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hexagonwin의 이미지

부산 DebConf 24 참석하시는 분 계신가요?

원래 이스라엘 하이파에서 예정됐었는데 전쟁 여파로 인해 부산에서 할 예정이라 합니다.

이번 DebConf24에 발표하거나 참석하실 분 계신지 궁금하네요.
시간이 되면 가보려 하긴 한데.. 한다면 처음이라 언제 갈지도 잘 모르겠군요.

https://debconf24.debconf.org/

Prentice의 이미지

토론장 버그 제보

안녕하세요,

https://kldp.org/node/36303

요 글에 답글을 달아도 답글이 보이지 않는 문제가 있는 듯합니다.

요 글은 “설치 및 활용 QnA” 토론장이 parent(?)로 잡혀 있는 듯한데 또 막상 거기 가보면 안 보인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검토 부탁드려도 될까요? 감사합니다.

print Hello World@Google의 이미지

리눅스 스마트폰인 pinephone이나 페어폰도 해외직구 규제 받을까요?

안녕하세요 여러분
저는 실무에서도 리눅스를 사용하고, 또 리눅스 에호가 랍니다
근례에는 ubports나 postmarketos 등이나 libream 5 등의 스마트폰용 리눅스나
그것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기기에 관심을 가지고 있답니다.
하나 궁금한게 근례 KC인증을 받지 않는 전자기기 품목 중 배터리 관련 규제에서
궁금증이 생겼는데 Pine64의 PinePhone 시리즈나, 완전 분해 조립이 용의한 페어폰 등의
스마트폰에 대해서는 규제가 들어갈것 같나요? 아무래도 둘다 배터리 접합식 보단
쉽게 배터리를 포함한 대부분의 부품을 교체 할 수 있도록 설계되있으니 문재가 될까요?

세벌의 이미지

근로자의날

5월1일근로자의날.
똑똑한 알바.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4282570i

study의 이미지

리눅스 모듈 버전은 어떻게 정해지나요?

리눅스 소스를 다운로드 받아서, 컴파일하고 make module_install을 하면 /lib/modules/5.15.15-g2xxxxx-dirty라는 디렉토리가 생성되는데요

이 이름이 어디서 정해지는가 해서요
원하는 것은 /lib/modules/5.15.15 로 만들어지고 그 디렉토리안에 모듈이 생성되도록 하고 싶습니다.
조언 부탁드릴게요

academic의 이미지

리눅스와 디바이스간의 VPN을 구현할 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리눅스 서버와 디바이스간에 VPN으로 통신을 구현해야 하는데요,
디바이스 개발자가 VPN에 대해서 전혀 아는 바가 없어서 제게 조언을 구하는 상황입니다.

저도 아는 바가 없는 건 마찬가지라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감이 잘 안 잡히네요.
고수님들이 살짝 조언 한마디만 해주셔도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현재는 리눅스 서버와 디바이스 사이에 https로 데이터를 주고받고 있습니다.
디바이스는 OS 없이 펌웨어로 구현되어 있고요.
이 걸 VPN을 통해서 하게끔 바꿔야 하는 상황입니다.

디바이스 갯수가 많다보니 VPN 상용 솔루션을 쓰기엔 부담이 되어 소프트웨어적으로 자체 구현할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고 있습니다.

디바이스 쪽에서 비교적 쉽게 VPN 클라이언트를 구현하려면 어떤 VPN 방식이 좋을까요?

그냥 디바이스에 OS를 탑재하고 OS의 VPN 기능을 이용하는게 답일까요?

관련된 내용이라면 어떤 말씀이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나빌레라의 이미지

40대가 되어 예전 쓰레드를 읽어보니 세상이 조금은 변했습니다.

https://kldp.org/node/123397

KLDP의 인기 쓰레드 중 하나입니다. 댓글이 10년에 걸쳐 달려서 변화를 읽어 볼 수 있기도 하고요.

저도 40대가 된지 몇 년이 지났습니다. 오랜만에 생각이 나서 해당 쓰레드를 쭉 읽어 봤습니다. 그리고 나서 든 생각은 세상이 그래도 조금은 변했구나였습니다.

해당 글이 2011년에 올라왔으니 얼추 13년전 글이네요.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 말이 그냥 옛날 속담은 아닌가봅니다.

그때는 정말 그랬습니다. 한국에서 개발자의 마지막 종착지는 치킨집이라는 자조섞인 농담이 농담처럼 들리지 않던 시절이지요. 40대가 되면 자의든 타의든 현업에서 밀려나는 것이 당연하던 때였습니다. 실제로 그렇지 아니하였다해도 많은 사람들이 두려움을 가졌습니다.

물론 지금이라고 완전히 그 두려움이 사라진 세상이라고 할 순 없습니다. 그러나 13년 전에 비하면 그래도 개발자의 수명이 더 길어진것은 사실입니다.

nahdd123의 이미지

돋움 글꼴이 이상하게 보입니다.

파일에 첨부한 그림처럼 이응이 이상하게 표시됩니다.
출력을 하면 화면과 똑같이 이상하게 출력되구요.
돋움만 그런 거 같은데 고칠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HDNua의 이미지

자신만의 S/W 언어를 트레이닝시킨 다음 특정 의도대로 코드를 생성해내게 할 수 있을까요?

프로그래밍 QnA에 올릴까 고민하다가,
이 주제가 프로그래밍인가 싶어서 자유 게시판에 올려봅니다.
문제가 된다면 그 쪽 게시판에 새로 올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자신만의 코딩 언어를 트레이닝시킨 다음,
특정 의도대로 코드를 생성해내게 하는 프로그램을 개인도 만들 수 있을까요?

ChatGPT에게 버블 소트를 C로 구현하는 코드를 요청하면,
그에 맞는 C 코드를 생성해내는 게 있잖아요.
그런 거를 제 자신만의 코드에 대해서도 해보고 싶습니다.
입력 언어 데이터는 양질로 충분히 가지고 있습니다.

간단하게만 설명드리면,
Assembly 비슷한 언어를 스크립팅 언어로 제가 쓰고 있는데,
이 언어를 임의로 막 섞어서 해석기에 넣고
에러가 발생하는 지점이 있는지 테스트해보고 싶은 상황이에요.

MNIST를 써서 GAN으로 이미지 Generation 하는 예제는 따라해보았는데요,
입출력을 이미지에서 텍스트로 바꾸면 되겠다는 느낌은 있는데
아는 게 너무 없어서 쉽지 않습니다.

tommmm의 이미지

인디게임개발환경 연구 참여자 모집

안녕하세요.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에서 '인디 게임 개발자의 개발 환경'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다른 업무와 구분되는 게임 개발만의 특수성을 살펴보는 연구이며,
이에 인디게임 개발자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구글폼 링크: https://forms.gle/Eucx6Y4Ys7x93JjZ9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