org/wiki.php/LinM에서 참고 했어요.

root@server:~# wget http://kldp.net/projects/mls/download/linm_0.8-1_amd64_ubuntu_7.10.deb && sudo dpkg --install linm_0.8-1_amd64_ubuntu_7.10.deb

imanuel의 이미지

usb로 리눅스 설치하면 부팅이 안될수도 있나요?

넷북에 우분투 설치를 수십번 반복해봐도 도대체 부팅이 안되네요

CMOS 지나가고 화면이 까맣게 되고 _ <- 요것만 깜박거리고 다음 진행이 안돼요

참고로 넷북 USB설치중 패키지 설치하는 부분에서 "CD-ROM에서 읽는중" 인가 거기서 ATP 에러였나 뜨더라구요

설치가 완전히 안되어서 그런건가요?

저 에러는 도대체 해결이 안되네요

어쩌죠? 리눅스 너무 해보고 싶은데

아님 다른 리눅스 추천해주실래요? 초보에요.

GRUB 설정을 하면 부팅이 될까요?

설정법도 몰라요 자세히 알려주심 감사하구요..

지금은 그냥 XP 깔았는데요 멀티부팅 하고싶네요

cleansugar의 이미지

파이어폭스 검색 폼에 최근 검색어 표시되는데 기억되지 않게 하는 법 있을까요?

파이어폭스 검색 폼에 최근 검색어 표시되는데 안나오게 하는 법 있을까요?

설정에는 기록 지우는 기능만 있고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기능은 없습니다.

공공장소에서 파이어폭스 쓸 때 안보이게 하고 싶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telnet binding error on Ubuntu

안녕하세요
telnet binding error 가 나고 있는 상황인데 어디가 문제 인지 알수가 없어서 고생하고 있습니다..;ㅈ;

$nmap 127.0.0.1
Starting Nmap 5.00 ( http://nmap.org ) at 2011-12-15 13:33 KST
Interesting ports on localhost (127.0.0.1):
Not shown: 995 closed ports
PORT STATE SERVICE
23/tcp open telnet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telnet binding error on Ubuntu

안녕하세요
telnet binding error 가 나고 있는 상황인데 어디가 문제 인지 알수가 없어서 고생하고 있습니다..;ㅈ;

$nmap 127.0.0.1
Starting Nmap 5.00 ( http://nmap.org ) at 2011-12-15 13:33 KST
Interesting ports on localhost (127.0.0.1):
Not shown: 995 closed ports
PORT STATE SERVICE
23/tcp open telnet

raymundo의 이미지

[완료] vim 에서 일본어 글꼴과 한글을 동시에 보기 위한 옵션이...?

안녕하세요,

일본어로 주석이 달려 있는 펄 스크립트를 수정하려고 했는데
( http://advent.perl.kr/2011/2011-12-14.html 여기에 있는 코드인데 내용이 재밌으니 구경하세요^^; )

노트패드로는 "나눔고딕코딩" 글꼴로도 잘 보이는데, gvim 으로는 영 잘 안 되더군요.

자세한 상황은 스샷을 떠서 첨부했습니다만,

1. 메모장에서는 제대로 보이는 걸 확인 후,

2. 분명히 UTF-8로 저장을 했음에도 gvim으로 열어보면 fileencoding 이 cp949 로 잡혀 있고요, 이걸 뒤늦게 utf-8로 바꾼다해도 화면에 보이는 데 차이가 있진 않고

3. gvim의 encoding 옵션이 cp949인데, 이걸 utf-8로 바꾸면 그때부터 보이긴 합니다만

4. 나눔고딕코딩 글꼴에서는 한글만 보이고, 굴림체에서는 일본어 가나 중 일부가 깨지고

smnra의 이미지

Linux 기술지원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가끔와서 글들만 보고 갔었는데 글은 처음 올려보네요^^
어느 게시판에 써야할까 고민하다 Q/A게시판이 나을 것 같아서 여기에 올립니다.

다름이 아니라 저는 NT기반에서 주로 개발과 시스템관리를 해왔습니다.
이번에 Linux 플랫폼을 도입 하게 되어서, 상대적으로 레퍼런스가 많은 RedHat계열로 가려고
생각 중에 있습니다만 다음 사항을 고민 중에 있습니다.

1) RHEL 정식 라이선스+기술지원을 구매하여 운영
2) CentOS, Ubuntu서버 등 무료 배포판 도입 후 기술지원업체를 컨택하여 운영
3) 그 밖의 방안(?)

현재는 신규도입하려는 Linux서버가 몇 대 안 되기 때문에, 1번 사항으로 가려고 생각중입니다만
차후 서버 대수가 늘어나게 되면 비용이 만만치 않을 것 같아서 고민입니다.

지금 현재 NT서버는 150여대 가량 운영중입니다.
차후 플랫폼을 NT에서 Linux로 마이그레이션 하는 것도 고려할 사항이라
이번에 첫 단추를 잘 끼워보려고 합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