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whobc의 이미지

리눅스 ruid, euid 저장 위치

리눅스에서 프로세스와 ruid, euid에 대해 공부하던 중 턱 막히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먼저 ruid와 euid에 대해 알고 있는 내용은 이렇습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프로세스가 되면 실행자의 id로 그 프로세스의 ruid가 세팅된다.

만약 이 프로그램이 setuid가 설정되어 있었다면 euid는 그 프로그램의 소유자의 id로,

setuid가 설정되어 있지 않았다면 euid는 프로세스 실행자의 id 즉, ruid와 같게 세팅된다.

리눅스 커널은 실행된 프로세스의 euid를 보고 판단하여 그 프로세스가 시스템 내의 특정 자원에 접근해도 되는지 판단하고 이를 허용 또는 불허한다.

또, 실행된 프로세스가 프로세스 내에서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면 리눅스 커널은 실행되어 있는 프로세스의 ruid를 가지고 새로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ruid로 설정한다.

여기까지 입니다.

그런데 리눅스 커널이 프로세스의 ruid와 euid를 보고 그 다음 행위를 판단할 수 있다는 얘기는

jaehungim31의 이미지

실수로 vim 디렉토리 삭제

실수로 vim 디렉토리를 삭제했는데요..

# apt-get autoremove --purge vim
# apt-get clean
# apt-get install vim 

을 해보아도 다시 생성되지 않습니다.

이것때문에 시스템을 다시 설치하기에는 백업해야할 자료가 너무 많은데 어떻게 다시 생성할 방법은 없을까요?

heeyam의 이미지

(푸념)모르는게 너무 많아서 답답합니다.

안녕하세요. 컴퓨터공학을 전공하고 정보보호학 석사 과정 진행 중인 학생입니다.

너무 답답한 마음에 여기 계신 선배님들은 어떻게 공부해오셨는지 조언을 얻고 싶어 글을 씁니다.

4년이라는 시간동안 학과 공부를 해왔는데도 불구하고 아직도 기초가 부족한 기분이에요.

벼락치기 공부만 했던 탓인지 제가 가지고 있는 지식에 대한 확신이 없고 백지 상태인 것 같아요.

어느 정도의 수준인건지 아직 파악이 안되네요..

2년이라는 기간동안 능동적으로 제대로 한번 공부해보려고 석사 지원했는데...

공부해야할 것은 많고 어떤 것 부터 해야할지도 모르겠고

다시 프로그래밍 기초부터 시작하기에는 시간이 없을 것 같다는 불안과 초조가 가득합니다.

커널과 보안 프로토콜 공부를 하려고 봐도 용어도 모르는 것 투성이고, 세부적으로 모르는 것이 너무 많아

이해가 잘 안됩니다.

용어 설명을 실컷 봐놓고도 누가 물어보면 얼버무리는 수준이고...

새삼스레 이해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깨닫고 있습니다.

gurumong의 이미지

msys2(minGW)에서 pacman으로 패키지 설치시 충돌 오류 메세지 출력

windows 10 운영체제이고
msys2(64비트, 2016-09-21 일자 최신 버전) 환경입니다

msys2(minGW)를 설치 이후 아무런 추가적인 작업을 하지 않았고 아래와 같이 설치를 시도했습니다

pacman -Syu
pacman -S mingw-w64-x86_64-gcc
pacman -S mingw-w64-x86_64-emacs

하지만 충돌 오류가 나면서 설치가 진행되지 않는데요
무엇이 문제 일까요?

아래는 더 자세한 내용입니다

shint의 이미지

[활용] DXVA (DirectX Video Acceleration) 프로그램 하는방법 - 비디오 가속

윈도우7 SDK 에 MFPlayer2 예제가 DXVA로 VPU를 지원해줍니다.

DirectX 비디오 가속 (DirectX Video Acceleration, 줄여서 DXVA)는 비디오 디코딩의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하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엑스박스 360 플랫폼용 마이크로소프트사의 API 규격이다

How do I use Hardware accelerated video/H.264 decoding with directx 11 and windows 7?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19846770/how-do-i-use-hardware-accelerated-video-h-264-decoding-with-directx-11-and-windo

lkh의 이미지

sudo 에러

우분투 16.04 lts를 쓰고 있는데
scapy 설치하려고 sudo 썼는데 비번 물어봐서 입력하니까 틀렸다고 나오네요
똑같은 비번 입력했는데 su는 돼요...
su로 root로그인 해서 설치하긴 했는데 왜 sudo는 안될까요? 맞게 입력했는데...?

lkh의 이미지

hosts 파일

간단한건데
hosts 파일이 있는 이유가 뭔가요?
매번 DNS 서버에 접속하면 효율적이지 못해서인가요?

shint의 이미지

HDMI to VGA 로 1920 x 1080 출력하기

HDMI to VGA 로 1920 x 1080 출력하기

제가 어려서는 DreamCast 게임기를 CRT 모니터에 VGABOX로 연결해서. 아주 고해상도에 화면으로 게임을 했습니다.
그래서 적어봅니다.

그래픽 카드에서 1280 x 800 으로 출력을 하더라도.
HDMI 와 VGA 변환기를 사용하면. 모니터에서 1920 x 1080 으로 출력이 가능합니다. (4K UHD TV 같습니다.)
적은 가격으로 높은 성능을 유지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화면이 출력되는 크기가 1920 x 1080 이 아니기 때문에. 실제 화면 내용은 좀 작게 보입니다.
그래픽 카드가 고가이다보니. ㅇ_ㅇ;; 이런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요.

SLI 로 그래픽 카드를 2개 3개 사용하더라도. 보드가 SLI 를 지원을 해야 할겁니다.
중고 그래픽 카드로 좋은 성능을 낼 수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전기세가 좀 더 들겠죠?)

세벌의 이미지

ssl 설치 어떻게?

ssl 검색하다가
https://wiki.kldp.org/HOWTO/html/SSL-Certificates-HOWTO/x70.html
위 글은 지금도 유효한가요? 새롭게 바뀐 부분을 보려면 어디를 읽어보면 되나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