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gksrlf2ek의 이미지

학생이 참여할 만한 프로그래밍 대회나, 알고리즘 대회는 뭐가 있나요?

대학생들 말고 중고등학생들이 참여할 만한것이요.
이왕이면 한국에서 하는 걸로 알려주세요. ㅎ
물론 외국것이라도 알고계신게 있다면 댓글에 쏟아주세요~~

queenmedley의 이미지

[질문]HDMI 연결된 모니터는 밝기조절이 안되나요?

데스크탑에 아치리눅스설치하고 모니터를 HDMI로 연결해서 사용중입니다.
cpu는 인텔 하스웰이고 gpu는 내장 HD4600을 사용하고 있구요..
/sys/class/backlight/acpi_video0/brightness 에 값을 변경해도
밝기조절이 안되고
xbacklight 라는 명령어를 실행하면
No outputs have backlight property
라는 메시지만 나옵니다.
이걸 해결해볼려고 구글링을 한달째 하면서 커널 파라미터에 이저저거 값 넣어보고 해도안되는상황에서..
아래 글을 발견했는데요..

https://bbs.archlinux.org/viewtopic.php?pid=1383068

bullgom의 이미지

재택근무 리눅스 SE 구합니다

서버에 문제 발생시 즉시 연락 가능한 리눅스 SE 경력 7년이상, 네트워크 보안 개념이 투철하신 분을 원합니다

업무내용: 영어학원 서버 관리

관리비용: IDC 서버관리비 보다 더 드리겠습니다.

전화: 010-오육이공-육2공5

maxu@daum.net

gksrlf2ek의 이미지

맥북 커맨드 s로 부팅하는게 FreeBSD 인가요?

맥북에서 부팅할때 계속 커맨드+s 키 누르면 검은 커맨드라인 뜨면서 sh 쉘 뜨는데 이거 FreeBSD인가요?
OSX가 FreeBSD기반이니 혹시 그렇지 않을까해서요;

abcd011의 이미지

리눅스 서버용? 데스크탑용? 엔터프라이즈? 기업용? 도와주세요..ㅠ

안녕하세요
리눅스를 배우고자 하는 초짜입니다

centos를 공부해보고 싶고 unix도 만질 기회가 생긴 생초짜인데요..

리눅스 중에서도 서버용?, 데스크탑용?(개인용 이라고 보면 되는지), 기업용? 이렇게 있는데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개인용은 GUI가 있고, 서버용은 GUI대신 텍스트(쉘)상태고 주로 웹서버,ftp서버 등 서버용도로 쓰이는게 맞는지요..

엔터프라이즈는 또 어떤 특징이 있는지..

이것외에도 다른 용도의 리눅스들이 있는지 여쭙고자 글을 올려봅니다..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__)

yellowstone의 이미지

빙 검색엔진에 kldp 사이트 등록만 하는게 어떨까요?(빙봇접근은 차단)

"사이트 관리자에게 연락하기"에 글을 보내려고 하는데, 사진첨부가 안되서 게시판에 올립니다.
운영자님 귀찮게 해서 죄송 합니다
어제 빙 사이트에 검색이 안된다고 글을 올렸습니다.
빙봇이 트래픽을 많이 차지 한다고 하시면 사이트 등록만하시고, 빙봇 접근을 막으시는게 어떨까요?(첨부파일 참고)

soirony의 이미지

요새는 리눅스 커널 디버깅 어떻게 하나요?

KGDB를 계속 검색하고 있는데 옛날 버전 커널만 있고 최근 버전은 없는걸로 보아 이제는 안쓰는 것 같고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디버깅 툴은 소스코드를 한줄씩 분석하는 것은 안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요새는 어떤 방식으로 하는 지 궁금합니다

yukariko의 이미지

sublime text 사용하시는분 있으신가요?

얼마전에 sublime text라는 에디터를 알게되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로 파이썬이나 ftp로 웹프로그래밍 할때 사용하고 있는데

혹시 C/C++ 개발용으로 사용하고 계신분도 있으신가요?
그렇다면 다른 C/C++ IDE에 비해 편한점이라던가 유용한 기능이라던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gksrlf2ek의 이미지

파이썬 커뮤니티

파이썬 커뮤니티 중에서 지금 좀 활성화되어있는 곳 있나요?
python.or.kr은 지금 안되서 페이스북 그룹으로 옮겼던데
그것도 가입을 안받아주고 ㅠㅠ
좀 알려주세요~~

ed4kim의 이미지

FreeBSD를 설치해봤습니다.

이때까지 컴퓨터를 써오면서 대부분 윈도우 계열만 쓰다가 최근 리눅스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어느정도 리눅스나 유닉스 시스템에 눈에 들어오니까 다른 OS도 설치해보자 라는 생각에 가상머신에 FreeBSD 10버전을 받아서 설치해봤습니다.

예상은 했지만 CUI 입니다. 'BSD라서 GUI가 없나?' 라는 생각으로 이것저것 둘러보는 중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그룹이 wheel 그룹인 것을 발견했습니다.

보통 리눅스 계열은 기본적으로 root:root이다보니 wheel 그룹을 처음 보고는 이건 좀 다르구나 싶었습니다.
혹시나 BSD의 wheel 그룹이 어떤 의미인지 알고싶어서 구글링 해도 wheel 그룹에 관한 퍼미션 설명뿐, 다른 특별한 이유는 찾아보지 못했습니다.
(아마 영어권 사이트는 대충 보고 넘기다 보니 그럴수도 있지만...)
맥OS도 기본적으로 BSD계열에서 파생된거라 애플시리즈 제품들의 퍼미션 권한도 wheel 그룹을 쓴다? 뭐 그정도는 알 수 있었습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