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parkon의 이미지

구글 크롬 메일러에서 한글이 깨집니다.

윈도우 구글 크롬에서 회사 메일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다른 회사원들은 아무도 문제가 없는데 저만 메일을 쓸 때 한글이 깨지는 군요.

증상은 글자를 치면 앞글자의 자모 일부 혹은 글자 전체가 없어져요.

예를 들어 "안녕하세요"를 그냥 치면

"ㅏ녀ㅅ요" 뭐 이런식으로 됩니다. 쓸 때마다 깨지는 증상이 조금씩 다르고요.

그래서 반복해서 여러번 치거나 의미없는 글을 먼저치고 이어치고 난 다음 다시 편집해서

메일을 씁니다.

영어로 쓰면 아무 문제 없는데 한글만 그러네요. 혹시 해결책을 아시는 분 계실까요 ?

jick의 이미지

[광고?] Jupyter notebook에서 쓸 수 있는 그래프 라이브러리

맨날 답글만 달다가, 글을 쓰는 건 오랜만이네요.

실은 제가 요즘 심심해서(??) 오픈 소스 Python 라이브러리를 하나 만들었습니다. Jupyter notebook에서 맨날 plotly나 matplotlib으로 그래프를 그리다가 데이터가 쫌만 커져도 반응 속도가 느려지는 게 답답해서, "최대한 빠른 속도로 그래프를 그려 주는 방법은 없을까" 하고 고민하다가 만든 결과물입니다.

예쁜 건 상관없고 최대한 빨리 그려주는 게 목표라서 이름이 "크로키"입니다. :D

https://github.com/yongjik/croquis

아주 기본적인 기능밖에 없지만, 한번 둘러봐 주시고 괜찮아 보이면 많이많이 써주세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메모리 사용률, 방화벽 질문

centos 를 쓰고 있는 서버에 메모리 사용률이 너무 높습니다.

1. free -g 해서 보면 used/tatal 이 90% 가 넘어 90%넘게 사용 중인 것으로 나옵니다.
buffers와 cached 를 빼서 (used-buffers-cached)/total 로 비율을 구하면 좀 떨어지긴 하나,
그래도 다른 서버에 비해 메모리 사용률이 현저히 높은 상태입니다.

어떤 프로세스가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나 싶어 top 으로 확인해보아도 메모리를 90%넘게 사용할 만한
프로세스는 확인되지 않는데요, 리눅스에서 캐시 영역으로 잡아두는 부분 때문에 그런 것 같습니다.
(그걸 계산해도 여전히 차이가 나긴 합니다.. ㅠ)

리눅스에서 캐시 영역으로 꽤 많은 메모리 자원을 잡고 있는데 문제가 없을까요?(다른 서버도 동일하게
centos 사용 중 인데 왜 이 서버만 그럴까요..)

lalupo20의 이미지

회원관리프로그램 기능을 추가해야해서 윈폼 좀 만져봐야 하는데

한 1년만에 C# 잡았더니

윈폼 만드는법 가물가물 하네요.

만들어져 있는거 수정은 하겠는데 새로 파일 하나 만드려니까;;

그래서 기본서적 꺼내왔습니다;

여러분은 안하던거 갑자기 잡아도 잘 적응하시는 편인가요?

add3316의 이미지

VLAN 이름에 관하여..

VLAN 설정할 때, 만약 eth0.100 이면 .100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lalupo20의 이미지

회원관리프로그램...

을 개발했는데

처음에는 사진 db에 넣으면 느리다고 해서

서버에 이미지만 저장하고 주고 받게 만들었는데

생각해보니 얼굴사진 단 한장때문에 서버 두는거 안좋은 방법인거 같아서

그냥 db에 넣어버렸습니다.

전혀 안느리고 잘 돌아가네요.

db가 점점 늘어나다보면 느려진다는 말인거 같은데

얼굴 사진 하나 들어가는 정도는 회원수가 많아져도 괜찮겠죠?

김민준@Naver의 이미지

리눅스(우분투) 마운트 관련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리눅스 서버 관리를 맡고 있는데,
구축해 준 서버를 받아 그냥 사용자 계정 추가 및 권한 관리 및
필요한 패키지들 설치 정도만 하고 있어서,
리눅스에 대해 기본적인 개념이 없는 초보입니다..

그런데 /dev/sdb4를 보시면 95%나 차지하고 있어서 용량 문제가 있는 것 같더라구요.

현재 /dev/sda1이 /media/data1에 마운트 되어 있는 것 같아서(가장 큰 용량을 왜 저기에 마운트 해놓았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저것을 언마운트하고 /에 마운트하여 / 용량을 늘리고 싶은데요.

제가 원하는 작업이
단순히 /dev/sda1을 /media/data1로부터 unmount 명령어로 언마운트하고,
mount 명령어로 /에 마운트하면 단순히 끝나는 작업인지 궁금합니다.

자칫 잘못했다가 서버가 망가지면 어쩌지 싶어서 이렇게 가입한 후 여쭤봅니다..
답변 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밑에는 df -h 명령어로 나온 결과입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왕 초보입니다..

CentOS에 Network적인 부분에서 왜 굳이 ifcfg-<장치명> 만 수정하면 되는데 왜 NetworkManager를 사용하는 것일까요... 또 이 NetworkManager의 중요한 포인트들도 알려주시면 정말정말 감사하겠습니다..

vagabond20의 이미지

C programming 그리고 Web programming 단편적인 비교

좁고 깊었던 C programming 에서의 문제 해결에 드는 노력이나
얕아보이지만 그 관장하는 범위가 엄청나게 넒은 Web (앵귤러) programming 에 들어가는 노력과 시간이나
힘든것은 마찬가지군요, 지금까지는.

어쩌면 여기 오시는 Web programming 전문가들께서는 그러실것 같습니다.
'후훗 - 쫌 더 지나봐봐! 깊고도 넓을걸! ^^'

아직까지는 해볼만 합니다. 물론 새벽에 일어나서 이것저것 다 해 보고야 알아내는적이 많습니다만.

하다 하다 힘들면, 예전부서로 돌아가서 다시 그일을 할지도 모른다고 친구에게 농담식으로 던졌는데...
남자가 칼을 꺼냈으면 무라도 베야지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