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zipsinworm의 이미지

Linux 초행자..

오랜만에 글 올려보네요.
근 2개월간 정신적 방황을 하고 아직도 헤메고 있습니다.
Linux를 공부하려고 여러가지 시도를 해보았지만,
어디부터 파고들어야 할지 감이 안옵니다.
게다가 요즘엔, 무기력증이라고 해야하나..? 슬럼프라고 해야하나..?
회사에서도 일하기 싫고 삶이 무료한 느낌까지 겹쳐,

ahsan의 이미지

[완료]cp로 카피하니 -bash: /bin/cp: Argument list too long

안녕하세요.
두대의 기계 사이에 nfs로 연결하여 파일복사를 해야 하는데
화일의 갯수가 4만개 정도 밖에 안되는데도 cp를 사용하면
-bash: /bin/cp: Argument list too long
이라는 메시지가 나오고 아무런 일이 안 일어납니다.

sysctl.conf에 fs.file-max=1000000
ulimit -n 1000000로 해도 안됩니다.

foooo의 이미지

레드햇 계열의 콘솔 명령어 setup 같은 건 없나요?

안녕하세요. 데비안 새내기? 입니다.

래드햇 계열의 콘솔모드에서 setup 명령어를 유용하게 사용했는데..
데비안에서는 setup과 같은 명령어는 없을까요?

hjkimno1의 이미지

tape 장치검색이 안되요.. 어떻게 해야하나요?

일단
os: Red Hat Enterprise Linux ES release 4 (Nahant Update 3) , 2.6.9-22.ELsmp
서버 : lg ibm x235
테잎장치명 : ibm 3510 dds4 입니다.

장치추가후에 재부팅을 하긴했는데 콘솔이 없어서 kudzu 실행해서 드라이버잡는창이 떴는지는 모르겠습니다.

nike984의 이미지

MS Office 2007 이쁘군요 **^^**

제 컴터가 하도 낡고 윈도선 속도도 너무 느려서 리눅스서
openoffice로 만족하고 살고 있었는데, 친구넘이 office 2007이
그렇게 이쁘고 좋다고 연신 자랑을 하더군요.
그래서 결국 virtualbox로 깔아봤습니다.
다행히 가상 머신안이라도 속도도 빠르고 잘돌아가더군요. ^^v

김일영의 이미지

디렉토리 내용을 비교하고 싶습니다

두 디렉토리가 있는데 하나는 다른 쪽을 복사해서 만든 것이고 거기다 파일, 서브디렉토리 등을 추가한 상태입니다. 서브디렉토리에도 다시 파일이나 서브디렉토리가 추가되었습니다.
두 디렉토리를 서로 비교해서 달라진 내역을(서브디렉토리 포함) 쭉 뽑고 싶은데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DebPolaris의 이미지

compiz 설치시 테두리 창이 사라지

안녕하세요... 데비안에 있는 compiz를 설치했을 때는 문제 없이 됬습니다... 하지만 관리메뉴가 없는지라

또 좀 더 많은 효과를 사용하고 싶어서 compiz-fusion을 설치했습니다.. 물론 우분투꺼는 아니였구여

http://fredforfaen.wordpress.com/2007/07/09/installing-compiz-fusion-in-debian-sidsidux/

vanessa의 이미지

Squid 2.6버전 원래 이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제가 FC6에 Squid를 설정하였는데요,

인터넷이 되지 않는 환경이라 테스트용으로 웹서비스도 구동 중입니다.

제가 알기돈 FC5에 있던 squid는 접속이 안되는 사이트여도 프록시에서 거부되는

주소나 아이피면 프록시 오류가 뜨는데 이 2.6버전은

delphi22의 이미지

root로 온 메일을 읽을수 있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센드메일을 사용중입니다..
문제는 ROOT로 메일이 잔득 싸여 있습니다...
내용을 확인하고 십습니다~

혹시 아웃룩에서 셋팅 할수 있도록 하는 방법좀 부탁 드립니다~

일반적으로 메일 계정 셋팅 하는 식으로 하니.. 접근이 거부 되고 있습니다..-_-;;;;

아시는분 부탁 드리겠습니다~

ydhoney의 이미지

세컨드 라이프의 국내 개발 참여자 분이 있으신지요?

세컨드 라이프가 오픈소스화를 선언한 이후, 많은 오픈소스 개발자들이 실제로 세컨드 라이프 개발에 참여를 시작했습니다.

물론 세컨드 라이프의 오픈소스는 core부가 아니라 주로 client부를 대상으로 오픈소스화 한 것으로, 기존의 오픈소스 방식과는 약간은 궤를 달리 하고 있습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