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dydaktls002의 이미지

운영체제 스레드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다중처리기 시스템과 다-대-다 모델을 사용하여 작성된 다중 스레드 프로그램을 고려하자. 프로그램의 사용자 수준 스레드의 개수가 시스템의 처리기 개수 보다 많다고 가정하자.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에서 성능 예측을 논의하시오.

a. 프로그램에 할당된 커널 스레드의 개수가 처리기 보다 많다.



b. 프로그램에 할당된 커널 스레드의 개수가 처리기의 개수와 같다.


c. 프로그램에 할당된 커널 스레드의 개수가 처리기의 개수 보다 훨씬 많지만 사용자 수준의 스레드 보다는 작다.

책 읽으면서 하는데 잘 모르겠네요 처리기와 스레드.. 다-대-다 관계는 알겠는데요
저거에 적용해야 하니 잘 모르겠습니다 간략하게 아시는분 답글 부탁드려요

rootroot의 이미지

git 저장소를 만들려는데 보안관련 질문입니다.

제가 동아리 회원들용 깃 저장소를 만들려고 합니다.

근데 일반적으로 깃을 사용한다고 하면 자기네집 컴퓨터에서 지역저장소 만든 다음에 서버랑 연결하여 계속 사용한다면

제가 구축 하려는 저장소는 그냥 아무 컴퓨터(학교 랩실 컴 및 걍 pc방)에서 프로젝트를 푸싱 패치 하려고 합니다.

근데 여기서 문제는 당연히 다른 사람 ssh 개인키를 도용해서 프로젝트에 마음대로 푸싱하는 걸 방지하는 건데...

(PC방에서 작업하다가 모르고 개인키를 안지우고 나갔는데 다른 사람이 그 자리에 앉아서 푸싱함...)

그래서 제가 생각한 방식이 홈으로 지정된 컴퓨터가 아닌 곳에서 프로젝트 작업을 할때는

다른 http 인증으로 들어가고 이 인증에 통과하면

임시 개인 키와 공개 키를 생성하여 접속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려고 합니다.

근데 혹시 이것보다 더 단순한 방식이 있을수 있을까요?

(제가 생각하는 방식은 서버 부하가 많이 걸릴 것도 같고 좀 더 단순한 방법은 없나해서 질문합니다...)

ampester2의 이미지

드루팔 코리아 담당하시는 분이 누구신가요?

권순선님께 이메일을 보내드렸었는데 아직 답이 없으시네요.
혹시 다른 하위관리자분이 계시는지 궁금합니다.

battlexnwl의 이미지

mfc과제하다 버퍼링과 버벅임에 대해서 질문올립니다.

mfc과제로 시계를 만들다가 시간이 좀 남아서 내친김에
화살표 키로 시계를 공 튀기듯이 움직이게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조금 더 사실적인 부드러운 움직임을 보고 싶어서
설정으로 SetTimer(2, 10, NULL);
선언하고 가지고 놀고 있었습니다.
물론 더블버퍼링 쓰구요.

그런데 아무리 봐도 언뜻 부드럽게 움직이는 듯 하면서도 한 0.2초 주기로 버벅거리길래,
Invalidate(0);인자값을 1로 수정해서 확인해 봤습니다.
제 눈으로 봤을때 이전 버벅임의 주기가 깜빡이는 주기와 똑같네요.

OnPaint함수를 다시 호출하니, 그 함수가 무거운가보다 해서
어느정도 수정은 했으나 OnPaint 내부에서 사용하는 함수들에 대해서는 더이상 최적화가 어렵네요.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자연스럽게 움직일수 있나요?

busker의 이미지

Cocos2d-x로 게임 개발할 분들 모집합니다.

안녕하세요.
Cocos2d-x로 모바일 게임 개발을 같이 할 분들을 모십니다.

게임 개발 기간은 2개월로 잡고 있습니다.
저는 프로그래머구요.
기획 1명, 프로그래머 1명, 그래픽 2명 정도로 해서 총 5명으로 파티를 이루어 게임을 개발하고 싶습니다.
회사에서 하는것이 아닌 개인 프로젝트라 무급이라는게 걸리네요.
하지만 게임으로 인해 1원의 수익이라도 발생할 시에는 무조건 1/n으로 수익을 나누려고 합니다.

아래의 요건에 해당하시면 꼭 저와 같이 작업했으면 좋겠습니다.
1) 게임 업계 취업 준비를 위해 포트폴리오를 준비하고 싶은데 개발 파티가 마땅히 없었던 분
2) Cocos2d-x에 흥미가 동하신 분
3) 그냥 게임을 만들고 싶으신 분
4) 회사 일 외에 개인 프로젝트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분

관심 있는 분들은 댓글 꼭 남겨주세요!

mit-lab의 이미지

Gentoo에서 디렉토리 리스트가 이상하게 보이는 현상

젠투 사용자 인데 얼마전 업그레이드 (emerge --sync , emerge -uDNv world) 하고 나서 부터

$ ls -al 하면 "irectorym" 이라는 문자가 먼저 보이고 뒤에 실제 파일명이 보입니다.

왜 그런지 모르겠네요.

혹시 젠투 쓰시는분들 이런 증상업나요?

첨부에 화면 캡처 올립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georgek의 이미지

MIPS관련 address 궁금한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MIPS관련 공부를하고있는데요. 구글링을 하다보니
32 bit quantities in MIPS must be stored in memory at word-aligned address.라는 말과
the PC(Program Counter),which stores addresses of instructions must hold a word aligned address. 라는 설명을 보았습니다.

지금 이해가안되는것이 다음과 같습니다.

alwaysN00b의 이미지

일반 디스크와 NAND flash 에서 ext4 를 사용할때 차이점

안녕하세요. 프로그래밍 Q&A에 올릴려다가 프로그램은 아닌것 같아 여기에 질문 올립니다.

최근에 폰은 바꾸면서 심심해서 파일시스템을 봤는데 ext4를 사용하더군요. yaffs 같은걸 쓸줄 알았는데 , 찾아보니 2010년에 결정되었더군요 ㅋ 그동안 너무 무관심 했었네요..

그래서, 혹시 NAND flash에서 ext4를 쓰면 FTL 때문에 분명 기존 데이터가 덮어씌워지는 시간차이가 일반디스크보다 훨씬 길게 날텐데 하는 생각에...

눈으로 확인해 보고 싶어졌습니다. ㅋ

그래서.. 질문 입니다. 일반 디스크에서 NAND flash 처럼 시뮬레이션 할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예를 들어 vm으로 우분투박스에서 1기가 하드디스크와 1기가 flash 디스크를 만들어 비슷한 파일들을 쓰고 지웠을때 차이점을 눈으로 보고싶거든요.

한 디렉토리에서 파일을 쓰고 지우거나, 덮어 씌울때 flash에서 복구 확률이 훨씬 높을것 같은데...

janues의 이미지

raid 또는 lvm으로 2테라 바이트 가능할까요?

회사에 32비트 제온cpu가 탑재된 피시가 하나 남는게 있어서 거기에
centos 6.3 을 설치하고 백업용 서버를 구성할까 합니다.
디스크는 os 설치용으로 500 GB짜리 디스크 하나, raid 또는 lvm 용으로
1테라 바이트 짜리 3개를 사용할까 합니다.

- 구성 -
OS 설치 : 500 GB
backup : 1000 GB * 3
mysql 백업 데이터를 저장하려고 합니다.
- -

회사에서는 장비 구매는 안되고 기존에 있는 장비를 활용해서 구축하라고 하는데....

문제는 lvm이나 raid 5 로 작업시 2테라가 넘으면 인식이 안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는지 또는 구축 해보신 경험이 있으신분 있으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kophoenix3의 이미지

usb 마운트 안됩니다.

PE_GHOST을(를) 마운트 할 수 없습니다
Error mounting: mount exited with exit code 1: helper failer with:
mount: I could not determine the filesystem tyep, and none was specifed.

데비안을 켠 상태에서, usb를 연결하면,
정상일 때에는 자동으로 마운트 되는데요,
지금은 위와같은 에러 메시지를 내면서 마운트가 안됩니다.

이 일이 있기전에 데비안에서 usb로 'windows 7'을 설치하기 위한 작업을 하고 있었습니다.

$dd if=win.iso of=/dev/sdb

위의 명령을 내리고, 30분 이상 지나도 변화가 없길래,
강제로 터미널을 닫았습니다.

그 후에 fdisk 등으로 usb를 ntfs 파일 시스템으로 포멧을 여러 차례 시도했습니다.

어떻게 해야 usb를 정상적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을까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