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wltjd666의 이미지

리눅스 가상머신과 WSL의 차이, 도커?

안녕하세요. 요즘 리눅스 환경을 설정하려고 이것 저것 알아보고 있는데요.
너무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 드려요.

리눅스를 설치하는 방법은 제가 이해한 바로는 이렇습니다.

1. 컴퓨터 자체에 운영체제 설치(멀티 OS)
2. 가상머신으로 리눅스 구동하기
3. 윈도우 WSL2로 리눅스 사용하기..

이렇게 세가지 정도 알고 있고, 1번과 2번은 확실하게 이해했고, 2번은 직접 해보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3번 WSL2가 조금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어요.

1. 여기서 WSL은 리눅스를 구동할 수 있는 가상머신이라고 볼 수 있나요?
2. 가상머신이라고 볼 수 있다면, 2번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요? 왜 메모리 측면에서 더 좋나요?

3. 우분투 터미널을 사용하려면 무조건 WSL과 연동되어야 하는 건가요?
4. 도커를 사용하는 이유를 잘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컴퓨터 메모리를 아끼기 위함인가요?

skyinfo34의 이미지

Ubuntu 18.04 DHCP server 관련 (client가 remote에 있는 환경)

안녕하세요.
Ubuntu 18.04 에서 DHCP server 를 구동하려 합니다.
그런데, direct network이 아니라, remote network 환경입니다.
따라서, 서버와 client 사이에 relay agent가 있는 구성입니다.

DHCP server ----------- DHCP Relay Agent------------- DHCP client
(10.1.1.1/24) (10.1.1.2/24) (10.100.100.1/24) (10.100.100.0/24)
(10.200.200.1/24) (10.200.200.0/24)

hydrangeanroses의 이미지

시스템 프로그래밍 help!!!

저번에 c, c++로 무엇을 할지 질문드렸던 질문자인데여,
뭐할지 고민하다가 동아리에서 리버싱 기초부터 배우고 있긴해서 시스템 프로그래밍
배우면 재밌을 것 같아서 시스템 프로그래밍으로 결정했습니다.
혹시 시스템 프로그래밍 접해보긴 괜찮은 교재나 사이트가 있을까요?
웬만하면 읽을 수 있는 교재로 부탁드립니다 ㅎㅎ..
운영체제는 어떤게 괜찮을 까요? Linux??
그리고 언어는 c, c++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 ㅎㅎ...
부탁드립니다!

byungjun4458의 이미지

레드헷 리눅스 재부팅시 서비스 기동 실패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지금 아주 특이한 상황이 있어서 도움을 받고자 글을 작성해 봅니다.

RedHat 8.1 / RedHat 7.7 대상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며
재기동시 특정 서비스 시작시 실패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수동으로 서비스를 시작하면 정상적으로 기동됩니다.

제일 처음 확인한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1. runlevel 명령어로 현재 실행 중인 run level 확인
2. cd /etc/rc.d/rc[런레벨 번호].d 이동 (e.g. cd /etc/rc.d/rc3.d)
3. ls -al | grep 서비스 이름 검색
4. SXX서비스이름 형태의 파일 존재 여부 확인 (시작 문자열이 S인지 확인 및 XX 번호 확인)
5. 해당 파일 실행 여부 확인 절대 경로 및 상대경로 모두 실행 테스트 (e.g. ./S99서비스 이름 start , /etc/rc.d/rc3.d/S99서비스 이름 start)

zip9seok의 이미지

리눅스 netstat 명령어의 0.0.0.0 주소의 의미

안녕하세요 netstat 명령어에서 Local Adress와 Foreign Address 의 0.0.0.0 주소 의미가 궁금합니다

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PID/Program name
tcp 0 0 0.0.0.0:111 0.0.0.0:* LISTEN 1/systemd

0.0.0.0은 모든 IP 주소를 의미한다고 알고 있는데요

systemd 프로세스 기준으로 해당 netstat 결과를 해석하면

내부의 모든 IP의 111포트가(Local Address, 0.0.0.0:111) 외부의 모든 IP의 모든 포트에 대한(Foreign Address, 0.0.0.0:*) 요청을 기다리고(Listen) 있다

이 말이 맞나요?? 근데 자신의 서버의 모든 IP라 하면 각 인터페이스에 설정한 IP 전부를 뜻하는 걸까요??

해석을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zip9seok의 이미지

리눅스(centos7) nfs 공유디렉토리의 quota 설정 방법 아시는분 계신가요?

nfs서버의 공유디렉토리에 대한 quota 설정 방법 아시는 분 계시나요?(nfs 서버,클라이언트 모두 centos7 입니다)

클라이언트 서버의 /etc/fstab에 nfs공유디렉토리에 대한 usrquota나 usrjquota 등 옵션을 추가 할 시 전혀 적용되지 않고 리부트 시 마운트도 되지 않습니다

방법은 있는거 같은데 도무지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아시는분 도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zip9seok의 이미지

Disk I/O에서 I(input), O(output)의 의미에 대해...

안녕하세요 Disk I/O라는 용어에서 I(Input), O(output)의 의미에 대해 헷갈리는게 있어 질문드립니다.

저는 Input은 쓰기(write),저장

Output은 읽기(read), 불러오기의 개념으로 알고 있는데요

여기저기 찾아보니 이와 반대로 설명한 글도 있고해서 뭐가 맞는건지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알고있는게 맞다면 리눅스 iostat 명령어에서

kB_read/s는 디스크에서 초당 output(읽기, 불러오기)한 kb용량

kB_wrtn/s는 디스크에서 초당 input(저장,쓰기)한 kb용량으로 보면 될까요??

hydrangeanroses의 이미지

c++,c 언어로 시도해볼만 한 것

지금 c, c++ 문법 독학을 거의 끝내가고 c++로 자료구조, 알고리즘 공부하려고 하는데 이것과 같이 해볼만한 것좀 추천해주세요 ㅎㅎ 문법이나 알고리즘 공부하는 것보다 게임이나 운영체제 같이 c, c++로 제가 직접 해볼 수 있는 것들로요! 이왕이면 쉽게 빠져들만하게 재밌는 걸로요,,ㅎㅎㅎ 부탁드려요!!!

zip9seok의 이미지

리눅스 top 명령어 load average와 %CPU 값에 대해...

안녕하세요 고수님들 top 명령어에 대해 모르는부분이 좀 있어 질문드립니다.

CPU 사용률과 load average 값을 정확히 보는법을 도무지 모르겠어서요

서버 CPU 코어는 쓰레드까지 포함해서 총 8코어라고 가정하고 질문드립니다.

1. load average에서 다른 글이나 동영상을 보면 싱글코어 기준으로 1.00으로 나올 시 cpu 사용률이 100%라고 하더라구요

그럼 8코어면은 8.00이 CPU 100% 상태인데 실제로 보면 수치가 100이 훌쩍 넘어가거든요

정확히 어떻게 봐야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2. %CPU의 최대값은 CPU 코어수에 따라 달라진다고 알고 있는데요 8코어면 최대값이 800%라고 생각하고 값을 봐야하나요??

100% 단위로 보고 싶으면 나누기 코어수해서 보면 될까요??

zeta의 이미지

KT DNS 서버에서만 접속이 안되는 문제

안녕하세요, 가입 후 첫 글입니다.

대략 한 달 전부터, GitHub Pages에서 호스팅 중인 제 블로그의 커스텀 URL을 KT DNS 서버가 '잊어버린 것' 같습니다.
그 전까지는 잘 되었습니다.

제 블로그의 URL은 zetablog.ml이고, github.io URL로 접속하면 자동으로 리다이렉트 되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저 커스텀 URL은 Freenom이라는 사이트에서 대여받아서 쓰고 있고, Cloudflare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Facebook 생활코딩 커뮤니티에 도움을 청하였더니, Cloudflare 계정을 새로 파서 새로운 Cloudflare nameserver를 할당받았더니 되었다는 분의 말씀을 듣고 그렇게 해보았으나 아직 해결이 안 된 상황입니다.

DNS를 수동으로 1.1.1.1 같은 값으로 설정하면 잘 접속됩니다.
실제로,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