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pci486의 이미지

레드마인 2.3 버젼 설치후 문제가 생겼습니다.

일단 레드마인 2.3 설치후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쉘 편집기 창에서
ruby script/rails server webrick -e production
이 구문으로 레드마인을 기동한후

정상적으로 사이트가 뜨는것을 확인후
쉘 편집기 창을 닫아 버리면 레드마인도 종료가 되어 버립니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하면 해결할수 있는지요

Geniys의 이미지

기존 HDD에서 새로운 HDD로 이전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기존에 2개의 HDD를 사용해서 아래와 같이 구성해서 사용했었습니다.

/dev/sdb5 on / type ext4 (rw,errors=remount-ro)
/dev/sda1 on /home type ext4 (rw)

문제는 sda HDD 용량부족으로 새로운 HDD를 사용하려 합니다.
제가 생각했던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새로운 HDD 연결.
2. 새로운 HDD ext4로 포멧.
3. "cp -rp"를 사용해서 기존 /home/ 아래 모든 파일을 새로운 HDD로 복사.
4. 새로운 HDD가 /home에 mount 되도록 변경.
5. 기존 HDD 제거하고 재부팅.

문제는 2번에서부터 "lost+found" 폴더가 생성되고 (그다지 중요한 것 같지 않습니다.)
3번째 항목에서부터 권한이나 소유권이 기존과 동일하게 복사되지 않습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지 문의 드립니다.

Ubuntu 12.04 사용중입니다.

정도현의 이미지

QCon Tokyo 2013에 다녀왔습니다.

이번주 화요일, 개발자 커뮤니티인 InfoQ에서 진행하는 컨퍼런스인 QCon Tokyo 2013에 다녀왔습니다.

gurwns909의 이미지

-옵션과 --옵션의 차이??

제목 그대로 -옵션과 --옵션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뭔가 이유가 있어서 -가 하나 더 들어가는것같은데...
도통 이유를 모르겠네요...ㅎㄷㄷ

제 개인적인 판단에 의하면
만약 -a 라는 옵션이 있다면 -a옵션 내에 --b옵션이라고 생각하는데,,
이렇게 생각하는게 맞는건가요???

alwaysN00b의 이미지

ext4 블록사이즈에 따른 슈퍼블록 크기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요즘 ext4 구조를 책도 보고 소스보면서 덤프도 떠보고 하는데

block size 를 1k로 하면 슈퍼블록의 시작위치가 0x400 입니다. 처음 1k는 비어있으니 당연히 0x400에 나오고
block의 크기가 1k이니 슈퍼블록다음 그룹 디스크립터가 0x800에 나타납니다. 당연히 정상인데...

block size를 4k로 하면 슈퍼블록의 시작위치는 0x400 이고 그룹디스크립터가 0x1000 에서 나타납니다.
0x1400에서 나타나야 될것 같은데, 이렇게 되면 첫번째 슈퍼블록이 3K가 됩니다.

이상해서 2k로 해봤더니 0x800에서 그룹 디스크립터가 나타나는군요.

그럼... 결론은... 1k 일때는 처음 1k의 예약영역와 1k의 슈퍼블록다음 그룹 디스크립터가 나오고
2k,4k일때는 처음 1k를 포함해서 2k, 4k 다음에 블록디스크립터가 나옵니다.

그럼, 슈퍼블록의 크기가 가변적인가요? 그럴리는 없을테고요..

ibmgbs의 이미지

자료구조 운영체제 책 추천부탁드립니다

비전공자라서 꼭 언어로 구현하는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개념부터 다시 잡아보려고합니다 자료구조수업은 들어봤는데 운영체제는 들어본적이없어요
쉬운책 추천부탁드립니다

damon0210의 이미지

CentOS vsftp 구축후 문제점 질문

집에서 놀고있는 넷북으로 CentOS 6.4 설치후 APM 과 vsftp를 구축하였습니다

FTP구축후 계정생성을 했고 셋팅도 문제없이 진행한거 같은데

다른 데스크탑에서 윈도우 알ftp로 접속시

접속은 됬다고 뜨는데 어떠한 디렉토리도 뜨질 않습니다 (그냥 백지..)

selinux 와 방화벽은 전부 중지 시킨 상태에서 구축했기 때문에

이부분은 문제가 아닌거 같고 /etc/passwd 에는 /home/사용자계정 으로 저장이되있는데 모르겠습니다..

데스크탑과 넷북은 공유기로 공유해서 사용중인데 이부분에 문제가 있는걸까요..?

또 익스플로러에서 ftp://아이피로 접속시에는 접속이 안돼는데 이건 정상인가요??

혼자서 서버 공부 해보겠다고 시작하자마자 멘붕이네요..ㅠㅠ

=========================================================

shint의 이미지

프로그램의 언어 순화 하기


언제 부턴가 프로그래머들은 살인적인 용어'를 남용하고 있습니다.
쓸데없고 관리하기 어렵고 배우기도 어려운 프로그램을 만들기도 합니다.

일단. 프로그램의 언어 순화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데요.

- 쓰레드 -> 스레드
- 프로세스 죽이기 -> 프로세스 종료
- 좀비 프로세스 -> ?? 이건 뭐로 해야 할지 ㅇ_ㅇ.. 모르겠네요.

언어 순화가 필요한 용어'가 있으면 지적 해 주세요.

wataka의 이미지

arm 프로세서에 관해서 공부해보려는 학부생입니다.

안녕하세요 arm공부를 막 시작한 지방대 컴공 3학년 학부생입니다.

처음에는 안드로이드 app제작에 관심을 두고 앱을 만들며 지내다가

타과(전자과)에서 수업하는 컴퓨터 구조 수업을 들으며

verilog로 mips 멀티사이클과 파이프라인 시피유 제작을 하면서 ARM프로세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ARM development guide와 Cortex-M3 완전정복 이런 책을 보며 독학 하고있습니다.

추후 망고보드도 구매하여 실습도 해보려고 합니다만...

제가 하고싶은건 arm이나 atmega128같은 것 을 이용해서 공모전에 출품할 작품을 만드는게 아닌

ARM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개발한 보드에 리눅스나 안드로이드를 포팅해보면서

부트로더가 무슨역할을 하며 OS는 어떤 방식으로 구동되는지

OS에서 CPU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공부해보고 싶습니다.

더불어서 올해말 삼성 소프트웨어 멤버십에도 지원할 예정입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