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jys923의 이미지

진로상당 부탁드립니다.(무경력.신입)(해외(일본,미국 등) 취업 현실)

인녕하세요. 백수입니다 ㅠ.ㅠ

마음이 심란하니 글이 어지러워 졌습니다.
죄송합니다. 읽어보시고
선배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저의 현 상황에서 개발자로 살아가려면 어떤 방법이 제일 좋을까요?

진로상당 부탁드립니다.(무경력.신입)(해외(일본,미국 등) 취업 현실)

일단 지금 상태는

영어는 의사소통 정도 가능하고 일어는 좀 알아듣기만...

IT 전공 대학 졸업후 약 2년간 다른일(아버지 사업)을 했습니다.

취업이 된다해도 프로그래밍을 잊어버려서 해나갈수 있을지..

-----Q-2년간 쉬었기때문에 국비교육후 취업이 용이하지 않을까요?

이것보다 프로그래머로 살아가는것이 더 나을것 같아서 고민입니다.

개발자의 환경의 열악함은 익히 들어왔기 때문에 해외 취업으로 눈을 돌리게 되습니다.

독일을 워킹홀리데이로 가서 언어를 하며 신입으로 구직활동을 해보는것을 생각해봤습니다.

nninin2의 이미지

자바동아리 자바 책 추천

학교에서 자바 동아리를 개설했습니다. 학생들은 저 포함해서 전부다 초보인데 공부할만한 책 추천 좀 해주세요

교수님께서 자바의 정석을 추천해주셨는데 책이 너무 무겁고 두꺼워서 성취감이 부족 할 수 있다고

얇은 책으로 한권씩 마스터하는 방법을 말씀하셔서 책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희는 엄청난 초보입니다.

juhyun16의 이미지

리눅스 커널 빌드 후 deb 파일이 생기지 않는 현상.

안녕하세요 학부 3학년 학생입니다. 리눅스 설치하여 커널 업그레이드 하는것이 첫번째 과제입니다.

커널을 빌드하고나서 즉 (sudo make-kpkg --initrd -- revision=1.0 kernel_image modules_image 등) 커널 빌드 후에 deb 파일이 생성이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오류가 뜹니다. 첨부파일로 자세히 보여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캡쳐는 못하였지만 마찬가지로 커널 빌드 후 ""아카이브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그런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없습니다"" 라는 에러 메시지가 뜹니다.

대체 왜 이런 오류가 뜨는건지.. 어떻게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와주세요~~~~~~ help me~~~~ ㅠㅠ

헉, 하필 또 그림파일 첨부가 안되네요... 아, ㅠㅠ ""아카이브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그런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없습니다"" 이 오류메시지라도 해결하고 싶습니다. ㅠ

wndnjs1254의 이미지

파일질라 ftp 관련해서 물어봅니다.

1.파일질라의 ftp 에서 포트 21번포트는 주로 국내 에서 22번 포트(sftp)는 해외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데 또 다른 어떤 포트가 해외에서 사용할수 있나요?

2. 파일질라 ftp 서버에 로그인 할때 2~3번 이상 틀리면 파일질라 방화벽에서 20분 동안 접속아이피를 차단한다고 했는데 이걸 또 자기가 마음대로 설정할수 있나요? 당연이 관리자 권한으로요 (예. 20분을 -> 10분으로 , 2번에서 5번으로)

3. 또 다른 파일질라 ftp 의 기능(다른 ftp 와 공통점 제외) 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신속하게 답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koain의 이미지

골든 이미지를 이용한 vm 생성시 네트워크 설정을 어떻게해주어야하나요?

qemu-img create -f raw gold_image.img 20G // 골드 이미지를 생성할 이미지 파일 생성
qemu-img create -b gold_image.img -f qcow2 backing_vm1.img // 골드 이미지를 이용하여 부팅할 이미지 파일생성

이후 gold_image.img 파일에 CentOS 6.5 를 설치 하였고, backing_vm1.img 파일로 vm을 생성하였는데 eth0을 찾지 못하더군요. 어떤 해결책이 있을까요

seojh1431의 이미지

로그인 인증 방식에 대해서...

네이버는 id 와 password 방식 하나 하고.. 일회용 비밀번호를 사용한 로그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더군요..

근데 여기서 로그인 인증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로그인 인증방식도 여러가지 있을것 같은데.. 국내에는 어떤 로그인인증방식이 많이 사용되나요??

manemis의 이미지

우분투 다운그레이드 설치시에 서버접속 안되는 문제

안녕하세요 아수스 1215t 사용을 위해 우분투 13.04버전을 설치한 허접 사용자입니다.
다운그레이드를 한 이유는 더이상 지원을 안해주는 AMD그래픽카드 드라이버때문인데요
문제는 옛날 우분투를 설치해서 그런건지 설치 직후 언어팩도 다운로드가 안되고 어떤 프로그램도 설치할 수가 없네요 ㅠㅠ
에러뜨면서 네트워크 상태를 체크하라는데
파이어폭스로 인터넷 서핑은 또 됩니다
그러니까 프로그램 추가할 때만 서버 연결이 되질 않는군요
워낙 오래된 넷북이라서 크롬브라우저, wine+한글프로세서2014, 음악재생기 정도만 있어도 되는데 끄응 여기서 막히니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원래 우분투는 기간이 좀 지나면 아예 지원을 안해주나요?(예전에도 조금 쓰면 ppa같은것도 다 연결 안되고 여기저기 꼬여서 다 밀고 새로 다음버전깔고 그랬던 기억이 있어서 불편하다고 생각만했지 문제를 해결해본적이 없네요)

babach의 이미지

부트로더를 만들어 보려고 하는데, 자유도가 높은 개발보드는 무엇이 있을까요?

1~2년동안 주요 관심사가 OS 여서 커널, 파일시스템 같은 걸 주로 공부하다가

드디어 몇 달전부터 더 밑단에 관심이 가기 시작했습니다.

계속 원리를 공부하고 알게되고 추상화 layer의 한단계를 벗겨내서 새로운 추상화 layer를 보고 이런 과정자체가 즐겁더라구요.

커널이라는 것도 결국 cpu와 주변장치와의 상호작용의 추상화라서 커널(운영체제)를 온전히 이해하려면 결국 하드웨어도 궁금해지는 지경에 오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커스텀 부트로더를 만들어보고 커널도 수정해서 올려보는 등 이것저것 보드 가지고 만져보려고 하는데, 이것에 적합한 개발보드는 무엇이 있을까요?

라즈베리파이는 예전에 사놨는데, 목적에 적합한 보드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커스텀 부트로더를 올릴 수 있는 건지 아직 잘 모르겠네요.

beagle-bone 이라는 것도 있던데 혹시 다른 분들은 이런 목적의 보드로 어떤 걸 사용하시나요?

qudwns4546의 이미지

부트로더와 커널 빌드에 대해 궁금해요!

제가 알고 있는 바로는
부트로더는 파워가 들어오면 메모리의 제일 처음에서 시작해서 기본적인 하드웨어를 읽어들이고 커널 이미지를 불러오는 역할
커널은 디바이드 드라이버를 읽어들이고 OS의 핵심적인 역할...로 알고 있는데
요즘 리눅스를 임베디드 보드에 포팅하면서 개념이 나락으로 빠져가고 있습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임베디드 보드는 판다보드ES인데요.
요놈을 부팅을 하기위해서 리눅스 커널을 빌드하기 전에 프리빌드 버전을 사용해보았습니다.
판다보드 특성상 SD카드에 부트영역과 시스템파일 영역으로 나눠서 파일을 집어넣고 파워넣으면 끝. 부팅됩니다.

그런데 문제가... LCD를 사용하려는데... LCD에 대한 드라이버가 있어야겠죠. 그래서 LCD를 제작한 업체에서 제공하는 프리빌드 우분투를 사용했습니다. 지금까지...
그런데 그 우분투가 너무 막되먹은 녀석이라(안되는게 너무 많음. X윈도에서 와이파이 설정이라던가...) 판다보드에서 공식지원하는 녀석을 포팅해서 사용해보려고 합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