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39first의 이미지

아... 저 좀 살려주세요...

으... 어제오늘 그래픽카드 있던거중에 그나마 좋은거 달았는데 엔비디아꺼네요...
엔비디아도 오픈소스 드라이버가 있긴 한데 성능이 ...

아무튼 그래서 지금 4번째 새로깔고 질문하는 겁니다.

NVIDIA GEFORCE MX440 WITH AGP8X
입니다. 페도라 20 LXDE 스핀 32비트.

그래서 해외 포럼도 봤는데 대부분 확장 저장소(?) 설치후에
yum install akmod-nvidia-current
yum install akmod-nvidia-96x
... 등을 하라눈군요.
페도라로 바꾼지 한달밖에 안돼서...
그리고 nouveau를 비활성화시키고
mv (경로기억안남)/(uname -r) (경로기억안남)/(uname -r)-nouveau
dracut (경로)/(uname -r).img
정확하진 않지만 이러고 나니 그래픽 모드(tty1) 로 부팅조차 안되고 다른 터미널로 들어가도 자꾸 tty1 로 옮겨지네요.

hahaite의 이미지

git - 리눅스 네트워크 드라이브의 GUI 사용 관련 조언 구합니다.

안녕하세요.

=====================================
쓰고나니 장황해서 세줄 요약해 봅니다.
-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윈도우에서도 개발서버 디렉토리를 접근할 수 있습니다.
- 개발서버에 접속하여 git 명령어도 사용하고, 윈도우에서 git GUI 도 사용하려는데요.
- 계속 뭔가 걸리네요.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_(__)_
======================================

기존 SVN 잘 사용하다가 프로젝트가 변경되면서 git을 처음으로 접해본 git 초짜입니다.

우선, 기존 SVN 은 아래와 같이 썼습니다.
- 개발서버(리눅스) 에서 대부분 svn 명령어를 통해 처리함.
- 내 PC(윈도우) 에서 개발서버에 삼바로 접근 가능.
- TortoiseSVN 설치하여 로그를 볼 때는 비주얼하게 체크함.

이와 같이 사용했는데요.

luc1el의 이미지

IPV6에 관해서 여쭈어볼게 있습니다.

현재 IPV6을 서버에 할당해주는 호스팅 회사들이 해외에는 꽤나 보이는데요

이들 호스팅 서비스에서 받는다는 IPV6이 실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IP인지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들어가는것은 된다는 것을 알겠는데 outgoing IP로도 사용될 수 있는 것인지;

IPV6을 실제로 인터넷을 하기위한 주소체계로 활용하고 있는 호스팅회사나 단체가 있을까요?

gonny95의 이미지

C/C++을 심도깊게 공부하려면 어떡하나요

프로그래밍 접한지 시간은 꽤 된 것 같습니다
처음에 C/C++ 잠깐 보고 Java를 주로 공부하고 있는데요
이번에 리눅스를 깔고나서 C/C++도 다시 공부하고 싶어지는 겁니다
C/C++ 공부는 예전에도 하고 공부한 시간자체는 꽤 되었는데
맨날 기본서만 보다보니까 실력이 별로 늘은게 없습니다
표준 라이브러리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싶고
뭔가 좀 더 심도 깊게 공부하고 싶은데
무슨 책을 보는것이 좋을까요 책좀 추천해주세요^^;

nomail의 이미지

[완료] git rebase 결과가 이상합니다.

git-scm 사이트의 매뉴얼을 보면서 공부하고 있는데요.
rebase 커맨드 결과가 매뉴얼이랑 달라서 좀 여쭤봅니다.

먼저, 커밋포인트가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다음처럼 rebase 명령을 실행했습니다

git checkout experiment
git rebase master

매뉴얼에서는 rebase 완료 후 커밋 포인트가 아래처럼 된다고 합니다.

cococo의 이미지

한글 처리 잘 되는 console web browser 로 뭐가 좋을까요?

안녕하십니까. 주말은 잘 보낼 준비 하고 계신지요.

다름이 아니오라, web - cron 같은 걸 만들어야 됩니다. ( http://hanvic.egloos.com/3940370 )
linux 서버라 x-window 를 설치하고 싶지는 않아서, console 기반의 web browser 를 알아보고 있습니다.

대충 인터넷 뒤져보니 ( https://kldp.org/node/24891 ) lynx, w3m 등을 사용하시는 것 같은데요.
내용을 보니 "한글은 어찌 될지..." 라는 염려가 있더군요.

url 주소를 정기적으로 call 하기만 하면 되는 거라 굳이 한글을 걱정할 필요는 없으리라 추정되지만,
만약 사용자가 parameter 값을 인코딩 안하고 한글로 그냥 밀어 넣는다면, 문제가 생길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질문입니다.

melolinsanji의 이미지

노드에 랜카드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법?

안녕하세요. 맨땅에 헤딩하면서 공부하고 있는 리눅스 초보입니다ㅜㅜ

다름이 아니라 계산을 위해 클러스터를 만들고 있는데, 노드 컴퓨터에 랜카드 드라이버가 없어서 수동으로 설치해야 할 필요가 생겼습니다.
서버로 사용하는 컴퓨터에서 일단 인텔 드라이버를 받아놨는데 이 다음부터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ㅜㅜ
Read me에 나와있는대로 했는데 그거는 서버 컴 자체에만 설치가 되더라구요....노드가 서버로부터 드라이버를 받아오는 방법은 없나요?

미리 답변 감사드립니다ㅜㅜㅜ;;;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