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standalon의 이미지

안드로이드의 파일 시스템을 통하지 않고 데이터를 얻는 방법??

설명하기가 쉽지는 않네요. 하여튼,,,

android OS의 파일 시스템 모듈에 암호화 부분을 추가하려고 합니다.
즉, 안드로이드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할때는 암호화하고 읽을 때는 복호화하여 읽는 기능을 OS 수준에서 구현하려고 합니다.

개발이 완료된 후에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데이터가 암호화 되었는지) 확인을 하려면
android OS의 파일 시스템을 통하지 않고,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이 있어서,
이 방법을 통해서 데이터를 얻게 되면 데이터가 암호화 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간단히 생각해보면,
ADB(Android Debug Bridge)의 Pull 명령어를 사용해서 android에 저장된 파일을 가져올때,
암호화된 상태로 파일을 얻게 된다면,
아마도 Android의 파일시스템 모듈을 통하지 않고 직접 가져온다고 예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ADB Shell이 안드로이드의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지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가 없습니다.

세벌의 이미지

세벌식 타자기가 빠르다

3월 7일은?
공병우 박사 돌아가신 날.

세벌식이 빠르다.
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qid=3wbd4

elquin의 이미지

[문의] DB analysis tool

어디다 올려야 할지 고민하다가 여기다 올립니다...

회사에서 예전 실험을 하다가 방대한(?) 양의 실험자료를 받아둔 게 있습니다.
주로 text 기반의 숫자 자료입니다만, 대충 형식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X Y1 Y2 Y3 Y4 ....
0.00 1 2.00 3.00 2.5 ....
...

이런 식의 실험자료들로 종류도 많고 각 column의 단위도 제각각이고...
이런 것을 하나의 tool을 이용하여 DB로 정리하고 나중에 plotting 도 하는... 그런 툴은 없을까요?

실시간으로 안 되어도 좋은 건데...
전산과 친구에게 물어보니 Elasticsearch 를 추천해 주던데, 이건 전산 초보(?)인 저로서는 갈 길이 너무 멀어 보입니다.

혹 쓸만한 프로그램이 있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sorrymommy의 이미지

bitnami redmine svn 연동

Bitnami Redmine Stack 2.5.0 linux 64bit용을 설치했습니다.

bitnami에 있는 문서대로 하고자하는대로 셋팅을 하였으나, 생각만큼 연동이 잘 되지 않네요.

더욱이 지체를 할 수 없어 이렇게 질문을 드립니다.

지금의 문제는 SVN로그인이 안됩니다. redmine을 통해서 생성된 프로젝트가 repository까지 잘 만들어지지만 SVN로그인이 안되네요.

wiki.bitnami.com 에 있는 redmine 문서중에

14.How to configure Redmine for advanced integration with Subversion 글을 따라서 했으나, 제대로 안됩니다.

개인을 시간을 내서 도와주신다면 사례를 하고자 합니다. 경험자의 도움을 절실히 기다리겠습니다.

도움을 주시는 분이 나타나 해결이 된다면 해결 방법을 여기 적어두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수고하세요

sorrymommy 골뱅이 지메일 닷 컴
으로 메일 주시면 전화바로 드리겠습니다.

datruth의 이미지

리눅스 서버 패치에 관한 질문

현재 운영서버가 리눅스 입니다.
이 서버가 최신 패치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싶습니다.
최신 버전인지 아닌지는 어떻게 확인해야 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 last reboot 결과 커널 버전이 다음과 같이 확인 되었습니다.
2.6.18-92.el5xen 1월 25일

리눅스 버전은 이렇습니다.
Red Hat Enterprise Linux Server release 5.2 (Tikanga)

제가 알고 싶은 것은 추가 패치해야 될 버전이 있는지 없는지는 어디서 어떻게 확인하면 되나요?;;
그리고 추가 패치 버전이 나오면 무조건 패치는 해주는 것이 시스템 보안을 위한 운영에 맞는 것인지요?

xoduddk123의 이미지

패키지를 컴파일할때 depends on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파일시스템에 관심이 있어서 패키지들을 직접 다운받아서 크로스컴파일해보고 있습니다.

크로스컴파일을 하기위해 스크래치박스를 이용하고있습니다.

몹시 편리하더라고요.

그런데 컴파일을 하던도중 의존성과 관련하여서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최근에저는 bash이라는 패키지를 크로스컴파일하여서 bash 명령어를 얻어서 odroid-x보드에 넣어서도

실행을 시켜보았습니다.

그런데 bash와 관련된 의존성을 확인하기위하여 https://launchpad.net/ubuntu/+source/bash/4.2-5ubuntu3

가서 의존성을 확인하는 작업을 하였습니다.

nomail의 이미지

[완료] mv로 디렉토리를 옮겼는데 다른 터미널화면에서는 그대로 보이는 이유..

xterm 창을 2개 열어서 작업 중에 이상한 증상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xterm을 2개 열어서 ~/work 디렉토리에서 각각 에디팅 작업을 하고 있었습니다.

터미널 이름을 xterm 1번, xterm 2번이라 가정했을 때

xterm 1번 창에서 ~/work 디렉토리를 /tmp로 mv 했습니다. 확인해보면 분명 홈디렉토리에는 work디렉이 없고 /tmp로 옮겨졌습니다.

그런데 xterm 2번 창에서 작업 중인 파일이 그대로 보입니다. 파일을 열어서 에디팅도 되구요. pwd 해보면 ~/work라고 분명히 표시됩니다.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 건가요? xterm 2번 창에서 디렉토리를 다른 곳으로 이동 한 다음, 다시 cd ~/work 해보면 그때서야 디렉토리가 없다는 메세지가 나옵니다.

xterm 1번 창에서 디렉토리를 딴 곳으로 이동 했을 때, 2번 창에도 바로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환경은 아치리눅스, 커널 3.13.5-1, xorg 7.6, bash 4.2.45 입니다.

parkon의 이미지

Mac에서 갑자기 /usr/texbin 디렉토리가 사라졌어요.

가끔씩 제 맥 노트북에서 latex을 사용하는데
오늘 latex compile하려고 보니 글쎄 latex 명령어가 없다는 에러 메시지를 뱉어 내는군요.

이게 뭔 일인가 싶어 이리 저리 알아보니 당연 있어야 할
tex의 bin 폴더인 /usr/texbin 디렉토리가 없어 졌더군요.
sudo 권한이 있어야 삭제 할 수 있는 디렉토리이니 제가 실수로 삭제했을 가능성도 없고...,

그래서 일단 급한대로 /usr/local/texlive/... 이 밑에 있는 디렉토리를 /usr/texbin으로 링크 시겼더니
latex은 먹는데
xdvi도 무슨 이상한 에러 메시지를 뱉어 내고,
dvipdf도 gs 명령어가 없다는 에러 메시지를 뱉어 내고,
완전 엉망인 상태입니다.

고생은 좀 하겠지만
하나씩 복구하거나 다시 깔면 latex 문제를 해결은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왜 이런 일이 벌어 졌는지 모르니까 영 찜찜하네요.

devgear의 이미지

C++로 개발하는 모바일 앱 세미나가 있어요(대전/서울)

C++로 모바일 앱을 개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세미나입니다.

모바일 개발에 대한 내용 외에도 C++11 최신 표준, STI/Boost 등에 대한 내용도 다룹니다.

대전: 3월 18일(화), 오후 1시~오후 5시 30분
서울: 3월 19일(수), 오후 1시~오후 5시 30분

총 2회 진행됩니다.

다루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C/C++: 크로스 플랫폼 개발의 제왕
- C++Builder XE5: 가장 강력하고 가장 빠른 C/C++ 개발툴
- 블록버스터: C++Builder를 활용한 모바일 개발
- 단 하나의 코드베이스로 테스크탑, 모바일 개발하기
- C/C++ MEAP: 모바일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플랫폼(Mobile Enterprise Application Platform)

ncss3709의 이미지

Cron 으로 telnet 백그라운드작업을 하고 싶습니다.

Cron으로 telnet 백그라운드 작업을 하고 싶어서

Crontab -e 편집하여 매시간 동안 telnet 재접속을 하고 telnet 접속 로그를 특정파일에 받고 싶습니다.

#!/bin/sh
cdrdate=`date +%Y%m%d`
telnet 172.1.1.10 5100 >> /home/$cdrdate.cdr

백그라운드를 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해야하는거 아닌가요?

nohup (telnet 172.1.1.10 5100 >> /home/$cdrdate.cdr) &

이게 안되네요 ㅠ_ㅠ..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